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 제생병원, 20여년만에 공사 재개…2024년 개원할 듯

동두천 제생병원이 오는 2024년 개원할 전망이다. 해당 병원은 공사가 중단된 지 20여년만인 지난해 재개됐다. 동두천시는 지행동 13만9천770㎡에 건립 중인 동두천 제생병원이 오는 2023년말 준공을 목표로 내부공사를 진행 중이라고 14일 밝혔다. 동두천 제생병원은 지하 4층, 지상 21층, 병상수 1천480개(양방 1천265개, 한방 215개) 규모로 건립 중이다. 앞서 대순진리회는 지난 1995년 동두천 제생병원 건립공사를 시작했다. 그러나 종단 내부 사정으로 지난 2000년 건물 외관공사를 마치고 내부공사가 일부 진행된 상태에서 중단됐다. 공사가 재개된 건 지난해 8월이다. 장기간 공사를 진행하지 못한 탓에 건물상태에 대한 안전진단도 받았다. 건물 상태는 B등급으로, 이에 대한 보강공사와 중단된 내부공사를 진행하는 데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최용덕 시장은 오는 2023년 말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라며 준공 뒤 의료시설 허가 등 행정절차를 이행한 뒤 개원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진대는 종단인 대순진리회가 성남에 운영하는 분당제생병원에 이어 동두천 제생병원, 강원 고성 제생병원 등 병원 2곳을 개원하는 등 의료 인프라를 갖춰 의과대학 설립을 추진 중이다. 동두천=송진의기자

동두천시의회 정계숙 의원 발의한 중고교 입학준비금 지원조례 가결

동두천시의회 정계숙 의원 동두천시의회 국민의힘 정계숙 의원이 대표 발의한 동두천시 입학준비금 지원조례가 지난 22일 열린 제304회 정례회 제5차 본회의에서 만장일치로 가결됐다. 이 조례는 동두천에 주소를 둔 중고교 신입생들에게 소정의 입학준비금을 지원, 교육의 공공성 강화와 보편적 교육복지 실현이 목적이다. 동두천지역 중고교 신입생들과 타 지역에서 동두천 소재 학교로 전입하는 1학년 학생들에게 입학준비에 필요한 물품 구입비용 일부 지원이 주된 내용이다. 이에 따라 체육복, 학용품, 원격학습용 스마트기기 등의 구입비용 일부 지원에 따른 학부모 부담 경감과 교육복지수준 향상 효과 등이 기대된다. 입학준비금을 지원받고자 하는 신입생과 학부모 등은 매년 시장이 정하는 신청기간 내 소정의 입학준비금 지원신청서를 작성, 교장에게 제출하면 된다. 정 의원은 교육복지 향상과 시민체감 행복지수 상승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재선인 정 의원은 최근 대한민국 바른지도자상 의정부문 대상, 대한민국 자랑스런 인물대상(지자체 의정부문), 위대한 대한민국 국민대상 지방자치 발전 최고대상, 경기도 시군의회의장협의회 의정연구발전분야 최우수의원 상 등을 수상했다. 동두천=송진의기자

동두천 캠프모빌 헬기장 무인항공기 소음…주민들 피해 호소

소음으로 고통받는 주민들이 없도록 당국과 주한미군의 협조가 하루빨리 이뤄지길 바랍니다. 동두천시 보산동 주한미군 캠프 모빌 헬기장 무인항공기 운용에 따른 소음으로 인근 주민들이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주민들은 청와대 국민청원 등을 통해 민원을 제기하고 있지만 주한미군 측의 비협조로 개선되지 않고 있다. 21일 동두천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시가 보산동 주한미군 캠프 모빌 무인항공기 운용소음을 측정한 결과 순간 최고소음이 55~80㏈까지 측정됐다. 이는 소음진동관리법 등 관련 법상 기준치(50㏈)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하지만 헬기장 내 무인항공기 운용은 소음진동관리법이 규정한 공항이나, 군용비행장, 사격장 등에 해당되지 않아 적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자, 주민들은 무인항공기가 평일, 주말 주야간 구분 없이 운용되면서 피해를 겪고 있다며비행조건 조정 등을 요구하고 있다. 주민들은 이 같은 민원을 수년 동안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 등을 통해 호소하고 있다. 동두천시 거주 중인 시민 이민석씨는 매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소리가 커서 이 같은 소음을감소시키는 것은 고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며부디 해결책을 잘 마련해서 많은 주민이 소음피해로 힘들지 않길 바란다고 목청을 높였다. 동두천시민 김세영씨는 비행기 소음이 법적 기준치를 넘어가더라도 할 수 있는게 없어 답답할 노릇이라며 주민들이 단 하루라도 마음 편하게 생활할 수 있는 권리를 지켜달라고 토로했다. 동두천에 거주하는 김진표씨 역시 수년간 피해를 보면서 익숙해질만도 하지만, 여전히 비행기 소음에 깜짝 놀랄때가 많다며 대안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같은 주민들의 피해 호소에도 주한미군 측이 모르쇠로 일관하자, 동두천시가 한미협력협의회 실무회의에 안건으로 건의,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존에 운용하는 무인항공기에서 저소음 전동 무인항공기로 교체 등도 건의하겠다는 방침이다. 조이현 동두천시 환경보호과장은 시 차원의 독자적인 해결이 어렵다. 재건의를 통해 주민불편 해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동두천=송진의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