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남양주시 통합’ 6년만에 다시 꿈틀

구리시와 남양주시 양 지자체 간 통합 추진을 위한 움직임이 6년 만에 수면위로 다시 떠올랐다. 지난 2009년 당시에는 남양주시가 구리시와의 자율통합을 추진, 구리시의 반대로 무산됐지만 경제인이 중심이 된 이번 움직임에는 양측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시민과 경제인이 함께하는 구리-남양주 행정구역 통합 준비모임의 첫 회동이 12일 남양주시 금곡동에 소재한 경기동부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회동에는 김문경 구리문화원장과 최청수 한국자유총연맹 구리시지부 회장, 명제태 경기동부상공회의소장, 김용환 남양주시 이통장협의회장 등 양측 위원 13명이 참석했다. 김문경 구리문화원장 주재로 열린 이날 모임에서 위원들은 최청수, 명제태 회장을 각각 구리ㆍ남양주 지역 공동 준비위원장으로 선출하고, 문영규 경복대학교 교수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했다. 구리-남양주 통합준비위원회(약칭 통합 준비위원회) 명칭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위원들은 시민과 지역 경제인이 중심이 되는 경제통합, 즉 구리-남양주 지역 경제와 생활권의 통합을 주목적으로 양 지자체를 하나로 묶는 것에 뜻을 모으고 향후 통합을 위한 의지를 다졌다. 특히 위원들은 통합준비위원회가 정치적 목적으로 악용될 우려를 불식시키고자 운영 조례(안)에 제7회 2018년 지방선거에 출마하지 않는 의무를 지닌다는 항목과 함께 지방선거 불출마 서약서를 작성, 제출했다. 통합 준비위원회 발대식 일정은 추후 다시 결정키로 했다. 통합준비위원회 측은 현재 양 시장은 물론 지역 국회의원, 당협위원장 등 지역 주요 정치인들이 통합에 대해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최청수 구리 위원장은 통합준비위원회는 통합이 최종 결정되기까지 모든 행정절차가 순조롭게 이행되도록 하는 준비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청원ㆍ청주의 잘 된 통합 사례와 마찰을 빚는 마산ㆍ창원 사례 등을 벤치마킹하는 등 빠르게 움직일 것이라고 밝혔다. 명제태 남양주 위원장은 한마음 한뜻으로 모인 양 지역 위원들은 앞으로 통합 역사에 큰 획을 긋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라며 지난 2009년 한번 실패했던 경험을 토대로 상호 간 협조를 통해 명품통합시라는 그림을 그리며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자고 말했다. 한편, 구리-남양주 통합준비위원회는 지역 정가 및 시민의 여론을 반영해 행정자치부에 양 지자체 통합 신청을 한 뒤 본격적인 통합추진위원회를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남양주=하지은기자

남양주시그린농업대학 연찬교육 실시

남양주시그린농업대학은 지난 7일부터 8일까지 1박 2일 동안 남양주시 화도읍 소재 국제광림비전랜드에서 2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남양주시그린농업대학 연찬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연찬교육은 그린농업대학 구성원으로서의 공동체 의식 함양과 새로운 지식ㆍ기술을 습득해 지역사회의 리더로 도약하기 위해 실시됐다. 먼저 소통 역량 강화 훈련인 미션 블루마블을 통해 팀워크를 배양시킴은 물론, 소통의 시간을 가짐으로써 화합을 다지고 마음의 편지 쓰기,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사회 기여와 환원이라는 주제의 특강을 마지막으로 2일간의 교육을 마무리 지었다. 이석우 시장은 남양주시를 행복도시와 슬로라이프에 바탕을 두고 특별시보다 더 특별한 도시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10월 8일부터 개최되는 2015남양주 슬로라이프국제대회가 성공적 개최되기 위해서는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남양주시그린농업대학은 2006년부터 농업 CEO 육성을 위해 1년 과정으로 운영하고 현재까지 1천300여명을 배출했다. 올해는 4개학과(채소과, 특용작물과, 관광농업과, 생활원예과) 152명이 교육받고 있다. 남양주=하지은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