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What are you writing your report on? B: I’m writing about how to save the environment. A: You know that the substitution of electric cars for those gas-guzzlers would be a good start. B: Thanks. I’ll make sure to put that in my report. A: 어떤 내용으로 레포트를 쓰고 있어? B: 어떻게 하면 자연을 구할 수 있을지에 대해 쓰고 있어. A: 기름을 많이 소모하는 차를 전기자동차로 대체하는 것이 좋은 시작이 될 것 같아. B: 고마워. 반드시 보고서에 그 내용을 넣을게. substitution : 대리, 대용품, 보완적 대체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자료제공= 최선어학원
A: Are you expecting a package? B: No, I’m not. what is the name on the shipping label?A: It’s smeared and illegible. B: Well, it might be a care-package from home. Let’s open it.A: 뭐 받기로 한 물건 있어? B:아니. 송장에 뭐라고 적혀있는데?A: 얼룩져있어서 읽기 어려워. B:그럼, 아마 집에서 보낸 식품꾸러미일거야. 열어봐.label : ‘(종이 등에 물건에 대한 정보를 적어 붙여 놓은) 표’, ‘(사람물건의 성격 등을 묘사하는) 꼬리표’, ‘음반사’라는 사전적 의미를 갖고 있다. 최초의 label은 고대 이집트에서 포도주 항아리 뚜껑에 품질을 표시한 표식을 부착한 것이 시작이라고 전해진다. 유사한 표현으로는 tag, trademark, pigeonhole 등이 있다. 자료제공=최선어학원
A: Is Minho still having a hard time adjusting to school life? B: I think so. It isn’t easy to start a new school in a new language. A: Well, how are his grades? B: Each test he takes, he scores higher and higher on the grading continuum. A: 여전히 Minho는 학교생활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나? B: 그런 것 같아. 새로운 학교에서 새로운 언어로 시작하는 것은 쉽지 않아. A: 음, 성적은 어때? B: 매 시험마다, 성적 그래프에 점점 향상된 점수를 기록하고 있어. 자료제공= 최선어학원
A: This all sounds good, but I still don’t see how we can make money. B: Yes it is a little complicated. Let me give you an example to illustrate what I mean. A: I’d rather have it explained in detail. B: Okay, I’ll send you a report this afternoon. A: 좋은 생각 같긴 한데, 난 아직도 어떻게 자금을 만들지 모르겠어. B: 맞아 그건 조금 복잡해. 내가 한 얘기가 뭔지 보여주기 위한 예시를 들어볼게. A: 상세한 설명을 해주는 게 낫겠어. B: 알겠어. 오늘 오후에 보고서를 보내줄게. illustrate : (책 등에) 삽화를 쓰다[넣다] (설명을 위해 실례도해 등을) 이용하다 (실례도해 등을 이용하여) 분명히 보여주다. 실증하다, 실지로 보여주다. 자료제공= 최선어학원
A: It was obvious that he lied on the witness stand. B: Why do you say that? A: What he said was incompatible with the evidence collected by the CSIs. B: Maybe they made a mistake. A: 그가 증인석에서 거짓말을 한 것이 확실해. B: 왜 그렇게 말해? A: 그가 말한 것과 CSI에서 수집한 증거가 상반되니까. B: 아마 그들이 실수했을 거야. incompatible : (두 가지의 행동생각 등이 근본적으로 달라서) 양립할 수 없는, (두 가지 물건이 종류가 달라서) 함께 쓸[배합할] 수 없는, 호환성이 없는, (두 사람이 서로 너무 달라서) 공존할 수 없는. 자료제공= 최선어학원
A: Do you know that there is a huge black hole in our universe. B: I heard that, but it hasn’t been proven. A: No, but the scientific data infers that it exists. B: Still, I don’t think we need to worry. A: 우리 은하계에 거대한 블랙홀이 있다는 거 알아? B: 들어본 적 있어. 그렇지만 입증된 것은 아니야. A: 아냐, 과학적인 자료가 블랙홀의 존재를 암시한다고. B: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우리가 걱정할 필요 없다고 생각해. infer : ‘추론하다, 뜻하다, 암시하다’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자료제공= DYB최선어학원
A: Did you ever hear of Grace Kelly? B: Yeah, she was a Hollywood star who married a prince. A: But he gave up his power and his domain to marry her. B: Yeah, people do strange things for love. A: Grace Kelly 얘기 들은 적 있어? B: 응, 왕자와 결혼한 할리우드 스타잖아. A: 왕자는 그녀와 결혼하기 위해 그의 권력과 소유지를 포기했어. B: 그러게. 사람들은 사랑을 위해 이상한 짓을 하지. domain : 사전적 의미는 ‘(지식활동의) 영역’, ‘(책임의) 범위’, ‘(특히 옛날 개인정부 등의) 소유지’, ‘도메인’이다. 자료제공= 최선어학원
A: Congratulations on your new job. B: Thanks, but it’s only a entry-level position.A: Maybe so, but the company is well-established. You can’t expect to start at the top.B: I guess you’re right.A: 취업 축하해! B: 고마워, 하지만 그저 입문단계야.A: 아마 그럴 테지. 그렇지만 확실히 자리 잡은 회사야. 정상부터 시작하길 바라면 안 돼.B: 네 말이 맞아.established : 형용사로서 ‘인정받는’, ‘확실히 자리를 잡은’, ‘저명한’, ‘존경받는’, ‘국교의’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진다. 자료제공= 최선어학원
A: I wish we could go back to the 1980’s.B: Why? Look how much we have achieved in the last 30 years.A: But it was a paradigm of economic growth and hope. B: Don’t worry. Things will get better.A: 난 우리가 1980년대로 돌아갔으면 좋겠어. B: 왜? 우리가 지난 30년 동안 성취한 것을 봐.A: 하지만 그건 경제성장과 희망의 전형적인 표본이었어. B: 걱정하지 마. 다 잘 될 거야.paradigm : 사전적 의미는 ‘전형적인 예[양식]’, ‘(한 단어의) 어형(語形) 변화표’이며 보편적으로는 ‘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지배하고 있는 이론적 틀이나 개념의 집합체’ 정도로 사용된다. 어원은 ‘옆에’, ‘곁에‘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접두사 para와 ’보여주다‘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deiknynai에서 유래했다. 유사한 표현으로는 standard, archetype, prototype 등이 있다. 자료제공=최선어학원
A: How is philosophy class going? B: I don’t know. I wish I had a different professor teaching Confucianism. A: Is it because she doesn’t know much about it? B: No, but she tries to incorporate her Christian beliefs into Korean philosophy. A: 철학 클래스는 어떻게 되어가고 있어? B: 잘 모르겠어. 난 유교담당 교수가 바뀌길 바라고 있어. A: 그녀가 유교에 대해 아는 게 많지 않아서 그래? B: 그건 아니지만, 한국 철학에 그녀의 기독교신앙을 통합시키려고 해. incorporate : 사전적 의미는 포함하다, 설립[창립]하다 이다. 자료제공= 최선어학원
A: It used to be easy to figure out the size of an apartment when we used “p`yung.” B: Yeah, I know what you mean; everything is in square meters now. A: I have a hard time converting that into “p`yong”. B: That’s globalization for you. A: 우리가 “평”을 사용했을 때 아파트의 크기를 계산하는 게 쉬웠었는데. B: 그래, 네가 말하는 게 무슨 말인지 알지만, 모든 사이즈가 제곱미터로 표기되어 있으니깐 A: 나는 (제곱미터로 표기 된 것을) “평”으로 바꿔서 사용하느라 애를 먹었어. B: 세계화니까.convert : ‘(형태목적시스템 등을) 전환시키다’, ‘(의견습관 등을) 바꾸다’, ‘개종하다’, ‘전향하다’라는 사전적 의미를 갖고 있다. 자료제공= 최선어학원
A: How do you do? I’m Mr. Kim, CEO of ATS. B: Oh, our new competitor. I was wondering when I would run into you. A: Yes, I guess this encounter was inevitable. B: Well, enjoy the seminar, and good luck. A: 안녕하세요? 전 Mr. Kim입니다. ATS의 CEO죠. B: 아, 우리의 새로운 경쟁자시군요. 언제쯤 만나 뵐 수 있을지 궁금했습니다. A: 네, 이 만남은 필연적이라고 생각했어요. B: 그럼, 세미나를 즐기시기 바랍니다. 행운을 빌어요. 자료제공= 최선어학원
A: My supervisor keeps tying my hands. I can’t get anything done. B: Well, maybe your ideas are not in conformity with his vision for the department. A: He should at least be open to new ideas. B: I think that you expect too much. A: 내 상사가 날 구속하고 있어. 아무것도 못하겠어. B: 음, 아마 너의 아이디어가 부서에 관한 그의 생각과 어울리지 않아서 일거야. A: 그는 최소한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게 좋을 것 같아. B: 넌 그에게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하는 것 같아. conformity : 사전적 의미는 ‘(규칙관습 등에) 따름’, ‘순응’이다. ‘함께’, ‘서로’라는 뜻을 가진 접두어 con과 formity가 결합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형태를 만들다’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formare에서 유래했다. 유사한 표현으로는 orthodoxy, conformism 등이 있다. 자료제공= 최선어학원
A: I have this persistent pain in the back of my neck. B: Maybe you should take some aspirin or get a message. A: I’ve tried everything, but it just won’t go away. B: You know, you might have high blood pressure. A: 목 뒤편이 지속적으로 아파. B: 아마 넌 약간의 아스피린을 먹거나 마사지를 받아야 할 거야. A: 죄다 시도해봤지만, 그대로였어. B: 너도 알겠지만, 넌 고혈압일거야. persistent : ‘끈질긴’, ‘집요한’, ‘끊임없이 지속[반복]되는’이란 뜻의 형용사다. 유사한 표현으로는 durable, constant, permanent, continuing 등이 있다. 자료제공= 최선어 학원
A: I’m really worried about North Korea. B: The Chinese are the only ones who can do anything. A: I know, but they are reluctant to take action. B: Don’t worry. I’m sure China will cave in to international pressure. A: 난 북한이 정말 걱정스러워. B: 중국인들만이 무엇이든지 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들이지. A: 나도 알지만, 그들은 조치를 취하는 것을 주저해. B: 걱정하지마. 난 중국이 국제적 압력에 굴복할거라고 확신해. reluctant : 사전적 의미는 ‘꺼리는‘, ‘마지못한‘, ‘주저하는‘이다. 유사한 표현으로는 indisposed, disinclined, loath, hesitant 등이 있다. 자료제공= 최선어학원
A: Did you hear the rumor about the company downsizing? B: It’s more than rumor. They’re going to announce it tomorrow. A: I heard that they plan to eliminate 20% of the factory jobs. B: Yeah, I’m worried about my job, too. A: 회사가 구조조정 한다는 소문 들었어? B: 소문만이 아니야. 그들은 내일 발표할거야. A: 20%의 공장 일자리들을 없앨 계획이라고 들었어. B: 맞아, 난 내 일자리 역시 걱정돼. eliminate : 없애다, 삭제하다, (시합 등에서) 탈락시키다, (적적수를) 제거하다 자료제공= 최선어학원
A: I decided to quit smoking as my New Year’s resolution. B: Again? You said that last month, but you couldn’t do it. A: Ah, that was the solar New Year. This is my lunar New Year’s resolution. B: Okay, whatever. A: 나 새해의 다짐으로 금연을 결심했어. B: 또? 넌 지난달에 얘기했었지만 하지 못했어. A: 아, 그건 양력 새해였어. 이건 음력 새해의 다짐이야. B: 음, 뭐… 알겠어. resolution : 사전적 의미는 ‘결의안’, ‘(문제불화 등의) 해결’, ‘결단력’, ‘굳은 다짐[결심]’이다. 유사한 표현으로는 declaration, conclusion 등이 있다. 자료제공= 최선어학원
A: I’m a little worried about little Tommy. B: But he’s only three years old. What are you worried about? A: Sometimes he very naughty. I’m worried that he’ll grow up to be a bad person. B: Three-year-olds don’t yet make the distinction between right and wrong. A: 나는 우리 Tommy 때문에 조금 걱정돼. B:그 애는 고작 세 살이야. 대체 뭐가 걱정인데? A: 가끔씩 걘 너무 버릇이 없어. 난 그 애가 나쁜 사람으로 성장할까봐 걱정돼. B: 세 살배기는 아직 옳고 그름을 구분할 수 없어. distinction : (특히 비슷하거나 관련이 있는 것들 사이의 뚜렷한) 차이, 뛰어남, 탁월함, 특별함, 구분, 차별 자료제공= 최선어 학원
A: My car was recalled. I have to take it in to get it checked. B: That’s happening a lot lately. It happened to me last year. A: We need to get to the bottom of this. B: I think a special commission should investigate the matter. A: 내 차가 리콜(회수)됐어. 확인하러 가봐야 해. B: 자주 있는 일이야. 나도 작년에 겪었어. A: 우리는 이것에 대한 원인을 밝혀낼 필요가 있어. B: 난 전문위원회가 사건을 조사해야 한다고 생각해. investigate (상황사건범죄 등에 대해) 수사[조사]하다, (어떤 주제문제에 대해) 조사[연구]하다, (사람의 성격행동 등에 대해) 조사하다 자료제공= 최선어학원
A: It was a very close election. B: Yeah, it went down to the wire, but I think we won. A: So, why don’t they announce the winner? B: They are recounting the votes to verify the results. A: 아주 막상막하의 선거였어. B: 응. 최후의 순간까지 왔지만, 난 우리가 이겼을 거라고 생각해. A: 그렇다면, 왜 그들이 승자를 발표하지 않을까? B: 그들이 결과가 사실인지 확인하기 위해 재집계하고 있어서 그래. verify : ‘(진실인지정확한지) 확인하다/입증하다’, ‘(진실이라고정확하다고) 확인해주다’의 사전적인 뜻을 가진 동사이다. 어원적으로 살펴보면 ‘진실된’, ‘진정한’이라는 의미의 라틴어 verus와 ‘만들다’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facere에서 유래했다. 자료제공= 최선어 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