광명시흥보금자리대책위, 보금자리철회촉구 결의대회

광명시흥보금자리주택 주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26일 노온사동 온신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집회를 열고 보금자리 지구지정 취소를 요구했다. 대책위는 보금자리 주택지구 지정으로 토지 거래 등의 제약을 받아 주민들이 3년 넘도록 사업이 지연, 일체의 재산권 행사를 하지 못해 피해가 가중되면서 고통받고 있다며 보금자리지구 지정 철회를 촉구했다. 대책위 주민 300여 명은 온신초교에서 학온동 농협까지 이어지는 4km거리를 행진하며 보금자리, 죽은자리 주민들은 죽어간다, 강제수용 결사반대 죽음으로 투쟁하자 등이 적힌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이날 집회에서 최용길 대책위원장은 정부가 잘못된 정책으로 인해 토지주들이 3년이 넘도록 재산권 행사를 전혀 하지 못하면서 금융부담이 늘어나 파산직전까지 이르게됐다면서 주민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있는 보금자리 추진은 전면 백지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앞서 지난 2010년 5월 광명시와 시흥시 지역 1천740만㎡를 광명시흥보금자리 지구로 지정했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침체와 사업시행자인 LH의 자금난 등으로 토지보상 작업에 착수하지 못해 사업은 난항을 겪고 있다. 광명=김병화 기자bhkim@kyeonggi.com

승진 간부들 말바꾸기 광명공무원노조 전운

당초 한시적 근무 명퇴각서 당사자들 이행않고 버티기 勞 약속지켜라 행동나서 광명시 공무원노조가 정기인사를 앞두고 일부 간부 공무원들에 대해 퇴직을 요구하며 물리력을 동원해 논란이 일고 있다. 25일 시와 공무원노조 등에 따르면 지난해 2월 지방4급 서기관 승진인사에서 1955년생인 A과장이 승진했다. 당시 A과장은 승진을 하면 12월까지 10개월만 근무하고 명예퇴직 하겠다는 각서를 작성했다. A서기관은 승진 대상자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문제의 각서를 작성해 인사담당자에제 제출, 이를 담보로 승진을 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지난해 4월 지방5급 사무관으로 승진한 B과장도 이같은 방법으로 승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A서기관과 B과장이 각서 내용을 지키지 않고 버티자 공무원노조는 오랜 세월 함께한 동료와 정당하지 못한 방법으로 오직 본인의 영달만을 위해 조건부 승진을 하고 이제 와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신뢰를 저버린 몰염치한 선배 공무원에게 더 이상의 예우를 갖추지 않을 것이라며 사퇴를 촉구했다. 특히 공무원노조는 25일 오전 A서기관과 B과장의 사무실에서 책상과 집기, 명패를 치웠다. 앞서 노조원들은 지난 24일 확대간부 회의에 이들이 참여하지 못하도록 출입을 막자 A서기관과 B과장은 연차를 신청, 회의에 참석하지 못했다. 이에 양기대 시장은 확대간부 회의에서 A서기관이 오는 6월까지 근무를 희망하고 있어 의견을 존중해 주고, B과장에 대해서도 12월 정년까지 근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공무원노조는 이들 간부들의 승진 당시의 약속 이행을 고수하며 행동강령 수위를 높이겠다고 밝혀 해당 간부들과의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인사권자가 해당 간부들의 의사를 존중한 만큼 더 이상 논란이 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광명=김병화기자 bhk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