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가운 봄비…수도권 비소식 없고 미세먼지 한때 '나쁨'

일요일인 10일 서울경기도를 제외한 전국에 반가운 봄비가 내리겠다. 수도권에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고 오전 한때 미세먼지 농도가 다소 높아질 전망이다. 기상청은 경상도, 전남, 제주도, 울릉도독도에 1040㎜, 강원 영동, 충청 남부, 전북에 520㎜, 강원영서 남부, 충북 북부에 5㎜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비는 이날 오후 9시께 대부분 지역에서 그치겠다. 비가 내리는 지역에는 가시거리가 짧고 도로가 미끄러운 곳이 있겠다.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일부 지역은 다소 많은 비로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지반이 약해져 낙석, 산사태, 축대 붕괴 등의 피해도 우려된다. 해빙기 안전사고와 교통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앞서 서울경기 남부 지역에도 비가 예보됐었지만 북서쪽에서 내려오는 차고 건조한 공기에 비구름이 막혀 때때로 빗방울이 떨어지는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이날 미세먼지는 대부분 지역이 '좋음''보통' 수준이겠지만 수도권, 충청권에는 오전 한때 농도가 '나쁨'까지 올라갈 수 있다. 대기질통합예보센터는 "중서부 지역은 대기 정체로 오전에 다소 농도가 높겠으나 낮부터 대기가 원활하게 확산하고 일부 비도 내리면서 대기가 대체로 청정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6.9도, 인천 6.6도, 수원 6.7도, 춘천 2.5도, 강릉 10.2도, 청주 7.5도, 대전 8.1도, 전주 8.9도, 광주 8도, 제주 12.4도, 대구 10.6도, 부산 9.1도, 울산 10도, 창원 7.9도 등이다. 낮 최고기온은 615도로 예상된다. 바다의 파고는 남해 앞바다에서 1.03.5m, 동해 앞바다에서 0.53.5m, 서해 앞바다에서 0.53.0m가 예상된다. 먼바다에서는 남해 2.05.0m, 동해 1.04.0m, 서해 0.54.0m 높이의 물결이 예보됐다. 연합뉴스

전국 흐리고 남부지역 강한 비…미세먼지 '좋음'∼'보통'

일요일인 10일 전국이 흐리거나 비가 오는 가운데 미세먼지 농도는 '좋음''보통' 수준일 것으로 보인다. 비는 대부분 지역에서 오전부터 내리다가 오후에 그칠 것으로 보이지만 강원 영동과 경북 동해안은 다음날 오전까지 비가 올 것으로 예보됐다. 특히 제주도와 남해안, 경상 동해안에는 돌풍과 천둥, 번개를 동반한 강한 비가 내리는 곳이 있어 낙석과 산사태축대 붕괴 등 안전사고에 각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강원 산지에는 눈이 올 가능성도 있다. 예상 적설량은 최대 15㎝다. 아침 최저기온은 -111도, 낮 최고기온은 613도로 예상된다. 제주도 남쪽 먼바다와 남해 전 해상, 서해동해 남부 전 해상에는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매우 높게 일어 항해나 조업을 하는 선박은 유의해야 한다. 이날 오후부터 남해안과 제주도 해안, 동해안에는 너울에 의해 물결이 높게 일 가능성이 있어 해안가 안전사고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남해 앞바다 0.53.5m, 서해 앞바다 0.53.0m로 예상된다. 먼바다의 물결은 동해 1.04.0m, 서해 0.54.0m, 남해 2.05.0m 등이다. 다음은 10일 지역별 날씨 전망. [오전, 오후] (최저최고기온) 오전, 오후 강수 확률 ▲ 서울 : [흐리고 한때 비, 흐림] (612) 60, 30 ▲ 인천 : [흐리고 한때 비, 흐림] (612) 60, 30 ▲ 수원 : [흐리고 한때 비, 흐리고 한때 비] (412) 60, 60 ▲ 춘천 : [구름많음, 흐림] (112) 20, 30 ▲ 강릉 : [구름많음, 흐리고 비] (810) 20, 80 ▲ 청주 : [흐리고 가끔 비, 흐리고 가끔 비] (69) 70, 70 ▲ 대전 : [흐리고 비, 흐리고 가끔 비] (68) 70, 70 ▲ 세종 : [흐리고 비, 흐리고 가끔 비] (39) 70, 70 ▲ 전주 : [흐리고 비, 흐리고 가끔 비] (710) 70, 70 ▲ 광주 : [흐리고 비, 흐리고 가끔 비] (810) 80, 70 ▲ 대구 : [흐리고 비, 흐리고 비] (79) 80, 90 ▲ 부산 : [흐리고 비, 흐리고 비] (1112) 80, 90 ▲ 울산 : [흐리고 비, 흐리고 비] (89) 80, 90 ▲ 창원 : [흐리고 비, 흐리고 비] (89) 80, 90 ▲ 제주 : [흐리고 비, 흐리고 비] (1314) 90, 70 연합뉴스

미세먼지 수그러든 주말…'숨통'트인 시민들 마스크 없이 나들이

한주 내내 공기를 뒤덮었던 미세먼지가 토요일인 9일 한풀 꺾이면서 서울 도심 곳곳에 봄기운을 느끼기 위해 외출한 시민들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기준 서울의 일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는 43㎍/㎥로 '보통'(51100㎍/㎥),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28㎍/㎥로 '나쁨'(2650㎍/㎥)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5일 일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135㎍/㎥, 미세먼지 농도가 186㎍/㎥까지 치솟았던 것과 비교하면 양호한 수준으로, 대부분 시민은 마스크를 쓰지 않은 채 외출했다. 광화문광장 일대는 가족이나 연인끼리 나들이 나온 이들의 발걸음이 이어져 북적였고, 대부분은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 주중에 대부분 마스크를 쓰고 근무했던 의경들도 이날은 마스크 없이 근무를 섰다. 낮 기온이 오르면서 많은 시민이 두꺼운 코트 대신 가벼운 카디건이나 재킷 차림을 하고 주말 거리로 나섰다. 두꺼운 옷을 벗어 한 손에 든 채 포근해진 날씨를 즐기는 사람들도 눈에 띄었다. 주말을 맞아 여자친구와 반포한강공원을 찾은 직장인 채 모(30) 씨는 "점심을 배부르게 먹고 소화를 시키고 싶어서 한강공원으로 왔다"며 "며칠 동안 미세먼지가 심해서 외출하기를 꺼렸는데 오늘은 공기가 좋아 다행"이라고 말했다. 야외 활동을 하는 이들도 눈에 띄었다. 연세대 신촌캠퍼스 운동장을 찾은 대학생 주 모(22) 씨는 "오랜만에 동기들과 축구를 하러 나왔다. 미세먼지가 심하지 않아 다행"이라며 웃어 보였다. 그는 "사람들이 미세먼지 때문에 불안감이 있어서인지 운동장이 한산하다"고 덧붙였다. 다소 누그러졌으나 여전히 미세먼지 때문에 외출이 꺼려진다는 이들도 있었다. 일부는 여전히 마스크를 쓰고 외출에 나섰다. 가족들과 함께 집 근처 식당에 가는 길에 마스크를 착용한 주부 강 모(57) 씨는 "이제 (익숙해져서) 마스크를 쓰고 숨을 쉬는 게 더 편하다"며 "곧 황사도 올 텐데, 당분간 매일 마스크를 써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강남구의 한 백화점을 찾은 이 모(24) 씨도 "이번 주 내내 미세먼지가 심했던 것이 마음에 걸려 밖을 돌아다니기 찝찝해 실내에서 쇼핑하기로 했다"며 "공기 질이 좋아졌는지 별로 실감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미세먼지 기세가 다소 수그러든 주말을 맞아 나들이 차량이 몰리면서 주요 고속도로의 정체 구간도 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30분 기준 경부고속도로는 서울 방향 대왕판교나들목서초나들목 10.4㎞ 구간, 부산 방향 경부선입구(한남)반포나들목, 서초나들목양재나들목 등 4.6㎞ 구간에서 차들이 시속 40㎞ 미만으로 서행하고 있다. 남해고속도로 순천 방향 12.4㎞ 구간과 중부내륙고속도로 창원 방향 7.6㎞ 구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판교(구리) 방향 8.8㎞ 구간, 판교(일산) 방향 7.8㎞ 구간도 차들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도로공사는 이날 전국의 교통량을 평소 주말보다 다소 많은 총 462만 대로 예상했다.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48만 대가 이동할 것으로 보이며 현재까지 24만 대가 이동했다. 지방에서 수도권으로는 49만 대가 이동할 것으로 보이며 현재까지 21만 대가 이동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방 방향 고속도로 정체는 오전 1112시께 정점을 찍고 오후 89시께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 방향은 오후 56시에 가장 심해졌다가 오후 910시 해소되겠다. 연합뉴스

오후부터 미세먼지 '보통' 수준 회복…"출근길엔 마스크 필수"

목요일인 7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오전까지 미세먼지가 심하다가 오후부터는 '보통' 수준 농도를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날 오후 북풍의 영향으로 대기 확산이 원활해져 미세먼지가 일부 걷힐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3.7도, 인천 3.7도, 수원 0.5도, 춘천 3.9도, 강릉 4.5도, 청주 4.5도, 대전 4.1도, 전주 4.4도, 광주 4도, 제주 7.9도, 대구 7.4도, 부산 8.1도, 울산 6.7도, 창원 6.7도 등이다. 낮 최고기온은 916도로, 평년보다 기온이 약간 높겠지만 내륙을 중심으로 일교차가 클 것으로 예보됐다. 전국이 대체로 맑은 가운데 강원 영동경북경남 동해안은 오전까지 비나 눈이 올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비나 눈으로 도로가 미끄러운 곳이 있고 강원 산지에는 전날부터 내린 많은 눈이 곳곳에 쌓여 있어 교통안전에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서쪽 지방을 중심으로 오전까지 안개가 낀 곳이 있고 오후까지 옅은 안개가 곳곳에 낄 것으로 보여 운전할 때 주의해야 한다. 해안과 강원 산지를 중심으로 바람이 강하게 불며, 대부분의 해상에서 바람이 매우 강하고 물결이 매우 높게 일 것으로 예상된다. 동해상에는 돌풍과 함께 천둥과 번개가 치는 곳이 있어 항해나 조업을 하는 선박은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 앞바다 1.54.0m, 서해남해 앞바다 0.52.5m로 예ㅂ됐다. 먼바다의 물결은 동해 남해 2.04.0m, 서해 1.54.0m 등이다. 연합뉴스

전국 집어삼킨 미세먼지…수도권 6일 연속 비상저감조치

초미세먼지(PM-2.5)가 한반도를 집어삼킨 6일 부산과 울산을 제외한 전국 15개 시도에서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다. 환경부는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5곳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으로 예보되거나 전날에 이어 이날도 초미세먼지 농도가 5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돼 비상저감조치 발령 기준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한 시도는 4일 9곳이었으나 5일에는 12곳으로 늘었고 이날은 15곳이 됐다. 강원 영동 지역은 사상 처음으로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됐다. 서울, 인천, 경기, 세종, 충남, 충북은 6일 연속, 대전은 5일 연속으로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다. 이날 서울지역에는 총중량 2.5t 이상 배출가스 5등급 차량운행이 제한된다. 위반하면 과태료 10만원이 부과된다. 다만 저공해 조치를 이행한 차량은 제외된다. 비상저감조치 발령에 따라 이날 부산, 울산을 제외한 전국 행정공공기관에서 차량 2부제가 시행된다. 6일은 짝숫날이므로, 차량번호 끝자리가 짝수인 차량만 운행할 수 있다. 서울시는 시청과 구청, 산하기관, 투자 출연기관 등 공공기관의 주차장 441개소를 전면 폐쇄한다. 해당 기관 방문자는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한다. 의무 적용 대상은 아니지만 지난해 4월 환경부와 자발적 협약을 맺은 수도권 소재 51개 민간 사업장도 자발적으로 자체적인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한다. 미세먼지를 많이 배출하는 화력발전의 출력을 80%로 제한하는 상한제약도 6일 연속 시행된다. 대상은 석탄중유 발전기 총 25기(충남 10기, 경남 6기, 경기 4기, 인천 2기, 강원 2기, 전남 1기)다. 상한제약 시행에 따라 총 244만㎾의 출력이 감소하고, 초미세먼지는 약 4.54t 감축될 전망이다. 연합뉴스

수도권, 닷새째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당분간 ‘매우 나쁨’ 예보

수도권지역에 사상 최초로 5일 연속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되는 등 당분간 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보돼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4일 환경부와 기상청 등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수도권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5일에도 이어진다. 비상저감조치가 5일 연속으로 발령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겨울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면서 3일간 춥고 4일간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린다는 삼한사미(三寒四微)라는 말이 무색하게 5일 연속 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 수준을 보이는 것이다. 특히 개교ㆍ개강 시즌을 맞아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미세먼지로 인해 잿빛 하늘이 이어지고 있어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실제 4일 경기도의 미세먼지 농도는 136㎍/㎥, 초미세먼지 농도는 159㎍/㎥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에 경기도는 경기중부권을 중심으로 미세먼지 주의보와 초미세먼지 경보를 발령했다. 초미세먼지의 경우 머리카락 굵기의 30분의 1 정도로 작아 호흡기에서 걸러지지 않고 허파까지 그대로 침투, 미세먼지보다 인체에 더욱 해롭다. 환경부 관계자는 5일 연속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는 것은 최초라며 미세먼지가 심각한 만큼 노약자ㆍ어린이ㆍ호흡기 및 심혈관 질환자 등은 외출을 자제하고, 일반인들도 외출 시 반드시 마스크 등을 착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채태병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