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참사 가십거리로 소비 안 돼"…어느 유튜버의 당부

전 세계 항공 사고를 분석 및 재구성해 다큐멘터리를 제작해온 한 유튜버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관련 뉴스를 가십거리로 소비해선 안 된다고 당부했다. 지난 29일 유튜버 ‘다큐9분’은 자신의 채널 커뮤니티에 “수십 년 분의 항공사고 보고서와 기사를 보며 느낀 것이 있다”며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한 4가지 당부를 전했다. 그는 먼저 “속보 경쟁을 할 필요가 없다. 초기에는 오보가 정말 많다. 목격담도 대부분 착각”이라며 “궁금한 것이 많겠지만, 지금 단계에서는 모두 추측이다. 가십거리로 소비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피해 가족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그는 “대부분의 사고에서 피해자 가족들은 방치되어 2차 피해를 입는다. 정부도 피해자 가족에 대한 지원을 해야 하지만, 시민들도 이 분들을 도와야 한다”면서 누리꾼들에게 “댓글 하나를 쓸 때도 잠깐 고민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또 “희생자의 존엄성을 지켜줘야 한다”면서 “끔찍한 사고 현장이 뉴스 가치가 있을 수는 있지만, 언론들은 윤리 준칙에 따라 엄중하게 보도해야 한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가십거리로 소비되면 안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다큐9분은 책임자를 빨리 잡아낼 이유가 없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책임자가 빨리 드러난다고 더 안전해지는 것이 아니다”라며 “차분히 지켜보며, 피해자를 돕고,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게 철저히 조사하는 것이 사고의 상처를 빨리 수습하는 길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끝으로 “지금도 목숨을 걸고 구조작업을 하고 있을 구조대를 응원한다”는 말을 남기며 글을 마무리했다. 앞서 같은 날 오전 9시3분께 태국 방콕발 제주항공 7C2216편이 무안공항 활주로에 착륙을 시도하다 외벽과 충돌해 폭발하는 사고가 있었다. 이 사고로 승무원 2명을 제외한 179명이 현장에서 사망했다.

대리기사와 시비 끝에 직접 음주운전…벌금 1천만원

인천지법 형사17단독 김은혜 판사는 대리기사와 시비가 붙어 자신의 회사 사무실까지 음주운전 한 혐의(도로교통법상 음주운전)로 기소된 A씨(51)에게 벌금 1천만원을 선고했다고 30일 밝혔다. 김 판사는 “피고인의 범행 경위를 보면 죄질이 좋지 않다”며 “같은 범죄로 지난해 벌금 100만원을 선고받은 전력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피고인이 잘못을 반성하지 않았다”면서도 “음주운전을 한 거리가 짧은 점을 고려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 A씨는 지난 2022년 8월27일 인천 연수구 한 도로에서 회사 사무실까지 200m가량 음주운전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A씨는 술을 마시고 대리기사 B씨에게 운전을 맡겼으나 차 안에서 욕설을 해 시비가 붙었다. 조사 결과, A씨는 B씨가 도로에 차량을 멈춰 세운 뒤 하차하자 직접 운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B씨는 경찰 조사에서 “내비게이션에 목적지가 도로로 표시돼 뒤에 앉은 피고인을 깨웠는데 화를 냈다”며 “좌회전을 하라기에 유턴만 되는 곳이라 좌회전은 안 된다고 말 했더니 욕설하면서 때리려고 했다”고 진술했다. 이어 “트렁크에 둔 전동휠을 꺼내려고 했는데 트렁크 문을 연 채로 차량이 출발했다”며 “차를 뒤쫓아 A씨 사무실 앞까지 갔더니 사유재산에 손대지 말라고 해 경찰에 신고했다”고 덧붙였다. 경찰 적발 당시 A씨의 혈중알코올농도는 면허 취소 수치인 0.159%였다.

무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외신 “원인 속단 금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두고 다양한 원인이 제기되는 가운데 CNN은 "(한국의) 관계 당국이 섣부른 원인을 지목해선 안된다"고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지적했다. CNN은 30일(현지시간) "조류 충돌이나 악천후로 인한 사고로 추정된다"는 이정현 무안소방서장의 브리핑 직후 "추측은 조사관의 최악의 적"이라며 스콧 해밀턴 항공 산업 컨설턴트의 말을 인용해 "사고 초기 단계에서 (원인에 대한) 선언적인 발언은 중단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현재 '조류충돌' '랜딩기어(착륙장치) 오작동' 등 사고 원인을 놓고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로이터는 항공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하며 "조류충돌이 있었을 수 있지만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순 없다"고 보도했다. 이탈리아 공군 아카데미 교사 출신인 그레고리 알레지는 로이터에 "비행기가 왜 그렇게 빨리 착륙했는지, 랜딩기어는 왜 내려가지 않았는지 의문 투성이"라고 말했다. 또 제프리 토마스 에어라인뉴스 편집자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사고 기종인 보잉 727-800은 뛰어난 안전 설계에 기반한 랜딩기어가 장착된 기종"이라며 "이번 사고는 매우 이례적"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관계 당국은 제주항공 7C 2216편의 블랙박스를 수거해 김포공항 시험분석센터로 이송했다. 블랙박스 2대 중 1대의 외형이 손상된 것으로 확인돼 내부 데이터 손상 여부에 따라 분석 작업이 더뎌질 거란 전망이 나온다. 세계 항공규정에 따라 한국의 원인 규명 조사에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도 조사팀을 꾸려 참여할 예정이다. 조사팀에는 제조사인 보잉, 연방항공청(FAA) 등도 포함된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