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먹거리 물가, 2년 만에 다시 OECD 평균 추월

국내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2년여 만에 선진국 평균 수준을 추월했다. 2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자체 집계한 자료를 보면 지난 2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6.95%로 OECD 평균(5.32%)을 웃돌았다. 튀르키예(71.12%), 아이슬란드(7.52%)에 이은 세 번째다.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가 OECD 평균을 넘어선 것은 러·우전쟁 직전인 2021년 11월 이후 2년3개월 만이다. 앞서 전 세계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는 2022년 2월 전후로 급상승하기 시작했다. 밀과 천연가스의 최대 수출국인 러·우 마찰로 먹거리 인플레이션이 불고, 에너지 가격이 고공행진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2022년 11월 OECD 회원국의 평균 식품 물가 상승률은 16.19%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이 같은 OECD 식품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9.52%)부터 차차 떨어졌고, 올해 2월엔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 수준인 5%대로 떨어지는 등 빠르게 정상화 됐다. 반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7월 3.81%로 바닥을 찍은 뒤 지난해 10월 이후 다시 5∼7%대로 올라섰고 지난 2월에는 OECD를 추월했다. 주 요인은 사과·배 등 과일 가격이 대폭 오른 데 있다. 지난달 사과 물가는 88.2% 올라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0년 1월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다. 문제는 식품 물가 외에도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는 요인이 남아있다는 점이다. 최근 이스라엘·이란 충돌 이후 불안한 국제유가도 소비자 물가를 압박하고 있고, 강달러 기조에 따른 고환율은 수입 원재료 가격을 끌어올려 버거·초콜릿·과자 등 가공식품 물가를 더 밀어 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최근의 고유가·강달러 현상은 충분히 예상하지 못했던 변수들"이라며 "국제유가 불안, 고환율이 장기화하면 2022년에 이은 2차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소비자원 "화상 우려 MSR 캠핑용 냄비, 자발적 리콜 실시"

한국소비자원이 사용 중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는 엠에스알(MSR) 캠핑용 냄비 9개 모델에 대해 부품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자발적 리콜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리콜이 진행되는 모델은 '리액터 1.0L 포트' '리액터 1.7L 포트' '리액터 1.0L 스토브 시스템' '리액터 1.7L 스토브 시스템' '트레일 라이트 1.3L 포트' '트레일 라이트 2L 포트' '트레일 라이트 듀오 쿡 세트' '트레일 라이트 솔로 쿡 세트' '포켓로켓 스토브 키트'다. 이들 제품은 앞서 미국, 캐나다, 멕시코 등에서 화상을 우려해 리콜이 진행됐다. 소비자원이 해당 제품의 해외 리콜 정보를 바탕으로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의 손잡이가 몸체에서 분리되거나 느슨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뜨거운 내용물이 쏟아져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수입·판매업체인 ㈜호상사는 미국 등 해외와 동일하게 2008년 7월부터 2024년 2월까지 판매한 1만8천336개 제품, 9개 모델에 대해 분리형 손잡이(리프터)를 제공하기로 했다. 한국소비자원은 "해당 제품을 보유한 소비자는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호상사 리콜 신청 누리집 또는 이메일로 연락해 신속히 조치 받을 것을 당부했다"고 밝혔다. 조치 대상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소비자24, 한국소비자원 누리집과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인 입맛 자극’ 매운맛소스, 함량 차이 최대 274배…“섭취 시 주의” [한양경제]

이 기사는 종합경제매체 한양경제 기사입니다 한국인 입맛을 자극하는 매운맛 소스 식품들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지만 캡사이신류 함량이 제품 간 최대 270여 배 차이가 나는 등 소비자들이 구매·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8일 한국소비자연맹은 시중 판매되는 매운맛 소스 총 20개 제품(국내 11개·수입 9개)의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시험·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품질은 매운맛 정보와 영양성분을 주된 평가 대상으로 했고, 대장균군과 타르색소, 보존료 등 안전성 평가도 실시했다. 시험 결과, 조사대상 전 제품은 안전성 관련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매운맛 정도와 나트륨 및 당류 함량은 제품별로 차이가 큰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매운맛 정도를 보여주는 캡사이신, 디하이드로캡사이신 등 캡사이신류 함량은 최대 약 274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캡사이신류 함량이 많은 제품은 ㈜팔도의 ‘틈새소스’로 877.2㎎/㎏이었고, ㈜천하코퍼레이션이 생산하는 ‘제이-렉 스리라차 소스’는 3.2㎎/㎏로 가장 함량이 적었다. 소비자연맹은 “매운맛은 개인 기호에 따라 느껴지는 정도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매운맛이 강하면 설사와 속쓰림 등 부작용이 나타나거나 식품 본연의 맛을 가릴 수 있어 그 정도를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는 표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조사대상 제품 중 ㈜팔도의 틈새소스 1개 제품만 매운맛 정도를 스코빌 지수로 수치화해 표시하고 있었다고 소비자연맹은 밝혔다. 나트륨과 당류 함량도 제품 간 차이가 최대 50여 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100g당 나트륨 함량이 최고 많은 제품은 ㈜네키드크루의 ‘진돗개핫소스’로 WHO(세계보건기구) 나트륨 1일 권장 섭취량인 2천㎎보다 높은 2천909.09㎎ 조사됐고, 최저는 756.98㎎인 벨라푸드의 ‘벨라 핫 양념치킨 소스’였다. 두 제품간 함량 차이는 51배로 나타났다. 소비자연맹은 “소스류 제품은 1회 섭취량이 많지 않지만 100g당 나트륨 함량이 2천㎎이 넘는 제품은 한번에 많은 양을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당류 함량이 낮다고 광고한 저당 4개 제품과 당류가 불검출된 1개 제품을 제외한 나머지 15개 제품의 100g당 당류 함량(WHO 일일 권장 섭취량 50g)의 경우, 최저 제품(㈜오뚜기의 타바스코페퍼소스 0.1g)과 최고 제품(㈜이마트의 데일리 핫칠리소스) 간 격차가 최대 353배 차이를 보였다. 다만 시험 결과, 조사 대상 제품들은 안전성 관련 기준에 적합하거나 유해성분이 불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과 타르색소가 모두 불검출돼 기준에 적합했고, 보존료인 소브산과 파라옥시안식향산이 사용된 제품은 있었지만 모두 기준치 이내로 적합하다는 게 소비자연맹 측 설명이다. 소비자연맹은 “매운맛 소스를 섭취할 경우 제품마다 매운맛 정도나 영양 성분 함량에 차이가 있어 이를 확인하고 제품을 선택하는 등 소비자들의 현명한 선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대 산타페·벤츠 S500 등 23개 차종 1만1천159대 리콜

㈜현대자동차,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스텔란티스코리아㈜, 만트럭버스코리아㈜에서 제작하거나 수입·판매한 차량 1만 여대에서 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국토교통부는 23개 차종 1만1천159대에서 결함이 발견돼 제조사·판매사가 리콜 조치에 나선다고 18일 밝혔다. ㈜현대자동차에서는 싼타페와 싼타페 하이브리드 2개 차종 6천468대가 2열 시트 제조(용접) 불량이 확인됐다. 또 제네시스 G80, G80 전동화 모델, GV80, G90 등 4개 차종 572대는 자동차 본체와 앞바퀴를 연결해 노면 충격과 진동을 줄여 주는 ‘앞바퀴 어퍼암’의 고정볼트 제조가 불량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앞선 6개 차종 7천40대는 오는 19일부터 리콜된다. 아울러 그랜저와 그랜저 하이브리드 총 769대는 계기판 소프트웨어 오류로 이날부터 회수된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에서는 벤츠 S500 4MATIC 등 11개 차종 2천485대는 연료펌프 내 부품(임펠러)의 내구성 부족으로, 만트럭버스코리아㈜는 만트럭 TGX 트랙터 308대는 트레일러 연결장치의 볼트 체결 불량으로 오는 19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스텔란티스코리아㈜는 스텔란티스 푸조 e-2008 일렉트릭 등 3개 차종 557대에서 전자장비 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오류가 확인돼 지난 12일부터 리콜을 진행하고 있다. 리콜 대상 여부와 구체적인 결함 사항은 자동차리콜센터 홈페이지에서 차량번호 및 차대번호를 입력해 확인할 수 있다.

올해 1분기 맥주 수입 20% 감소에도 '일본 맥주' 125% ↑

올해 1분기 맥주 수입 규모가 감소한 가운데 ‘일본 맥주’ 만큼은 수입 규모가 대폭 늘었다. 17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맥주 수입액은 4천515만5천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19.8% 줄었다. 수입량 또한 4만8천322t(톤)으로 24.1% 감소했다. 하지만 이 중 일본 맥주 수입은 강세를 보였다. 1분기 아사히·삿포로·기린 등의 일본 맥주 수입액은 1천492만5천달러로 지난해 동기보다 125.2% 증가했다. 수입량도 1만7쳔137t으로 103.5% 늘었다. 이번 일본 맥주 수입액 규모는 1분기 기준으로 2019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컸다. 앞서 일본 맥주 수입액은 2019년 7월 일본 정부가 우리나라에 대한 반도체 수출규제 조치를 단행한 이후 급감(2019년 1분기 1천578만6천달러→2020년 1분기 103만8천달러)한 바 있다. 하지만 2021년 1분기 들면서 173만8천달러로 소폭 늘더니 2022년 1분기엔 266만6천달러, 지난해 1분기엔 662만7천달러로 증가세를 보였다. 올해 1분기 수입액은 2019년 1분기의 94.5%까지 회복한 상태다. 반면 올해 1분기 중국 맥주 수입액은 478만3천달러로 지난해 동기보다 61.9% 줄었고 수입량도 5천927t으로 61.9% 감소했다. 지난해 불거진 칭다오 맥주의 '방뇨 논란' 여파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총선 후 가격인상 현실화…“치킨·피자 등 안 오른게 없네” [한양경제]

이 기사는 종합경제매체 한양경제기사입니다 4·10 총선이 끝나자마자 그동안 정부 눈치를 보던 식품·외식업체들의 가격 인상이 본격 시작됐다. 총선 후에 가격 인상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현실화하고 있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는 전날 배달 수수료와 인건비, 임대료 상승을 이유로 치킨 9개 제품 가격을 일제히 1천900원씩 올렸다. 굽네가 가격을 올린 것은 2022년 이후 2년 만이다. 이에 따라 대표 메뉴인 고추바사삭은 기존 1만8천원에서 1만9천900원으로 올랐고, 오리지널은 1만6천원에서 1만7천900원으로 인상됐다. 남해마늘바사삭은 1만9천원에서 2만900원으로 올랐다. 피자업체인 파파이스도 제품 가격을 평균 4%(100∼8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가격 인상 대상 품목 가격은 직전보다 100∼800원 올랐다. 파파이스 코리아의 가격 인상은 2년여 만이다. 파파이스는 다만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클래식 치킨 샌드위치, 스파이시 치킨 샌드위치의 가격은 동결했다. 납품단가 인상에 따른 공산품들의 가격도 오른다. 5월 1일부터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모나미 153볼펜 가격은 300원에서 400원으로, 스틱볼펜도 500원에서 600원으로 각각 100원씩 오른다. 도루코 페이스면도기는 1천900원에서 2천100원으로 200원(10.5%), 페이스4면도기(3입)는 5천200원에서 5천700원으로 500원(9.6%) 각각 인상된다. 가공란 가격도 오른다. 계란 2개가 들어있는 감동란과 죽염동 훈제란은 각각 2천200원에서 2천400원으로 200원(9.1%)씩 오른다. 그런가하면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나 극한 날씨로 커피와 카카오, 설탕 등 농작물 생산이 감소해 원부자재 가격이 오르는 ‘기후플레이션(클라이밋플레이션·climateflation)’이 식탁 물가를 위협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연간 1조5천억원어치를 수입하는 커피 국제 가격도 심상치 않다. 인스턴트 커피에 많이 들어가는 비교적 값싼 로부스타 커피는 가격이 역대 최고로 치솟았다. 글로벌 커피 벤치마크인 런던 로부스타 선물 가격은 지난 12일 톤당 3천948달러로 사상 최고로 뛰었다. 이는 1년 전보다 60% 넘게 올랐다. 주요 공급처인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량 감소로 공급 부족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세계 1위 로부스타 생산국인 베트남의 농업부는 가뭄 때문에 베트남의 2023∼2024시즌 커피 생산이 20%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로부스타보다 비싼 아라비카 커피는 뉴욕 선물시장에서 파운드당 2.34달러로 상승해 2022년 9월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최대 아라비카 커피 생산국인 브라질 가뭄이 아라비카 가격 상승의 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카카오 열매 가루로 초콜릿의 원료인 코코아 선물가격도 1년 만에 3배로 급등해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선물시장에서 코코아는 최근 1개월간 49% 뛰어 톤당 1만달러를 뚫고 1만50달러까지 올랐다. 지난 10일 1만411달러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세계 코코아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서아프리카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으로 생산이 크게 줄었다. 국제코코아기구(ICO)는 2023∼2024시즌에 글로벌 카카오 공급이 11%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관련해 초콜릿 업체들은 코코아 가격이 올라가자 제품 가격을 인상하거나 슈링크플레이션(가격은 그대로 두고 양을 줄이는 것)으로 가격조정에 나서고 있다. 고디바는 지난주 초콜릿 평균 가격을 10% 이내로 올려야 한다고 밝힌 바 있으며 롯데웰푸드등은 초콜릿 제품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설탕은 세계 2위와 3위 수출국인 인도와 태국에서 엘니뇨 영향에 따른 극심한 가뭄으로 생산이 급감했다. 설탕 가격은 지난해 11월 이후 다소 하락했지만, 여전히 예년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올해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소비는 생각만큼 살아나지 않는 데다 배달 수수료 부담까지 겹치면서 업체와 소비자 모두 힘들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총선 후 도시가스료 등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비싼 사과·배 대신"…지난달 파인애플·망고 수입 '역대 최대'

지난달 파인애플, 망고, 바나나, 오렌지 수입량이 대폭 늘었다. 사과와 배 값이 크게 오르면서 대체재로 수입 과일 인기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16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파인애플 수입량은 지난해 동월보다 44.7% 증가한 8천686t(톤)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입액 역시 55.3% 증가한 867만8천달러로 가장 많았다. 같은 시기 망고 수입량과 수입액도 1년 전보다 각각 114.0%, 110.5% 각각 증가한 6천264t, 2천474만2천달러로 집계됐다. 파인애플과 마찬가지로 사상 최대치다. 동시에 바나나와 오렌지 수입도 대폭 늘었다. 지난달 바나나 수입량은 지난해 동월 대비 27.7% 증가한 3만8천404t으로 2019년 5월(3만8천741t) 이후 4년10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수입액 규모는 3천813만4천달러로 2018년 6월(4천43만2천달러) 이후 5년 9개월 만에 가장 컸다. 오렌지 수입량과 수입액은 지난해 동월보다 1.7%, 8.5% 각각 증가한 3만8천28t과 8천388만8천달러로 2021년 3월(4만6천400t·8천411만8천달러) 이후 3년 만에 최대였다. 이처럼 수입 과일이 국내로 많이 반입된 것은 가격 강세를 보이는 사과와 배 수요를 분산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는 가격 부담이 큰 사과와 배를 대체하기 위해 바나나 등 수입 과일을 3~4월 집중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이 영향으로 수입 과일 가격은 하락세를 보이는 중이다. 파인애플(상품) 1개의 경우 전날(15일) 소매가격은 6천561원이었는데, 이는 전월 대비 9.9%, 지난해 대비 7.7% 낮은 수준이다. 망고(상품) 1개의 전날 소매가격 또한 3천658원으로 전월보다 1.9% 오르긴 했지만, 지난해와 비교하면 32.9%나 낮았다. 바나나(상품) 100g도 전날 소매가격이 269원으로 전월보다 17.5%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18.7% 낮은 것이다. 또 오렌지(네이블 미국·상품) 10개의 전날 소매가격이 1만5천원으로 전월 대비 10.1% 내렸다. 이는 지난해보다 5.9% 낮다. 과일 수요가 분산됨에 따라 사과값도 떨어지고 있긴 하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비싼 편이다. 사과(후지·상품) 10개의 전날 소매가격은 2만5천17원으로 전월 대비 7.8% 내렸지만 지난해 대비로는 9.9% 높다. 배(신고·상품·10개)는 4만7천110원으로 전월보다 10.0% 올랐고 지난해와 비교하면 73.1%나 높은 수준이다.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