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 호우’ 지하주차장 침수 우려… 인천시, 물막이판 1%뿐

복잡한 절차·낙인 등 설치 꺼려... 우수저류시설 필요 30곳 중 12곳뿐
도로 빗물받이 청소도 인력부족... 市 “피해우려지역 홍보 하겠다”

6일 인천 미추홀구의 한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 출입구. 인천시가 정한 주요 침수 지역에 들어가 있지만, 국지성 집중 호우 등에 대비한 물막이판이 없다. 장민재 기자
6일 인천 미추홀구의 한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 출입구. 인천시가 정한 주요 침수 지역에 들어가 있지만, 국지성 집중 호우 등에 대비한 물막이판이 없다. 장민재기자

 

인천에서 해마다 기후 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 호우 피해가 큰 가운데, 지역 공동주택(아파트) 등의 지하주차장 침수 우려가 크다. 침수 우려 지역을 포함한 인천 전체 아파트 지하주차장 물막이판 설치가 고작 1%에 그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인천은 침수 피해를 막아줄 우수저류시설 설치도 더디고 빗물받이 청소도 다 이뤄지지 못했다. 지역 안팎에선 정부와 지자체 등이 나서 물막이판 설치에 적극 나서는 등 대책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6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인천의 아파트 단지 중 지하주차장이 있는 923곳 가운데 지하주차장에 빗물 유입을 막는 물막이판을 출입구에 설치한 단지는 11곳(1.19%)에 그친다.

 

앞서 지난 2022년 9월 국지성 폭우로 포항에선 아파트 지하주차장 침수로 7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인천은 지난 2024년 7~9월 주택과 지하차도 등에서 총 186건의 침수 사고가 났다. 이 때문에 정부는 2024년 3월 이후 지어진 새 아파트의 지하주차장에는 물막이판 설치를 의무화 했지만, 종전 아파트는 의무 대상이 아니다.

 

시는 지난 2023년부터 주요 침수 지역의 아파트 단지는 지하주차장 출입구 1곳 당 1천만원에 이르는 설치비를 전액 지원 했는데도, 신청하는 아파트 단지가 없다. 주민 동의를 받아야 하는 절차가 복잡한 데다, 자칫 침수 위험 단지로 낙인찍힐 우려 등 때문이다.

 

이날 인천 미추홀구의 한 주요 침수 지역 일대를 확인한 결과, 일대 29개 아파트 단지의 지하주차장 출입구에 물막이판이 있는 곳은 1곳도 없다.

 

특히 인천의 일반 상가 건물 중 지하주차장이 있는데도 물막이판을 설치한 곳은 1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 대부분 소유주가 많아 의견 및 설치비를 모으기 쉽지 않고, 상가 방문객 주차를 막는 것 때문에 물막이판 설치를 꺼려하기 때문이다.

 

6일 인천 남동구의 한 도로가 빗물받이가 담배꽁초와 낙엽, 쓰레기 등으로 막혀있다. 장민재 기자
6일 인천 남동구의 한 도로가 빗물받이가 담배꽁초와 낙엽, 쓰레기 등으로 막혀있다. 장민재기자

 

이와 함께 국지성 폭우시 일시적으로 빗물을 지하에 모아 침수를 차단하는 우수저류시설 설치도 속도가 더디다. 현재 인천의 주요침수지역 30곳 중 우수저류시설이 있는 곳은 12곳(40%) 뿐이다. 남동구 구월·간석지구와 서구 석남1·가좌2지구 등 5곳에 우수저류시설 설계 및 공사가 이뤄지고 있지만, 주민 민원과 매립 폐기물 처리 문제 등으로 차질을 빚고 있다.

 

이 밖에 도로가 등에 있는 인천의 17만7천181개 빗물받이에 대한 점검 및 청소도 아직 4만7480개(26.8%)가 인력 부족 등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조원철 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인천은 매립지와 저지대가 많아 도시 구조 자체가 침수에 취약하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기후변화 때문에 국지성 호우 등이 심해질텐데, 대형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막으려면 이 같은 시설 보강을 빨리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부와 지자체 등이 아파트 물막이판 설치에 적극 나서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우선 침수피해우려지역의 아파트를 대상으로 지하주차장 물막이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홍보 등에 적극 나서겠다”며 “또 우수저류시설 확대 설치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침수피해 우려가 있는 곳의 빗물받이 점검·청소를 모두 끝냈다”며 “남은 곳도 서둘러 청소 등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