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북부 무한돌봄센터 '늘품 희망터' 운영

광주시 북부 무한돌봄 행복나눔센터는 복지-고용통합서비스지원을 위한 늘품 희망터를 운영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지난달부터 운영 중인 늘품 희망터는 소일거리 형태의 근로활동을 제공해 안정된 생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센터는 근로활동 의지는 있으나 고령 또는 일부 신체기능 저하 등의 이유로 고용에 제약이 따르는 취약계층 10여명에게 재택부업이나 공동작업장을 제공하고 있다. 거동이 가능한 참여자는 북부센터 내에 마련된 공동작업장에서 평일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지역 내 업체인 세온상사와 연계해 마스크 팩을 포장지에 담는 일을 하고, 거동이 불편한 참여자는 집에서 재택근로를 한다. 소외계층에게 외부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거동이 불편하거나 자녀양육 등으로 재택근로가 불가피한 대상자에게 부업을 연계함으로써 맞춤형 일거리를 제공하는 것. 센터는 지역사회 내 기업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점진적으로 공동작업장을 확대하고 재택부업 참여자를 증가시킬 계획이다. 센터 관계자는 늘품 희망터를 찾는 많은 사람들이 희망을 가지고 현재보다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기를 기대하며 이를 위해 지역사회의 보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광주문화원장 선거 선관위원 집단 사임

광주문화원 설립 이래 최초의 경선으로 치뤄지는 광주문화원장 선거(본보 5월7일자 12면)가 후보자간 이견으로 선거일이 무기한 연기, 선관위 위원과 사무국장이 사표를 제출 하는 등 파행으로 치닫고 있다. 29일 광주시와 광주문화원에 따르면 광주문화원은 지난 4월30일 4년 연임으로 하는 제8대 문화원장 선출을 위한 입후보 공고를 내고 입후보 모집에 들어갔다. 모집결과 남재호 현 원장(73)과 정성희 부원장(70)의 맞대결로 확정됐고 선거 일정도 5월27일 오전 10시로 정해졌다. 그러나 선거 일주일을 앞둔 상황에서 남재호 현 원장이 기로자문위원 46명과 자문위원 48명, 향토문화연구위원 6명 등 위촉직 100명에게 선거권 부여를 주장, 논란이 일고 있다. 현 광주문화원 정관 제7조에는 선거일 기준으로 회원 가입 후 3개월 이상 경과된 자로서 전 회기연도 회비를 완납한 회원에 한한다고 명시하고 있어 남 원장이 요구하는 위촉직 100명은 투표권자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이다. 정관대로라면 230~240여명의 회원만이 광주문화원장 투표에 참여 할 수 있다. 선거인 명부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이같은 문제가 불거지자 5명으로 구성된 선거관리위원들이 사임, 급기야 행정업무를 총괄하던 사무국장도 사표를 제출하는 파행을 겪고 있다. 문화원 관계자는 지키지도 않을 정관을 왜 만들었는지 모르겠다며 지역에서 존경받아야 할 문화원이 감투싸움에 상처받는 모습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