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수리 떼죽음 부른 장단반도 ‘공포의 전봇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2급인 독수리의 대표적 월동지인 임진강 북쪽 파주 장단반도 일대에서 지난 2004년에 이어 11년 만에 독수리 20여 마리가 고압전선에 감전돼 떼죽음을 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장단반도내 농경지와 갈대밭에 설치된 전봇대를 모두 지중화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 한국조류보호협회 파주지회(회장 한갑수)는 지난달 29일 월동지 주변에서 감전된 것으로 추정되는 독수리(Cinereous Vulture. 천연기념물243-1호) 두마리가 발견된 것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10여 차례에 걸쳐 한번에 1∼5마리씩 모두 21마리가 월동지 반경 500m이내 전봇대나 전선 아래에서 사체 또는 죽어가는 모습으로 발견됐다고 3일 밝혔다. 앞서 이곳에서는 지난 2004년 12월에도 독수리 18마리가 2만2천V 고압전선에 감전돼 죽은 채 발견되기도 했다. 파주지회는 “군부대에서 정전이 됐다고 연락이 와 가보면 주변에서 숨진 독수리가 있곤 했다”며 “높은 곳에 올라앉는 독수리가 전봇대에 올라가 쪼는 습성 때문에 고압전선에 감전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한갑수 회장은 “장단반도에 찾아오는 독수리들과 임진강 하구 및 한강 하구를 찾는 수많은 철새들을 보전하려면 임진강, 한강하구를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장단반도의 전봇대를 지중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독수리 감전사에 대해 전방지역 군부대도 비상이 걸렸다. 독수리 감전사고와 함께 정전이 발생, 군부대의 전자감시장비가 멈춰서는 등 군 경계에 구멍이 뚫리기 때문이다. 군부대는 한국전력공사 파주지사에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대책을 요구한 상태다. 이에 대해 한전 파주지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장단반도 일대에서 모두 6차례 정전사고가 인지됐다”며 “응급복구를 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5억 원의 예산을 편성, 4㎞구간 전선을 완전 절연 전선으로 교체하는 공사를 오는 4∼5월께 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한편 임진강&DMZ시민생태조사단 모니터링 결과, 장단반도는 매년 11월부터 독수리 700여 마리가 찾아 와 겨울을 나고 있는 국내 대표적 독수리 월동지이다. 파주=김요섭기자

“국립한국문학관 파주 유치” 총력전 펼친다

국립한국문학관 유치를 선언한(본보 1월19일자 10면) 파주시가 추진협의회를 가동하는 등 본격 활동에 나섰다.파주시는 지난 29일 상황실에서 송유면 부시장 주재로 김언호 파주출판도시문화재단 이사장 등 출판문학계 인사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한국문학관 파주유치협의회를 갖고 공모전략수립 등을 집중 논의했다.이날 추진협의회는 △남북평화통일 관문인 파주입지 최적성 △총 158만㎡에 이르는 출판ㆍ영상단지인 파주출판도시 국립한국문학관지원시설제공 △국내 최대규모인 1천여명의 작가를 보유한 각종 출판영상사가 작가 창작공간 제공 △북소리축제 등으로 다져진 동아시아 등 해외작가 교류인적 네트워크 활용 △갈대숲으로 둘러싼 문학공원 조성 △인천국제공항 등 뛰어난 접근성 등을 공모전략 컨셉트에 담기로 했다.이와 함께 시는 2월중으로 국립한국문학관 파주유치 시민추진단을 구성하기로 했다. 시민대표 위주로 80여명 규모가 될 시민추진단은 국립한국문학관의 파주 유치의 명분과 당위성에 대한 홍보활동, SNS를 활용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홍보활동, 분야별 맞춤 홍보로 파주시 설립 여론 및 당위성 조성, 관계부처 방문 면담추진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김언호 파주출판도시문화재단 이사장은 “문학은 평화다”며 “남북평화통일 길목인 파주에 전국유일 국가산업단지인 파주출판도시에 속한 1천여개의 출판ㆍ영상 업체들의 다양한 노하우를 국립한국문학관 유치에 쏟아붓겠다”고 말했다.송유면 부시장은 “시민들의 아이디어를 적극 수렴해 오는 4~5월 중 국립한국문학관 파주 유치 신청서를 제출하는 등 시민과 함께 유치에 나설 것이다”고 말했다.한편 국립한국문학관 유치를 위해 시는 문발동 일대 시유지 1만6천188㎡를 건립부지로 제공한다. 문체부는 올해 예산에 10억원의 설계비를 반영한데 이어 2019년까지 모두 480억원을 투입하며 국립한국문학관에는 도서관, 공적기록보관소, 박물관 형태로 한국문학과 관련된 기록을 보관하고 전시하게 된다. 파주=김요섭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