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에서는 여럿이 일을 할 때 그 일이 성공하면 다 내 덕분이라며 공을 독차지하는 반면, 일이 실패하면 스스로에게 자비를 베풀기 위해 잘못의 원인을 남에게 돌리는 사고방식을 베네펙턴스(beneffectance) 현상이라고 한다. 인간의 뇌는 성공하면 그 공을 자신에게 돌리고 실제보다 더 큰 일을 해낸 것처럼 확대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반대로 실패할 땐 뭐 그럴 수도 있지라고 생각한다. 요즘 우리 사회는 베네펙턴스 현상이 너무 지나치다. 솔직하게 내 탓임을 인정하기보다 네 탓으로 떠넘기는 내 탓 없는 사회로 급속하게 변모하고 있다. 일이 잘되면 자기가 잘해서이고, 잘못되면 남의 탓, 이웃 탓, 사회 탓, 환경 탓, 조상 탓으로 돌린다. 모든 것이 자신의 잘못이 아니고 주변 사람들의 탓이다. 때로는 미안합니다. 하지만 그 때는 이러이러한 사정으로 어쩔 수 없었습니다라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듯하면서 열심히 변명하기도 한다. 이는 정중히 사과하는 것 같지만 여전히 주변 탓을 하는 것이다. 대형 참사가 발생하면 그 원인을 두고 네 탓 공방으로 골든타임을 허비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모범이 되어야 할 지도층 인사들의 네 탓 공방이다. 이들의 네 탓 공방은 코로나 19에 지친 국민들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명심할 것은 매사에 남의 탓으로 돌리는 개인이나 집단은 그 당시에는 이익이 될 수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발전이 없고 오만에 빠질 수밖에 없다. 무슨 일이 잘못될 때마다 남 탓을 하면 변화와 성장의 기회를 얻기 어렵다. 남 탓 문화는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고 생각하기에 내가 변화하고 노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네 탓에서 내 탓, 내 덕에서 네 덕으로 가는 길은 어쩌면 세상에서 가장 먼 길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어떤 일이라도 서로 남을 탓하면 더 큰 사건으로 확대되지만 자신의 책임으로 돌려버리면 서로에 대한 깊은 신뢰와 애정이 쌓이는 것이다. 우리는 그 길을 뚜벅뚜벅 걸어가야 한다. 모든 부정적인 일은 덕이 부족한 내 탓이고, 긍정적인 일은 네 덕이다. 물론 세상을 살다 보면 네 탓처럼 보이기도 하고, 확실히 네 탓인 경우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 탓이 아니라 내 탓이라고 말한다면 그 공동체는 상생하는 공동체가 된다. 그리고 여기서 조금 더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내 덕이 아니라 네 덕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한때 한 종교단체에서 벌인 내 탓이오 운동이 지속되지 못하고 슬그머니 사라져 아쉬움이 크다. 가족 간의 아픔, 이웃 간의 분쟁, 세대 간의 반목, 이념 간의 대립, 공동체의 갈등은 내 탓, 네 덕이라는 표현의 부족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서로 내 탓, 네 덕이라고 말하는 칭찬의 공동체는 즐거운 공동체, 건강한 공동체, 행복한 공동체, 아름다운 공동체, 기적의 공동체로 거듭날 수 있다. 정종민성균관대 겸임교수(전 여주교육장)
오피니언
정종민
2020-10-08 1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