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륜장 수익… 광명시에 재투자를”

김성태 도의원 “경기도 5천억 수익 불구 市 재정지원은 쥐꼬리” 지적

경기도가 광명시의 광명경륜장으로 인해 시의 7배에 달하는 5천억여원의 재정수입을 거뒀음에도 불구, 시에 대한 재정지원 등에 대해 무계획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기도의회 민주당 김성태 의원(광명4)은 9일 오후 열린 제255회 2차 정례회 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광명경륜장의 불공평한 지방재정 수입에 대해 경륜장을 통해 도가 거둬들인 레저세의 일부를 광명시에 재투자해 달라”고 요구했다.

 

광명경륜장은 지난 2001년 주민의 여가선용 및 지방체육의 진흥을 도모하고 지방세수 및 고용증대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목적으로 도와 광명시가 서울시 송파구에서 이전유치, 2006년 2월에 개장해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광명경륜장 유치를 위해 광명시에서는 공사비 100억원, 그린벨트 훼손부담금 66억원 및 당시 100억원(현재 시가 600억원) 상당의 무상부지 제공 등 총 702억원을 지원한 반면 도는 사업비 지원 없이 2002년부터 2007년까지 레저세 1천227억원을 감면했다는 지적이다.

 

또 2006년 개장일부터 지난해 말까지 경륜장으로 인한 재정수입액은 도가 레저세 수입으로 2006년 740억원, 2007년 1천296억원, 2008년 1천403억원, 지난해 1천467억원으로 총 4천906억원에 이른다.

 

도교육청도 지방교육세 수입으로 이 기간 총 2천673억원을, 정부도 농어촌특별세로 980억원의 수입을 올려왔다.

 

그러나 광명시의 재정수입액은 징수교부금과 일반재정보전금을 합해 총 714억원에 그치고 있는 실정으로, 도는 광명시보다 690%, 도교육청은 370% 많은 지방세 수입을 거둬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이처럼 광명경륜장이 도의 재정수입에 지대한 공헌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도는 광명시에 무엇을 해줬나”라며 “당초 유치 목적대로 주민의 여가선용과 지역경제의 활성화 모습은 찾아볼 수 없고 경륜이 있는 날 교통혼잡으로 피해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광명경륜장을 통해 거둬들인 레저세의 일부를 광명시에 재투자하고 필요하다면 시책추진비 지원이라도 긍정적으로 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