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내륙 출근길 -10도 안팎 추위…동해안엔 최대 7㎝ 눈

목요일인 14일은 추운 날씨가 이어지는 가운데 강원 중남부 동해안과 경상 동해안에는 눈 또는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5.6도, 인천 -5.4도, 수원 -5.3도, 춘천 -7.1도, 강릉 -2.5도, 청주 -2.7도, 대전 -2.7도, 전주 -1.2도, 광주 -1.5도, 제주 4.4도, 대구 -0.7도, 부산 2.2도, 울산 1.0도, 창원 0도 등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경기 북부와 강원 영서 북부, 강원 중북부 산지에는 한파 특보가 발효돼 이날 아침 기온은 내륙을 중심으로 -10도 안팎으로 내려가 춥겠다"고 설명했다. 이날 낮 기온은 19도 분포를 보여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클 것으로 예보됐다. 전국이 가끔 구름이 많고 강원 중남부 동해안과 경상 동해안은 동풍의 영향으로 대체로 흐린 가운데 낮까지 눈 또는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 예상 강수량은 강원 중남부 동해안, 경상 동해안 5㎜ 안팎이다. 강원 중남부 동해안은 27㎝, 경북 동해안은 13㎝ 눈이 내리는 곳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강원 중남부 동해안과 경북 동해안, 충남 서해안, 전라 서해안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 건조 특보가 내려져 산불 등 각종 화재 예방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제주도 남쪽 먼바다와 동해 먼바다를 중심으로 바람이 강하게 불고, 매우 높은 물결이 일 것으로 보인다. 바다의 물결은 서해와 남해 앞바다 0.51.5m, 동해 앞바다 1.02.5m로 예상된다. 먼바다의 파고는 서해 0.52.0m, 남해 0.52.5m, 동해 1.03.0m로 예보됐다. 미세먼지 농도는 전 권역이 '좋음' 내지 '보통' 수준으로 예상된다. 다만, 전남부산대구울산은 오전에 '나쁨' 수준의 농도가 나타날 수 있다고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전망했다. 연합뉴스

확실히 덜 추운 올겨울…한파일수 12일→1일 급감

올겨울 서울에 한파가 닥친 날이 지난 겨울보다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기상청에 따르면 작년 10월부터 이날까지 서울의 한파일수(아침 최저기온이 -12도 이하인 날의 수)는 작년 12월 28일 단 하루에 불과했다. 유난히 추웠던 지난 겨울(2017년 10월2018년 4월) 한파일수가 12일에 달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서울의 한파일수는 해마다 불규칙적이지만,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대체로 줄어드는 추세다. 기상청이 공개한 1973년 이후 기록을 보면 서울의 겨울 한파일수는 19701980년대만 해도 평균 8일이었다. 한파일수가 가장 많았던 것은 1976년 겨울(1976년 10월1977년 4월)로, 21일에 달했다. 서울의 겨울 한파일수는 1990년대 들어 연평균 2일로 뚝 떨어졌고 2000년 이후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겨울 추위는 예외적인 현상이었던 셈이다. 올겨울이 덜 춥다는 느낌을 준다면 지난 겨울 추위에 따른 '대비 효과'일 수 있다는 얘기다. 전반적으로 한파일수가 감소하지만, 지난 겨울과 같은 '깜짝 추위'는 언제든지 찾아올 수 있는 것으로 기상청은 보고 있다. 북극의 찬 공기가 남하하는 것을 막아주는 제트기류가 지구온난화로 약해지면서 찬 공기가 한반도로 내려올 경우 지난 겨울과 같은 추위가 재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올겨울 미국에 '최강 한파'가 닥친 것도 제트기류 약화에 따른 북극 찬 공기의 남하 때문으로 분석됐다. 기상청 관계자는 "바람막이 역할을 해주는 제트기류가 약해져 북극 찬 공기가 언제든지 내려올 수 있는 상황"이라며 "장기적으로 겨울 한파일수가 줄어드는 추세 속에 때때로 급격히 늘어 변동 폭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파일수 감소 추세는 서울을 포함한 중부 지방에서 뚜렷이 나타났다. 남부지방의 경우 19701980년대에도 한파일수가 해마다 없거나 12일 수준이었다. 한파일수가 가장 많았던 것은 1980년 겨울 춘천으로, 무려 45일에 달했다. 연합뉴스

추운데 미세먼지까지 가세 "마스크도 챙기세요"

화요일인 12일 추위와 미세먼지가 함께 찾아왔다. 오전 5시 현재 수은주는 서울 -2.9도, 인천 -2.5도, 수원 -3.1도, 춘천 -6.4도, 강릉 -1.7도, 청주 -4.6도, 대전 -5.6도, 전주 -4.9도, 광주 -3.4도, 제주 1.8도, 대구 -3.7도, 부산 -0.3도, 울산 -1.7도, 창원 -2.1도 등을 가리키고 있다. 낮 최고기온은 210도로 예보됐다. 기상청은 오는 14일까지 전국이 평년보다 13도 낮은 기온 분포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미세먼지 농도는 서울인천경기남부강원영서충청권전북에서 '나쁨'까지 치솟을 전망이다. 경기 북부는 오전에 일시적으로 농도가 '나쁨'을 나타내겠다. 나머지 지역은 '보통' 수준이 예상된다. 대기질통합예보센터는 "대기 정체로 국내 미세먼지가 축적되고 국외 유입이 더해져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농도가 높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국이 대체로 맑다가 오후부터는 구름이 많은 날씨가 예상된다. 서해상 낮은 구름대가 유입되면서 서울경기도와 충청도에는 오전 9시까지 산발적으로 눈발이 날리는 곳도 있겠다. 해상에서는 제주도 남쪽 먼바다와 동해 먼바다를 중심으로 바람이 강하게 불고 물결이 높겠다. 물결의 높이는 동해앞바다에서 0.52.0m, 남해 앞바다에서 0.51.0m, 서해 앞바다에서 0.5m로 일겠다. 먼버다에서는 동해 1.03.0m, 남해 0.51.5m, 서해 0.51.0m의 물결이 예상된다. 연합뉴스

"출근길 따뜻하게 챙겨입으세요"…미세먼지는 양호

11일은 중국 중부지방에서 동진하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이 대체로 맑겠다. 서해상에서 해기 차(해수면과 대기 하층의 온도 차) 때문에 발생한 구름대의 영향으로 아침까지 제주도에는 곳에 따라 눈 또는 비가 오겠고, 전남 서해안에는 산발적으로 눈이 날리는 곳이 있겠다.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6.5도, 인천 -5.4도, 수원 -6도, 춘천 -6.4도, 강릉 -1.1도, 청주 -4.3도, 대전 -5.3도, 전주 -4.1도, 광주 -1.5도, 제주 3.6도, 대구 -1.2도, 부산 1.3도, 울산 0.3도, 창원 -0.6도 등이다. 한파 특보가 발효 중인 강원 영서 북부는 -12도 이하로 아침 기온이 내려가는 곳이 있겠고, 그 밖의 중부 내륙도 -10도 안팎까지 수은주가 떨어지는 곳이 있겠다. 이날 낮 기온은 18도로 예보됐다. 기온은 13일까지 평년보다 13도가량 낮겠다. 충남 서해안과 전라 서해안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 건조 특보가 발효 중인 가운데 그 밖의 지역도 건조해지겠으니 산불 등 각종 화재 예방에 각별히 유의해야겠다. 남해안에는 곳에 따라 바람이 초속 913m로 강하게 불 수 있어 시설물 관리에 신경 써야겠다. 대기 확산이 원활한 덕에 미세먼지 농도는 전 권역에서 '좋음''보통' 수준을 보이겠다. 바다의 물결은 서해 앞바다에서 0.5~1.5m, 남해 앞바다에서 0.5~1.0m, 동해 앞바다에서 0.5~2.0m 높이로 일겠다. 먼바다의 파고는 서해 0.5~2.0m, 남해 0.5~2.5m, 동해 1.0~3.5m로 예보됐다. 풍랑 특보가 발효된 제주도 남쪽 먼바다에는 바람이 초속 14m 이상으로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3m를 넘어 매우 높게 일겠다. 동해 먼바다에도 오후부터는 바람이 차차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높아지면서 풍랑 특보가 발표될 가능성이 있다. 남해 먼바다에도 오후까지 물결이 높게 일겠다. 연합뉴스

주말 한파 계속 서울 체감온도 -12도…전국 건조특보

일요일인 10일은 일부 중부지방에 한파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2도까지 떨어지는 등 추운 날씨가 이어지겠다. 오전 5시 현재 전국 주요 지역 기온은 서울 -8.6도, 인천 -7.9도, 수원 -8.2도, 춘천 -9.8도, 강릉 -4.1도, 청주 -6.5도, 대전 -6.2도, 전주 -4.5도, 광주 -4.0도, 제주 2.5도, 대구 -2.8도, 부산 -1.1도, 울산 -1.7도, 창원 -2.8도 등이다. 이날 중부내륙을 중심으로 바람이 약간 강하게 불어 체감온도는 더욱 떨어지겠다. 서울 기준으로 이날 아침 최저기온은 -9도, 체감온도는 -12도를 기록했다. 현재 경기북부, 강원영서북부, 충북북부에 한파주의보가 발효 중이다. 낮 최고기온은 0~8도로 예보됐다. 이날은 중국 북부지방에서 남하하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이 대체로 맑다가 정오께부터 구름이 많아지겠다. 경상 동해안에는 동해상에 위치한 약한 기압골의 영향으로 밤부터 11일 새벽까지 1㎝ 안팎의 눈 또는 5㎜ 미만의 비가 내리겠다. 울릉도독도에도 3~8㎝의 눈이나 5~10㎜가량의 비가 오겠다. 미세먼지 농도는 대기 확산이 원활해 전국이 '좋음'~'보통' 수준을 보이겠다. 현재 충남 서해안과 전라 서해안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 건조특보가 발효돼 산불 등 각종 화재예방에 유의해야 한다. 바다의 물결은 서해 앞바다 0.5~2.0m, 남해 앞바다 0.5~1.5m, 동해 앞바다 0.5~3.5m 높이로 일겠다. 먼바다의 파고는 서해남해 0.5~2.5m, 동해 1.0~3.5m로 예보됐다. 현재 울산 앞바다를 제외한 동해 전 해상과 제주도 서부 앞바다, 제주도 남쪽 먼바다에 풍랑특보가 발효 중이다. 물결이 매우 높아 항해조업하는 선박들은 주의가 필요하다. 연합뉴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