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ㆍ옥수수ㆍ감자로 이어폰을?

중소기업의 손을 통해 세상에 첫선을 보인 제품들이 꽤 많다.전기압력밥솥, 김치냉장고, MP3플레이어 등이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에서 개발한 상품들이다.삼신이노텍㈜도 친환경이어폰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개발하면서 유망 중소기업을 급부상하고 있다.이어폰을 나무와 옥수수, 감자, 고구마로 만들고 피복선은 생분해성이어서 땅속에 묻으면 썩는 친환경 이어폰을 개발한 것이다.지난 2000년 벤처기업 인증을 받은 삼신이노텍㈜은 2005년 ISO 14001인증을 받았고, 2006년에는 경기도 중소기업대상 표창을 수상하는 등 우량 중소기업으로 자리를 잡았다.이어마이크폰, 이어폰, 헤드폰 등 음향기기 관련 제춤 150여종을 생산해 LG전자, 아이리버, 인켈, 버라이즌 등 국내외 유명 대기업에 납품하고 있다.친환경 이어폰 투원(TWOONE)은 몸통이 나무이고 케이블은 식물성 원료에 생분해성 합성수지를 입혀 땅속에서 70% 이상이 썩는다. 삼신이노텍은 생분해성 케이블 제작 기술로 한국과 미국에서 특허를 받았다.전직원의 60%가 개발인력일 정도로 연구개발에 과감하게 투자하고 있는 삼신이노텍은 음향기기 시장에서 소니나 필립스와 경쟁하려면 차별화가 관건이기 때문에 새로운 자체 브랜드 개발을 위해 매진하고 있다.이같은 노력으로 삼신이노텍은 주문상표부착(OEM), 생산자개발생산(ODM)을 하면서 투원이라는 자체 상표로 미국 시장에서도 진출했다.삼인이노텍은 생분해성 케이블을 채용한 다양한 제품을 자사 브랜드로 출시할 계획이다.이와 함께 대기업 못지 않은 복지환경을 갖추고 직원들의 후생 복지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사측과 직원들 간 일방통행이란 없다. 임금, 복지조건 등 경영에 필요한 여러 가지 부분에 대해 회사와 직원이 서로 의견을 조율하는 것이 삼신이노텍이다.잔디정원과 정자, 체육관 샤워실 등도 완벽하게 갖춰져 있어 직원들이 직장이 일하는 곳이 아닌 쉬는 곳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편안함을 준다.삼신이노텍은 채용시기를 별도로 정해 놓지 않고 일년에 평균 2~3명 정도를 수시로 채용하고 있다.연구원과 영업직 인력이 대부분으로 부지런하고 검소하게, 빈틈없이 야무지게 자율적으로 일하는 기본에 충실한 인재를 선호한다. 최원재기자 chwj74@ekgib.com

아파트 대체할 수익형 부동산 뭐가 있을까

최근 아파트 전월세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수익형 부동산(오피스텔, 도시형생활주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안정적인 임대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지난 8월 18일 정부가 임대사업자에 대한 세제지원(양도세 중과 배제, 종부세 비과세 등) 완화조치를 발표함에 따라 임대사업 여건이 한층 좋아졌기 때문이다. 또한 청약시 통장이 필요 없고, 전매제한을 받지 않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18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에 따르면 10월 이후 연내 남아있는 주요 수익형 부동산 분양 예정 물량은 총 3천458가구로 조사됐다. 오피스텔 2천632실, 도시형생활주택 826가구 등이다.우미건설이 동탄신도시 석우동 33의 1번지에 오피스텔 49~56㎡ 180실을 분양한다. 오는 21일 모델하우스를 오픈한 후 청약접수를 받을 계획. 이마트(동탄점), 한림대동탄성심병원(2012년 6월 개원 예정)이 인근에 위치하고, 삼성반도체 화성단지를 배후수요로 두고 있다.11월에는 호반건설이 광교신도시 C1블록에 오피스텔 63~86㎡ 340실을 분양할 계획이다. 광교신도시 C1블록은 좌측으로는 광교테크노벨리, 우측으로는 경기도청신청사와 인접해 있으며, 신분당선 연장선 경기도청역(가칭, 2016년 개통 예정)과도 가깝다.같은 시기에 분당신도시 정자동 16의 1번지에는 동양건설산업이 오피스텔 116㎡ 174실을 선보일 예정이다. 분당선 정자역이 도보 7분 거리에 위치하며, 정자역 인근으로 SKC&C, NHN, KT 등의 업무시설이 밀집해 있어 임대수요가 풍부하다.이밖에 판교신도시에서는 호반건설이 판교신도시 주16블록에 오피스텔 37~47㎡ 177실, EG건설이 판교신도시 삼평동 515의 1번지에 오피스텔 49㎡ 190실을 11월 중 분양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잡스는 떠났지만 특허소송은 ‘확전’

삼성전자가 프랑스와 이탈리아에 이어 일본과 호주에서도 애플의 신제품 아이폰4S의 판매금지를 신청, 양측의 소송 전쟁이 심화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일본 도쿄 법원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법원에서 아이폰4S를 대상으로 특허권 침해에 따른 판매금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했다고 17일 밝혔다. 일본에서는 아이폰4S와 함께 기존 출시 제품인 아이폰4, 아이패드2에 대한 판매금지도 함께 신청했다.삼성전자는 그동안 3세대(3G) 이동통신 표준과 관련한 특허로 애플을 압박해왔으나, 이번 제소에는 스마트폰 사용자인터페이스(UI)와 관련한 특허를 포함시켰다.삼성이 일본에서 애플에 침해당했다고 주장한 특허는 ▲비행모드 아이콘 표시 특허 ▲사용자 중심의 홈스크린 공간 활용 특허 ▲앱스토어 카테고리별 트리구조표시 특허 등 UI 관련 특허 3건과 고속패킷접속(HSPA) 표준 특허 1건이다.호주에서도 데이터 분할 전송 시 각 데이터에 특정 부호를 부여하는 기술 등 이동통신 표준 관련 특허 3건에 대한 침해를 주장했다.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지난 13일(현지시간) 호주 법원의 갤럭시탭 10.1 판매금지 가처분결정에 대해서도 이날 항소했다.삼성전자 관계자는 휴대전화 등 핵심사업이 보유한 특허 자산에 대한 무임승차(FreeRide)를 더는 간과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와 같은 취지에서 프랑스와 이탈리아에 이어 일본호주에서도 즉각 판매금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삼성전자 "필기시험 빼고 면접만"

삼성전자가 소프트 경쟁력 강화와 창의적 인재 확보를 위해 소프트웨어디자인 분야 신입사원을 필기시험 없이 면접만으로 뽑는 특별전형을 실시한다. 삼성전자는 기존 신입사원 공채시 SSAT와 면접전형으로 우수한 신입사원들을 선발해 오고 있으나, 소프트웨어와 디자인 분야에 탁월한 재능을 갖춘 신입사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Future Creator Challenge 전형을 신설, 운영할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 Future Creator Challenge 전형의 가장 큰 특징은 지원자의 해당분야 재능과 잠재역량에 대한 검증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전형 방식을 차별화했다는 점이다. 지원자는 대회 수상 실적, 자격증, 대내외 활동 등 해당 분야와 관련된 주요 이력과 자신의 재능과 잠재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포트폴리오를 제출한 뒤 이를 통과하면 면접전형을 거쳐 선발이 확정된다. 면접전형은 1, 2차로 나눠 진행되며, 해당 분야의 과제를 해결하는 심층 역량 면접과 제시된 주제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아이디어 면접으로 구성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다양한 분야의 탁월한 재능을 갖춘 끼있는 인재를 확보하는데 좋은 제도로 자리잡아 삼성전자의 소프트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Future Creator Challenge 전형은 해당 분야에 역량을 지닌 사람이면 누구나 지원이 가능하며 오는 20일부터 28일까지 삼성 채용홈페이지(www.samsungcareers.com)를 통해 접수받을 예정이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대졸자들 입사 지원 하세요

웅진그룹, 동원그룹, 한샘, 인터파크INT, 교보생명보험 등 중견기업의 대졸 신입채용이 활발하다. 웅진그룹은 IT, R&D, 건축, 경영지원, 기술, 영업 및 마케팅, 편집 부문의 대졸 신입사원을 모집한다. 기졸업자 및 4년제 대학 2012년 2월 이내 졸업예정자(석박사 포함)라면 어학 및 학점 제한 없이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모집부문 별로 우대전공 및 우대사항이 상이하므로 공고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좋다. 접수는 웅진그룹 홈페이지(www.woongjin.com)을 통해 온라인으로 지원하면 된다. 또한 이번 공채에서는 처음으로 페이스북(www.facebook.com/wjrecruit)을 도입해 지원자들은 웅진그룹 채용 페이스북을 통해 담당자와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고, 공채와 관련한 이벤트에도 참여할 수 있다. 지원 마감일은 오는 19일까지. 동원그룹에서 영업, 마케팅, 물류, 생산, 연구, 기술, IT, 경영부문의 신입사원을 채용한다. 4년제 정규 대학 2011년 졸업자 및 2012년 2월 졸업예정자(휴학생 지원 가능)로 즉시 근무가 가능하고 전 학년 평점이 3.0(4.5만점 기준)이상이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공통적으로 영어일어중국어 등의 외국어 구사 능력 우수자를 우대한다. 접수는 오는 24일까지 동원그룹 채용사이트(www.dwhr.co.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지원하면 된다. 한샘이 경영지원, 물류관리, 상품기획 분야에서 신입사원을 채용 중이다. 4년제 정규대학 기졸업자 및 졸업예정자라면 학점, 어학점수에 대한 제한 없이 누구나 지원 가능하고 중국어 능통자 및 기타 각종 관련 자격증 소지자는 우대한다. 접수는 오는 20일까지 한샘 홈페이지(www.hanssem.com)를 통해 온라인으로 지원할 수 있다. 인터파크INT는 마케팅, 경영기획 분야에서 신입사원을 모집 중이다. 대졸 이상의 학력자(2012년 2월 졸업예정자 포함)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마케팅 분야는 마케팅 및 광고 전공자, 마케팅관련 활동경험 보유자를 우대하고, 경영기획분야는 경영 및 경제학과 및 관련 전공자를 우대한다. 접수는 홈페이지(www.interpark.com)를 통해 온라인으로 지원하면 된다. 마감일은 오는 23일까지. 교보생명보험도 마케팅, 상품 및 경리, 자산운용, IT부문의 일반직과 사무직 신입사원을 채용 중이다. 일반직의 자격요건은 4년제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 소지자 또는 2012년 2월 졸업 예정자로 모집부문 별로 우대사항이 상이하다. 사무직은 2012년 2월 정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및 동등 이상의 학력 소지자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오는 28일까지 교보생명보험 홈페이지(www.kyobo.co.kr)를 통해 지원가능하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기업들 “영업직 뽑기 가장 어려워”

기업들이 채용 시 가장 어려움을 겪는 직무분야는 영업직 인력이었으며, 앞으로 인력 확대가 필요한 분야에는 마케팅직, 그리고 인력축소가 예상되는 분야로는 일반 관리직군이 꼽혔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올 하반기 채용을 진행하고 있는 사원수 100명 이상 기업 301개사를 대상으로 하반기 인재채용 동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인재 채용 시 가장 어려움을 겪는 직무 분야로 영업직(30.2%)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기술직(10.3%) ▲생산직(9.3%) ▲기획직(9.0%) ▲재무/회계직(8.3%)이 채용이 어려운 분야 5위권 안에 들었으며, 이 외에도 ▲홍보/PR/광고직(6.6%) ▲연구/개발직(6.0%) ▲IT/정보통신직(4.7%) ▲마케팅직(4.0%) 등의 순이었다. 특히 향후 인력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직무 분야에 대해서는 ▲마케팅직(15.6%) ▲영업직(14.0%) ▲연구/개발직(13.3%)이 많았으며, 이 외에 ▲기획직(9.6%) ▲홍보/PR/광고직(8.3%) ▲재무/회계직(8.0%) ▲IT/정보통신직(7.3%) 등의 순이었다. 반면, 향후 점차 인력 축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직무분야에 대해서는 일반 관리직군이 30.6%로 1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생산직(11.6%) ▲인사/총무직(10.3%) ▲연구/개발직(6.6%) ▲홍보/PR/광고직(6.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설문에 참여한 기업 중 47.8%인 절반 정도가 가장 선호하는 인재 채용방식으로 수시채용 방식을 선택해 공개채용(31.6%) 방식보다 선호도가 더 높았다.이 외에 ▲인턴제도(9.0%) ▲임직원(사내) 추천(6.0%) ▲헤드헌터 추천(4.7%) 등의 순이었다. 특히 위와 같은 인재 채용 방식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우수 인재를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어서란 응답이 51.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인재 채용에 걸리는 시간 절약(34.2%) ▲비용절감(11.0%)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한편 새로운 직원 한 명을 채용하기 위해 모집 공고를 내고, 서류전형, 면접을 거쳐 최종 선발하는데 소요되는 평균적인 기간은 18.2일 정도가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中企 ‘잔인한 하반기’ 예상

중소기업 네 곳 중 한 곳이 올해 하반기 매출 실적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중소기업중앙회는 16일 중소제조업체 375개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 업체의 28.5%가 매출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으며 매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답변한 업체 15.7%에 불과했다고 밝혔다.이렇듯 실적 호전보다는 악화를 전망하는 업체가 더 많았으나 위험에 제대로 대비하는 중소업체는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응답업체의 35.5%가 경영 악화 시 별다른 대책이 없다고 밝혔고, 나머지 업체는 원가절감이 33.6%, 신제품기술 개발 9.3%, 수출 거래처 발굴 7.5%, 인력 구조조정 또는 임금삭감이 7.5% 순으로 대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업체의 경영 애로사항은 33.9%가 원자재 가격상승을 꼽았고 내수소비 감소 13.9%, 자금 조달 악화 13.1%, 수출 물량 감소 10.9% 등이 뒤를 이었다.한편 최근 환율 상승이 채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42.7%가 부정적이라고 응답해 긍정적이라고 답변한 업체(13.1%)보다 훨씬 많았다.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만큼 금융 시스템을 수시로 점검하며 위기 관리를 하는 등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원재기자 chwj74@ekgib.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