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천재인 뉴질랜드 교포 리디아 고(17)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마라톤 클래식 우승을 차지했다. 세계 랭킹 2위 리디아 고는 21일 미국 오하이오주 펜실베이니아의 하이랜드 메도우 골프클럽(파71)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4라운드에서 보기 없이 버디만 6개를 뽑아내며 6언더파 65타를 기록, 최종합계 15언더파 269타로 유소연(하나금융그룹ㆍ270타)을 1타 차로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이로써 리디아 고는 올해 4월 스윙잉스커츠 클래식에서 프로 데뷔 후 첫 LPGA 투어 우승을 차지한 뒤 시즌 2승째를 거뒀다. 17번 홀(파5)까지 유소연과 공동 선두를 달린 리디아 고는 마지막 18번 홀(파5)에서 버디를 낚아 짜릿한 1타 차 우승을 낚았다. 중반까지는 13언더파로 공동 선두를 달리던 크리스티 커(미국)와 우승 경쟁을 벌였다. 그러나 커는 15번 홀(파4)에서 1m도 채 되지 않는 짧은 거리의 파 퍼트를 놓치면서 우승권에서 밀려났고 리디아 고의 남은 경쟁자는 유소연이었다. 리디아 고 다음 조에서 경기한 유소연은 16번 홀에서 버디를 잡아 턱밑까지 추격했고 17번 홀에서 7m가 넘는 긴 거리의 버디 퍼트를 성공시켜 공동 선두로 도약했다. 하지만 리디아 고가 18번 홀에서 버디를 기록하며 다시 한 타 차로 달아났고, 유소연은 이 홀에서 2m 정도 거리의 버디 퍼트에 실패, 연장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한편, 커는 12언더파 272타로 단독 3위를 차지했으며, 말레이시아 국적의 켈리 탄이 11언더파를 치며 공동 4위에 올랐다. 황선학기자 2hwangpo@kyeonggi.com
리디아 고 마라톤 클래식 우승 최연소 상금 100만 달러 돌파 리디아 고(17)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마라톤 클래식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1일(한국시간) 세계 랭킹 2위 리디아 고는 미국 오하이오주 실베이니아의 하이랜드 메도우 골프클럽(파716천512야드)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4라운드에서 보기 없이 버디만 6개를 뽑아내 6언더파 65타를 기록했다. 최종합계 15언더파 269타를 친 리디아 고는 유소연(24하나금융그룹)을 한 타 차로 따돌리고 우승했다. 앞서 아마추어 신분이던 2012년과 2013년 캐나다 여자오픈을 연달아 제패한 리디아 고는 올해 4월 스윙잉스커츠 클래식에서 프로 데뷔 후 첫 LPGA 투어 우승을 차지한 뒤 프로 신분으로는 투어 2승째를 기록했다. 리디아 고는 중반까지 크리스티 커(미국)와 우승 경쟁을 벌였지만 커가 15번 홀(파4)에서 1m도 채 되지 않는 짧은 거리의 파 퍼트를 놓치면서 우승권에서 밀려났고, 이후 유소연과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리디아 고는 17번 홀까지 유소연과 함께 14언더파로 공동 선두를 달리다 마지막 18번 홀에서 버디를 낚아 짜릿한 한 타 차 우승을 차지했다. 한편 리디아 고는 이날 우승으로 LPGA 투어 사상 최연소 상금 100만 달러 돌파 기록도 세웠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리디아 고 마라톤 클래식 우승
여자골프 대형 유망주 성은정(15안양여중)이 US여자아마추어 퍼블릭링크스(WAPL) 골프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성은정은 20일 미국 워싱턴주 듀폰의 홈 코스(파72)에서 열린 대회에서 매치플레이 결승전에 올랐으나 중국의 푸미에 조에 2홀을 남기고 3홀을 뒤져 우승컵을 넘겨줬다. 지난해까지 국가대표를 지낸 성은정은 스트로크 플레이 방식으로 펼쳐진 1,2라운드에서는 WAPL 역대 최소타인 합계 10언더파 134타를 기록해 1위에 올랐지만 우승컵을 들어올리는 못했다. 특히, 성은정은 앞선 스트로크 플레이 2라운드에서도 버디만 8개 잡아내며 8언더파 64타를 기록, WAPL 18홀 최소타 기록을 1타 줄였다. 성은정의 어머니 소경순(43)씨는 은정이가 스트로크 플레이에서는 코스레코드도 작성하는 등 매우 잘했는데 매치플레이 방식은 처음이라 긴장을 많이 해 실수를 많이 했다며 아쉬워했다. 황선학기자 2hwangpo@kyeonggi.com
'미녀 골퍼' 윤채영이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9년 만에 첫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일 제주 오라컨트리클럽 동서코스(파726천522야드)에서 열린 제주삼다수 마스터스 마지막 날 3라운드에서 윤채영은 최종합계 11언더파 205타로 김해림(25하이마트), 장수연(20롯데마트)과 동타를 이룬 뒤 첫 번째 연장전에서 승리를 거두고 '우승 갈증'을 풀었다. 세계랭킹 3위인 박인비(26KB금융그룹)는 최종합계 10언더파 205타로 이다솜(25한화)과 공동 4위로 대회를 마쳤고, 백규정(19CJ오쇼핑)과 김효주(19롯데)는 공동 6위(8언더파 208타)에 올랐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윤채영 우승
박인비 커리어 그랜드슬램 골프여제 박인비(26KB금융)가 아시아 선수 최초의 여자 골프 커리어 그랜드슬램에 도전한다. 박인비는 10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영국 랭커셔의 로열 버크데일 골프클럽(파72)에서 열리는 브리티시여자오픈에서 우승 도전에 나선다. 이 대회에서 박인비가 우승할 경우, 아시아선수 최초로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게 된다. 선수 생활을 하는 동안 4개 메이저 대회를 모두 우승하는 것을 일컫는 커리어 그랜드 슬램은 현재까지 6명의 선수만이 달성한 바 있다. 특히 2000년 이후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선수는 카리 웹(호주)과 안니카 소렌스탐(스웨덴) 단 두 명 뿐이다. 지난해 메이저대회 크라프트 나비스코 챔피언십, LPGA 챔피언십, US여자오픈을 잇따라 제패한 뒤 올해 초 잠시 주춤했던 박인비는 지난달 열린 매뉴라이프 파이낸셜클래식에서 LPGA 투어 시즌 첫 승을 신고하며 커리어 그랜드슬램 달성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박인비는 한국시간으로 10일 오후 7시15분 1라운드 티오프를 할 예정이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사진= 박인비 커리어 그랜드슬램
프로나 아마추어 골퍼들에게 가장 힘들고 어려운 샷을 꼽으라면 아마도 롱 아이언 샷일 것이다. 롱 아이언은 150m 이상 남는 거리를 정확하게 공략해야 하는 만큼 난이도가 높고, 다른 클럽에 비해 원하는 결과를 얻기도 힘들다. 특히 아마추어골퍼는 프로들에 비해 샷거리가 짧기 때문에 롱아이언의 사용빈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롱아이언을 쉽게 다룰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습득해 완벽한 샷을 만들어 보자. ▲우선 롱 아이언을 잘 치려면 클럽길이에 대한 부담을 줄여야 한다. 7번 아이언처럼 생각하고 평소와 똑같은 리듬을 유지하도록 한다. 거리를 생각해 강하게 치려고 하면 정확도와 비거리, 모두를 잃게 되므로 그린에 곧바로 온을 시킨다는 생각을 버리고, 침착하게 평소의 샷 감각을 유지하도록 한다. 볼을 띄우기 위해서 백스윙 때 클럽을 가파르게 들어 올리면 다운스윙시도 가파르게 진행돼 좋은 샷을 할 수 없게 된다. 테이크백을 천천히 해 어깨 턴을 이용, 넓은 스윙아크를 만들어 임팩트시 완만한 경사로 볼에 접근해야 하며 임팩트시 볼에 접근할 때는 우드샷과 같이 쓸어쳐야 한다. 정확한 스윗 스팟 임팩트를 유도하기 위해 어드레스시 구부린 척추 각도를 유지, 백스윙부터 임팩트까지 안정적인 힙 회전을 한다. 롱아이언을 사용할 때 스윙을 최대한 부드럽고 천천히 진행하고 볼에 집중해야 실수가 없어진다. 그리고 클럽과 내 스윙을 믿고 평소대로 원만한 스윙을 해야 하며, 비거리를 의식해 그립을 강하게 잡고 스윙을 진행하지 말아야 한다.
김인경 유러피언 마스터스 우승 LET에서만 2승째 김인경이 유럽여자프로골프 투어(LET) ISPS 한다 레이디스 유러피언 마스터스(총상금 50만 유로) 대회에서 우승했다. 지난 6일(현지시간) 영국 버킹엄셔주 데넘의 버킹엄셔 골프클럽(파726천498야드)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4라운드에서 김인경은 보기 없이 버디만 4개를 뽑아내 4언더파 68타를 기록했다. 김인경은 최종합계 18언더파 270타의 성적으로 단독 2위 니키 캠벨(호주)을 5타 차로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그녀는 지난 2009년 12월 LET 오메가 두바이 레이디스 마스터스 우승에 이어 LET에서 개인 2승째를 따냈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김인경 유러피언 마스터스 우승
재미동포 미셸 위(25ㆍ한국명 위성미ㆍ나이키 골프)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시즌 두 번째 메이저대회인 제69회 US여자오픈골프대회에서 생애 첫 메이저 타이틀을 차지했다. 미셸 위는 22일(현지시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파인허스트의 파인허스트 골프장 2번 코스(파70)에서 열린 대회 최종 4라운드에서 이븐파 70타를 기록, 최종합계 2언더파 278타로 세계랭킹 1위 스테이시 루이스(미국280타)를 2타 차로 제치고 우승했다. 이로써 미셸 위는 지난 2005년 10월 프로 데뷔 후 9년 만에 메이저대회 우승컵을 들어올렸으며, 지난 2011년 유소연(하나금융그룹)을 시작으로 2012년 최나연(SK텔레콤), 지난해 박인비(KB금융그룹)에 이어 4년 연속 한국계 선수의 우승행진을 이어갔다. 3라운드까지 양희영(KB금융그룹)과 2언더파로 공동 선두를 이루며 공동 3위권 선수들에 4타 앞선 가운데 4라운드를 맞이한 미셸 위는 15번 홀까지 보기 1, 이글 1개로 1타를 줄여 루이스에 3타 앞서며 쉽게 우승하는 듯 했다. 그러나 16번 홀(파4)에서 두 번째 우드샷이 그린 앞 벙커와 러프 사이 깊숙한 곳에 빠지자 미셸 위는 언플레이어블을 선언하고 1벌타를 받은 뒤 4번째 웨지샷을 쳤지만 이마저도 핀에서 벗어나 더블 보기로 홀아웃했다. 루이스에 1타 차로 쫓기며 위기를 맞은 미셸 위는 17번 홀(파3)에서 약 8m짜리 그림같은 버디 퍼팅을 성공시켜 우승을 확정지었다. 한편, 챔피언 조에서 미셸 위와 기량을 겨룬 2012년 준우승자 양희영은 초반 더블보기 등으로 4타를 잃고 합계 2오버파 282타로 4위로 내려앉았다. 또 이미나(볼빅)와 유소연은 합계 3오버파 283타 공동 5위를 기록했고, 디펜딩챔피언 박인비(KB금융그룹)는 13오버파 294타로 공동 46위에 그쳤다. 황선학기자 2hwangpo@kyeonggi.com
'미셸 위 우승' 재미동포 미셸 위(25ㆍ한국명 위성미)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시즌 두 번째 메이저대회인 제69회 US여자오픈골프대회에서 생애 첫 메이저 타이틀을 차지했다. 미셸 위는 22일(현지시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파인허스트의 파인허스트 골프장 2번 코스(파70)에서 열린 대회 최종 4라운드에서 이븐파 70타를 기록, 최종합계 2언더파 278타로 세계랭킹 1위 스테이시 루이스(미국이븐파 280타)를 2타 차로 제치고 우승했다. 이로써 미셸 위는 지난 2005년 10월 프로 데뷔 후 9년 만에 메이저대회 우승컵을 들어올렸으며, 지난 2011년 유소연(하나금융그룹)을 시작으로 2012년 최나연(SK텔레콤), 지난해 박인비(KB금융그룹)에 이어 4년 연속 한국계 선수가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3라운드까지 양희영(KB금융그룹)과 2언더파로 공동 선두를 이루며 공동 3위권 선수들에 4타 앞선 가운데 4라운드를 맞이한 미셸 위는 15번 홀까지 보기 1개, 이글 1개로 1타를 줄이며 추격전에 나선 루이스에 3타 앞서며 쉽게 우승하는 듯 했다. 그러나 16번 홀(파4)에서 두 번째 우드샷이 그린 앞 벙커와 러프 사이 깊숙한 곳에 빠지자 미셸 위는 언플레이어블을 선언하고 1벌타를 받은 뒤 4번째 웨지샷을 쳤지만 이마저도 핀에서 한참 벗어나 더블 보기로 겨우 홀아웃했다. 루이스에 1타 차로 쫓기며 위기를 맞은 미셸 위는 17번 홀(파3)에서 티샷을 그린 위에 올린 뒤 약 8m짜리 그림같은 버디 퍼팅을 성공시켜 우승을 확정지었다. 한편, 이날 챔피언 조에서 미셸 위와 기량을 겨룬 2012년 준우승자 양희영은 초반 더블보기 등으로 4타를 잃고 합계 2오버파 282타로 4위로 내려앉았다. 또 이미나(볼빅)와 유소연은 합계 3오버파 283타 공동 5위를 기록했고, 디펜딩챔피언 박인비(KB금융그룹)는 13오버파 294타로 부진해 공동 46위에 그쳤다. 황선학기자 2hwangpo@kyeonggi.com 사진= 미셸 위 우승, 연합뉴스
하이브리드 클럽은 만능이다. 롱 아이언보다 치기는 쉽고, 비거리는 우드 비거리와 비슷하다. 더욱이 하이브리드 클럽은 러프, 디벗, 내리막, 오르막 등 까다로운 지형에서 한층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페어웨이우드와 롱아이언의 장점만을 결합해 만든 이 클럽은 많은 아마와 프로가 애용하는 비밀병기가 됐다. 하이브리드는 우선 우드보다는 아이언에 가까운 샷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아이언 샷처럼 스윙한다고 해서 다운블루(위에서 아래로 내려치듯 치는 샷)로 공을 너무 찍어 치면 안 된다. 클럽 로프트가 크고 헤드도 무거워 아마추어들은 자칫 감기거나 혹성 구질이 나오기 쉽기 때문이다. 헤드가 임팩트한 전후 20㎝ 구간을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쓸어치는 느낌으로 해야 한다. ▲완벽한 하이브리드 샷의 체크포인트 부드러운 스윙템포로 해야 한다. 볼의 위치는 5~4번 아이언처럼 중앙보다 왼발 쪽에 러프에서는 볼 한두 개정도 오른발 쪽에 둔다. 클럽헤드가 임팩트 전후 20㎝ 구간을 쓸어 치듯 해야 한다. 다운스윙 때는 체중이동을 왼발 쪽으로 이동해야 하며, 임팩트구간을 통과할 때 허리와 함께 오른발 뒤꿈치를 지면에서 들어주면서 회전력을 가속한다. 백스윙은 3/4 정도로 간결하게 하고, 다운스윙 때도 서두르지 않고 리듬을 이용해 스윙한다. 스윙은 원을 그리듯 부드럽게 해야 하며, 가파른 스윙보다는 원만하게 지면을 스치듯 진행한다. 내리막 라이일 때는 볼을 약간 우측 발쪽에 두고 양쪽 어깨 높이를 내리막 라이와 평행하게 맞춘 뒤 슬라이스 구질을 생각해서 목표물보다 약간 왼쪽을 겨냥하면서 샷을 진행한다. 체중이동은 금물이며 오르막 라이는 이와 반대로 진행한다. 어려운 라이나 좁은 페어웨이를 만나면 정확성을 높여야 하므로 그립을 1~1.5인치 내려 잡고 부드럽게 스윙한다. 바람이 많이 불 때는 하이브리드 대신 롱 아이언을 이용해 볼의 탄도를 낮게 유도, 바람 영향을 덜 받게 하는 코스공략도 매우 바람직하다. 하이브리드를 우드처럼 플레이하면 샤프트 각도로 인해 스윙이 타깃 라인 안쪽으로 흐르게 되기 때문에 클럽페이스가 닫혀 훅이 많이 발생할 수 있어 아연샷처럼 팔로스로우를 잊지 않고 20㎝이상 끌고갈 수 있도록 한다면 완벽한 하이브리드 샷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