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륜장 수익… 광명시에 재투자를”

경기도가 광명시의 광명경륜장으로 인해 시의 7배에 달하는 5천억여원의 재정수입을 거뒀음에도 불구, 시에 대한 재정지원 등에 대해 무계획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경기도의회 민주당 김성태 의원(광명4)은 9일 오후 열린 제255회 2차 정례회 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광명경륜장의 불공평한 지방재정 수입에 대해 경륜장을 통해 도가 거둬들인 레저세의 일부를 광명시에 재투자해 달라고 요구했다.광명경륜장은 지난 2001년 주민의 여가선용 및 지방체육의 진흥을 도모하고 지방세수 및 고용증대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목적으로 도와 광명시가 서울시 송파구에서 이전유치, 2006년 2월에 개장해 운영하고 있다.하지만 광명경륜장 유치를 위해 광명시에서는 공사비 100억원, 그린벨트 훼손부담금 66억원 및 당시 100억원(현재 시가 600억원) 상당의 무상부지 제공 등 총 702억원을 지원한 반면 도는 사업비 지원 없이 2002년부터 2007년까지 레저세 1천227억원을 감면했다는 지적이다.또 2006년 개장일부터 지난해 말까지 경륜장으로 인한 재정수입액은 도가 레저세 수입으로 2006년 740억원, 2007년 1천296억원, 2008년 1천403억원, 지난해 1천467억원으로 총 4천906억원에 이른다.도교육청도 지방교육세 수입으로 이 기간 총 2천673억원을, 정부도 농어촌특별세로 980억원의 수입을 올려왔다.그러나 광명시의 재정수입액은 징수교부금과 일반재정보전금을 합해 총 714억원에 그치고 있는 실정으로, 도는 광명시보다 690%, 도교육청은 370% 많은 지방세 수입을 거둬왔던 것으로 나타났다.김 의원은 이처럼 광명경륜장이 도의 재정수입에 지대한 공헌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도는 광명시에 무엇을 해줬나라며 당초 유치 목적대로 주민의 여가선용과 지역경제의 활성화 모습은 찾아볼 수 없고 경륜이 있는 날 교통혼잡으로 피해만 보고 있다고 말했다.이어 광명경륜장을 통해 거둬들인 레저세의 일부를 광명시에 재투자하고 필요하다면 시책추진비 지원이라도 긍정적으로 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무상급식 예산’… 조례안 처리 진통 예고

경기도의회가 9일 오후 1차 본회의를 열고 제255회 제2차 정례회를 개회 했다.이날 본회의에서는 ▲경기도의회 제255회 제2차 정례회 회기결정의 건 ▲경기도의회 제255회 제2차 정례회 회의록 서명의원 선출의 건 ▲도지사 및 교육감 등 관계공무원 출석요구의 건 ▲휴회 결의의 건이 상정, 처리됐다.이와 함께 5분 자유발언에서는 한나라당 민경원 의원(비례)이 민주당이 도의 가용재원에 대한 작은 고려도 없이 무상급식을 위해 일방적으로 예산을 증액하고 조례 제정을 몰아치고 있다고 주장해 여야 의원 간 고성이 오가는 등 양당이 각각 발의한 학교급식 관련 조례안 처리의 진통을 예고했다. 또 배수문 의원(민과천2)은 중증 장애인의 일자리 확대에 대한 제언을 통해 도교육청의 장애인 특별채용 및 경기도 중증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조례안에 도지사는 중증 장애인을 경기도 도서관 사서 보조원으로 채용 지원할 수 있다라는 신규조항을 신설할 것을 제안했다.또 이승철 의원(한수원5)은 광교신도시로의 도청 이전 약속 준수를 김문수 경기지사에게 요구했으며 이재준 의원(민고양2)은 투기용도로 변질된 자족시설의 용도변경 금지 특약 및 사업권 강제 환수를 주장했다.한편 지난 임시회에서 통과돼 김 지사가 지난 5일 재의를 요구한 초등학교 56학년 1112월 2개월치 무상급식 예산 42억원에 대해서는 이날까지 안건이 상정되지 않았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비공개 美공여지 오염 심각

속보의정부시 반환공여지 캠프 에세이온, 라과디아, 홀링워터기지에 2차 조사결과를 공개치 않아 논란(본보 8일자 1면)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의정부지역 미군 반환공여지 중 하나인 캠프 시어즈 주변지역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8일 환경부가 의정부시에 통보한 캠프 시어즈 2단계 오염실태 조사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주변지역 81개 지점서 570개 시료를 채취해 조사한 결과 유류(TPH)오염이 48개 지점 101개시료서 토양환경보전법상 가지역(농사를 지을수 있는 수준)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최대 오염 깊이는 8m에 달하고 오염면적은 2만4천78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모두 26개 지점 39개 시료서 나지역기준(지적법상 지목이 공장용지 도로, 철도용지 및 잡종지인 지역)을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지하심도별로는 1m 깊이로 나눠 8단계로 조사한 결과, 가지역 기준치를 초과한 지점이 1깊이(0~1m) 19곳, 2깊이(1-2m) 10곳, 3깊이(2~3m) 17곳, 4깊이(3~4m) 20곳, 5깊이 (4~5m) 12곳, 6깊이(5~6m) 12곳으로 주로 지하 1~6m 사이에서 오염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지하수 수질에 대해서는 모두 9개 지하수관측정 시료를 분석한 결과, 4개관 측정 일부 항목에서 지하수 생활용수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유류(TPH)는 9개 시료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하지만 캠프 시어즈 주변의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의정부시가 공개하지 않은 다른 지역 결과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전망이다.한편, 의정부시는 지난해 3월9일부터 4월13일까지 캠프 시어즈 주변지역 외곽경계 100m 반경지점의 오염 기초조사를 실시한 결과, TPH가 10개 지점서 초과하자 환경부에 2차조사를 의뢰했으며 환경부는 환경관리공단에 의뢰해 지난해 4월부터 7월까지 2단계 조사를 실시했다.북부취재본부=김동일기자 53520@ekgib.com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