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력·직무 열정… “결국 또다른 스펙” 한숨

최근 획일화된 스펙 대신 직무능력과 잠재력 등을 평가하는 인재선발 제도가 등장하면서 구직자들 사이에서 또 다른 한숨이 새어 나오고 있다. 잠재력 등을 보여주기 위한 새로운 스펙쌓기 현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큰데다 기준자체가 모호해 혼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그룹은 지난 15일 20년 만에 서류전형을 도입하고 대학 총장에게 인재 선발권을 부여하는 등 올해부터 채용제도를 바꾸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삼성 고시라 불리는 SSAT(삼성직무적성검사)를 둘러싼 과열 경쟁에 칼을 빼든 것이다. 하지만, 채용방식 변화에 당황한 구직자들은 온라인 취업 커뮤니티 등에서 바뀐 제도에 대응하고 정보 수집을 위해 열을 올리는 등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대기업 입사를 준비 중인 이모씨(25ㆍ전자공학과 3년)는 총장 추천제도는 기껏해야 한 과에서 한 명 정도 해당되는 것 아니겠냐며 객관적일지도 의문이고 모두에게 주어지는 동등한 기회가 사라지는 것 같다. 결국 스펙 경쟁 아니겠냐고 우려했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된 기업과 공공기관 등의 탈스펙 채용변화도 구직자들에게는 여전히 스펙의 연장선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잠재력과 도전정신, 열정 등을 보여주기 위한 맞춤형 스펙을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서류전형 대신 SNS를 활용한 전형이 확산되자 영상 제작, 프레젠테이션, UCC제작 등을 도와주는 취업전문학원까지 생겨나는 추세다. 도내 대학교 3년에 재학 중인 김모씨(여ㆍ22)는 이번 방학 때 대외활동에 넣을 수 있는 활동이나 공모전, 봉사활동은 있는 대로 다 해두고 면접에 대비하기 위해 스피킹 학원이나 뮤지컬 학원 등록도 알아보고 있다며 사회성과 리더십을 보여주고자 새 학기에 학과 임원을 맡으려는 친구들도 있다고 말했다. 취업준비생 오모씨(28)는 등록금을 내기 위해 방학 때도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제대로 된 대외활동이나 해외 연수, 봉사는 꿈도 꾸지 못했는데 결국 나 같은 사람은 이 같은 방식에 내세울 게 없다면서 뻔한 스펙이 아닌 잠재력을 보겠다는 취지는 좋지만 아무래도 대외활동이나 해외봉사 등 형편이 되는 학생들에게 유리하지 않겠느냐고 푸념했다. 한편 지난해 취업포털 사람인이 구직자 74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2.4%가 기업의 스펙초월 채용 확산 추세가 구직활동과 취업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 같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어차피 기본 스펙을 갖춰야 할 것 같아서(53%, 복수응답), 어떤 것 위주로 준비해야 할지 막막해서(38.8%), 외향적인 일부에게만 유리할 것 같아서(36%), 공정한 경쟁이 어려울 것 같아서 (22.2%)등 이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대학 총장에 추천권… 확 바뀌는 삼성 채용제도

삼성이 서류 전형을 부활시키고, 대학 총장에게 추천권을 부여하는 등 신입사원 채용제도를 전면 개편한다. 삼성그룹은 15일 전국 200개 4년제 대학의 총학장에게 인재 추천권을 부여하고 찾아가는 열린채용 방식에 의한 서류전형을 가미한 연중 수시 채용 방식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찾아가는 열린 채용은 지역 거점 대학을 중심으로 30개 안팎 대학을 연중 방문해 사전 인터뷰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또 총학장 추천제로 5천명가량 인재를 발굴할 예정이다. 대학별 채용인원 배정은 해당 대학의 삼성 입사 실적 등을 고려해 정해진다. 삼성은 이르면 이달 말이나 2월 초부터 수시 지원 시스템을 개설, 연중 채용 접수를 시작할 계획이다. 삼성은 매년 4월과 10월 상하반기 신입사원 공채의 기본 틀과 전체 채용인원에서 지방대 출신 35%, 저소득층 5%의 비중은 그대로 유지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삼성은 과도한 경쟁을 완화하고 사회적 부담과 비용의 절감, 대량 탈락자 양산을 방지하기 위해 직무 전문성과 인재상 중심의 서류전형을 운영하기로 했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성실하고 체계적으로 준비한 인재가 취업에 성공하는 바람직한 직업선택의 문화를 만들어 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인재를 찾습니다]와이센테크(주), 제품관리자ㆍ생산관리사무원 모집 外

▲ 와이센테크(주) ; 제품관리자, 생산관리사무원 모집 안성시 원곡면에 위치하며 전자부품을 제조하는 업체이다. 이 회사는 제품관리자(학력무관/경력1년이상) 1명, 생산관리사무원(고졸이상/경력1년이상) 1명을 모집한다. 지원서 접수는 E-MAIL로 받으며, 전형은 서류와 면접으로 진행 된다 (☎031-654-7215) ▲ 청우산업(주) ; 건축캐드원, 단순생산직원 모집 포천시 신북면에 위치하며 창호, 철물등을 제작, 시공하는 업체이다. 이 회사는 건축캐드원(고졸이상/경력1년이상) 1명, 단순생산원(학력무관/경력무관) 4명을 모집한다. 지원서 접수는 방문, 우편, E-MAIL로 받으며 전형은 서류와 면접으로 진행 된다 (☎070-4346-7301) ▲ 맥스플러스이앤지(주) : MCT조작원, 범용선반원 모집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에 위치하며 반도체장비 부품을 가공하는 업체이다. 이 회사는 MCT조작원(학력무관/경력3년이상) 1명, 범용선반원(학력무관/경력3년이상) 1명을 모집한다. 지원서 접수는 방문, 팩스, E-MAIL로 받으며 전형은 서류와 면접으로 진행된다 (☎031-338-3975) ▲ ㈜엔아이씨이 ; 영업기획사무원, 단순보조원 모집 분당구 서현동에 위치하며 SMC물탱크를 제조하는 업체이다. 이 회사는 영업기획사무원(대졸이상/경력1년이상) 1명, 단순보조원(학력무관/경력무관) 5명을 모집한다. 지원서 접수는 E-MAIL로 받으며, 전형은 서류와 면접으로 진행 된다 (☎ 031-608-0009) ▲ ㈜알토켐 ; 해외영업원, 경리사무원 모집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에 위치하며 수성잡착제, 코팅용수지를 제조하는 업체이다. 이 회사는 해외영업원(전문대졸이상/경력1년이상) 1명, 경리사무원(고졸이상/경력무관) 1명을 모집한다. 지원서 접수는 E-MAIL로 받으며, 전형은 서류와 면접으로 진행 된다 (☎ 031-336-9347)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보육교사의 꿈’ 지금 펼쳐보세요

경기불황과 취업난으로 어린이집 교사인 보육교사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새정부도 0~5세까지 무상보육을 실시하고,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공통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을 확대 시행해 보육교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안양보육교사교육원(이창수 원장)이 2014년 보육교사 국가자격증 취득과정(1년)신입생을 모집한다. 안양보육교사교육원은 1994년 경기도 제6호로 설립 인가를 받은 보육교사 양성기관이다. 경기중부지역(안양, 안산, 의왕, 과천, 군포, 광명)에서 활동할 보육교사를 양성하며 지난 20년간 5천200여 명의 보육교사를 배출했다. 경기지역뿐만 아니라 전국에서도 우수한 교육원으로 손꼽히고 있다. 보육교사 양성은 1년간 교육과정과 4주간의 보육실습으로 진행된다. 교육기간 동안 사회복지시설 자원봉사와 전문적 보육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보육관련 세미나와 보육시설 참관도 실시된다. 유승열 안양보육교사교육원 사무국장은 입학 초기에 교수들과 1박2일로 임원연수 및 체육대회 등 각종 학생회 활동과 졸업여행도 함께 하고, 교육과정 동안 주임교수와 학생들 간의 조별 및 개인상담도 진행돼 학생들의 고충과 고민, 의견이 적극적으로 수용돼 원활한 교육이 이뤄진다고 말했다. 안양보육교사교육원은 보육교사 양성과정뿐만 아니라 보육교직원의 보수교육, 12급 승급교육, 어린이집 원장 사전직무교육, 영아다문화보육 전문교육 등 다양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부설어린이집으로 민들레어린이집과 과천시로부터 위탁받은 시립갈현어린이집을 운영 중이다. 사랑, 봉사, 성실이라는 원훈 아래 올해 293명의 졸업생을 배출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 과천시로부터 새로 위탁받은 육아종합지원센터 내에 아이러브맘카페와 엄마랑아이랑 시간제보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중부지역 보육교직원 뿐만이 아니라 지역주민들의 좋은 호응도 받고 있다. 현재 경기도 보육교사교육원 연합회장을 겸하고 있는 이창수 안양보육교사교육원장은 평소에도 보육교사 양성에 투철한 사명감과 확고한 교육철학을 지녔다는 평이다. 이 원장은 각 분야에 오랜 강의 경력과 실력을 겸비한 교수진과 더불어 우수한 보육교사를 배출하기 위해 열정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접수는 오는 3월초까지 선착순 마감이며, 문의는 031)466-3131 또는 지역별 양성과정 문의처로 연락하면 된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인재를 찾습니다]㈜명성기업, 금형설계기술자ㆍ용접원 모집 外

▲ ㈜명성기업 ;금형설계기술자, 용접원 모집 포천시 자작동에 위치하며 유통기자재를 제조하는 업체이다. 이 회사는 금형설계기술자(학력무관/경력1년이상) 2명, 용접원(학력무관/경력무관) 2명을 모집한다 지원서 접수는 E-MAIL로 받으며, 전형은 서류와 면접으로 진행 된다 (☎031-534-9147) ▲ 한일식품(주) ; 지게차운전원, 단순생산직원 모집 이천시 이여로에 위치하며 면류를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이다. 이 회사는 지게차운전원(학력무관/경력무관) 1명, 단순생산직원(학력무관/경력무관) 4명을 모집한다. 지원서 접수는 우편, 펙스로 받으며 전형은 서류와 면접으로 진행 된다 (☎031-638-2285) ▲ 그린엘리베이터(주) ; 경리사무원, 판금원 모집 평택시 양교길에 위치하며 엘리베이터를 제작, 설치 및 유지관리하는 업체이다. 이 회사는 경리사무원(전문대졸이상/경력2년이상) 2명, 판금원(학력무관/경력무관) 2명을 모집한다. 지원서 접수는 방문, 팩스, E-MAIL로 받으며 전형은 서류와 면접으로 진행된다 (☎031-682-8931) ▲ 유앤아이(주) ; 기계공학기술자, 무역영업원 모집 의정부시 용현동에 위치하며 정형외과에 의료기구를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이다. 이 회사는 기계공학기술자(대졸이상/경력3년이상) 2명, 무역영업원(대졸이상/경력3년이상) 2명을 모집한다. 지원서 접수는 팩스, E-MAIL로 받으며, 전형은 서류와 면접으로 진행 된다 (☎ 031-852-0102) ▲ ㈜한솔이앤씨 ; 토목품질기사, 단순종사원 모집 광주시 현산로에 위치하며 콘크리트제품 및 유사제품을 제조하는 업체이다. 이 회사는 토목품질기사(대졸이상/경력무관) 1명, 단순종사원(학력무관/경력무관) 1명을 모집한다. 지원서 접수는 방문, 팩스, E-MAIL로 받으며, 전형은 서류와 면접으로 진행 된다 (☎031-764-0057)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취업톡톡]겨울방학 알짜배기 공모전에 도전!

최근 기업이 주최하는 공모전이 줄을 잇고 있다. 겨울방학을 맞은 대학생들에게는 새로운 도전을 할 좋은 기회이다. 취업 시 특전이 주어지는 알짜배기 공모전에 도전해보자. ■S-OIL 마케팅 공모전 국내 거주 대학생 또는 대학원생이면 응시할 수 있다. 1인 개인 혹은 4인 이하의 팀으로 참가하면 된다. 공모분야는 IMC 캠페인, 보너스카드 외 2개로 주제는 분야마다 달라 공고를 확인해야 한다. 대상, 최우수상 수상자는 입사 지원 때 우대하며, 모든 기획안은 오는 15일까지 온라인 홈페이지(www.s-oilbonus.com)를 통해 접수하면 된다. ■현대모비스 제5회 대학생 광고공모전 2년제 이상 대학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휴학생 포함)이면 참여할 수 있다. 부문은 인쇄광고이며, 주제는 현대모비스 순정부품 광고, 현대모비스 기업 PR 광고 외 1개로 자세한 사항은 공고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대상을 받은 개인 또는 팀에게는 이노션 인턴십 기회를 준다. 2월 1일부터 2월 15일까지 홈페이지(www.mobis-adcontest.co.kr)을 통해 접수 가능하다. ■한국수력원자력, 논문ㆍ논술 공모전 논술 부문은 고등학교 재학생, 논문 부문은 대학 재학생(대학원 석사과정 포함)이면 응모할 수 있다. 2인 이내 공동 응모도 가능하다. 공모 주제는 한수원의 부정적인 이미지 해소 및 신뢰회복 방안 외 1개로 제출 규격, 유의 사항 등 세부사항은 공고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접수는 홈페이지(www.khnpcontest.co.kr)를 통해 2월 9일까지 가능하다. ■SK플래닛, 대학생 체험 리포터 모집 응모자격은 서울 및 수도권 4년제 대학생으로 사진, 디자인 등 편집 능력 보유자는 우대한다. 모집 부문은 영상과 디자인 부문, 기획과 홍보 부문이다. 주제와 형식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수상한 6팀에게는 총 690만 원의 상금과 입사 시 가산점이 부여된다. 오는 19일까지 이메일(skplanetreporter@nate.com)을 통해 지원하면 된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새해 청년 창업ㆍ소상공인 지원 ‘탄력’

올해는 창업에 도전하는 청년들과 경기침체로 어려운 소상공인들에게 큰 힘이 실릴 전망이다. 중소기업청은 2014년 3대 정책과제로 청년 창업ㆍ재창업 활성화, 중소기업 정책 실효성 제고, 소상공인ㆍ전통시장 활력 회복을 제시했다. 예비창업자와 창업기업, 소기업에 정책 초점을 맞춰 일자리를 창출하는 동시에 산업의 하부구조를 탄탄히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청년 창업 활성화로 실업 문제 극복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현실에 취업 대신 창업을 선택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중기청이 1천 개 팀을 목표로 청년 드림 CEO 양성 사업을 추진한다. 우수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고자 해도 어려움이 많은 현실을 반영해 창업 공간자금상담제 등을 지원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또 벤처 현장근무 지원제도를 도입해 유망 창업기업에서 인턴을 마치고 창업 때 창업격려금도 지급된다. 청년창업펀드 및 엔젤투자 매칭 펀드 조성을 위해 모태펀드 출자 예산도 지난해 800억 원에서 올해 1천억 원으로 확대했다. 또 창업 R&D 자금 1천414억 원, 청년창업자금 1천500억 원을 각각 투입한다. 실효성 있는 재창업 지원을 위해 신용관리교육, 창업사업화, 투융자까지 재창업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연계형 재창업 지원 시스템도 도입된다.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살려 경제 온기 살리자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에 대한 지원 기반도 확충한다. 중기청은 방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창업정보를 제공하고, 온라인 주문배송시스템을 확대하는 등 성공 창업을 유도할 예정이다. ICT구축 등이 진행돼 체계적인 상권 및 고객 분석도 가능해진다. 하반기에는 소상공인 기본법 제정이 추진된다. 중소기업기본법과 별도로 체계적 지원이 가능한 소상공인 기본법이 제정되면 소상공인 지원이 탄력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출범하면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소상공인과 시장 상인 지원방안을 마련, 집행한다는 구상이다. ■핵심인력 성과 보상 등 중기 정책 중소기업 지원 예산 배분과 사업 관리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스템도 도입된다.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기업 지원 이력을 연계시키고 통합관리하는 시스템을 마련해 효과적인 지원을 할 계획이다. 5년 이상 장기 재직 핵심인력에게 기업근로자 공동 적립금을 지급하는 핵심인력 성과보상기금도 시행한다. 이와 함께 공공조달시장 내 우선구매대상 기술개발 제품 범위를 확대하고 일정 비율을 여성기업 제품으로 구매하도록 의무화한다. 19개 정부공공기관 중소기업 기술지원 의무화및 지원규모도 지난해 1조5천억원에서 올해 1조7천억원 규모로 상향 조정된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번뜩~ 떠오른 ‘창업 아이템’ 꺼내놓으니 뚝딱~

정말 괜찮은 창업 아이디어가 있는데 한번 시제품으로 만들어 볼 수 없을까? 창업을 꿈꾸는 이들은 하루에도 수많은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이를 사업화하기를 꿈꾼다. 그러나 이를 현실화하는 이들은 극소수. 어떻게 하는지 방법을 모르거나, 만만치 않은 비용에 시작을 하기도 전 포기하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머릿속 아이디어를 현실로 끄집어내 시제품 제작을 도와 창업의 꿈을 실현해 주는 곳이 있다. 바로 경기지방중소기업청이 지난해 5월 국내 최초로 문을 연 시제품 제작터다. 신문방송학을 전공한 이창렬씨(30)는 유학 중 생활비 마련을 위해 구매대행 인터넷 카페를 운영했다. 인터넷 카페 운영 중 원두커피 거치대가 아이디어로 번뜩 떠올라 귀국 후 창업을 하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시제품 제작 등 관련 지식이 없어 집에서 종이와 칼로 시제품을 만드는 게 전부였다. 방법을 고민하던 중 이씨는 지난해 8월 경기중기청의 셀프제작소에 문을 두드렸다. 전문가들에게 장비 교육을 받고 제작소의 도구를 무료로 이용해 제품 생산에 성공했다. 그의 제품은 천안 독립기념관 기념품 숍에 납품되는 등 지난 8월부터 현재까지 2천만원의 매출을 달성했고 1인 창조기업으로 성장 중이다. 최근엔 원두커피 거치대 뿐만 아니라 필통까지 주문이 들어온다. 이씨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시작 했는데 기초 제작 교육을 받고 장비를 무료로 사용하면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며 지속적으로 멘토링 교육도 받으면서 수월하게 창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고 만족했다. 경기중기청 시제품 제작터가 예비 창업자와 중소기업인들의 창업 창구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창업 분위기 확산과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 문을 연 시제품 제작터를 이용한 이들은 지난해 5월 개소 후 현재까지 총 3천800여명에 달한다. 전문가들이 상주해 예비 창업자들의 교육과 멘토링이 진행된다. 또 저렴한 비용, 혹은 무료로 장비를 이용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창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한 게 특징이다. 경기중기청 1층에 자리한 시제품 제작터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위해 전문가 서비스와 셀프제작소로 나뉘어 운영된다. 전문가 서비스는 디자인(2명), 설계(3명), 시제품 제작(2명) 등 부문별 관련 전문가 7명이 상주해 창업 초기 기업 등의 시제품 제작을 한다. 무엇보다 제품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여 창업 문턱을 낮췄다. 일반가(1천만원)의 3분의1가격인 326만원이면 제작이 가능하며, 디자인 설계부터 시제품 제작까지 원스톱 지원돼 기간도 28일로 단축된다. 이달 초까지 1년 6개월간 총 777건의 디자인, 설계, 실물모형 제작이 지원됐으며 573건의 완성품이 나왔다. 지난해 8월 개소한 셀프제작소는 예비 창업자 등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무료로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다. 온라인 신청으로 누구나 레이저 커팅기, 용접기 등 95종의 장비 등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최대 1년간 셀프제작소가 작업공간으로 제공된다. 현재까지 총 3천110명이 셀프제작소를 이용했다. 주부, 학생, 퇴직자, 현대미술가, 디자이너 등 다양하다. 경기중기청의 셀프 제작소가 예비창업자 등으로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끌자 대구 등 각 지방청에서도 셀프제작소가 들어서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경기중기청은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 사업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지난 4월 소액 창업 활성화를 위해 시행한 10만원 창업 프로젝트는 지역민의 창업 확산 분위기에 기여했다.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제출한 이들은 고등학생부터 70대 어르신들까지 다양했다. 강시우 경기중기청장은 창조경제 시대에 창의적 아이디어가 필수이지만 창업준비생과 중소기업은 시제품 제작 공간과 기술이 부족해 좋은 아이디어가 사장되는 경우가 많다며 시제품 제작터 및 10만원 창업 프로젝트가 창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는 만큼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