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가 플래시메모리 반도체 개발

삼성전자는 대용량 휴대용 저장매체인 1기가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를 세계 처음으로 개발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제품은 전원이 꺼져도 기억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점이 특징으로, 인터넷 오디오인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팜(Palm)PC 등에 탑재돼 사용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저장매체로 고해상도 사진 560장, CD수준의 고음질 음악 32곡을 저장할 수 있는 차세대 NAND형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이다. 삼성전자는 D램 공정기술을 활용해 회로선폭 0.15㎛(1미크론은 100만분의 1㎜) 기술을 적용, 경쟁업체에 비해 6개월-1년 정도 앞서 개발에 성공했으며 기존의 64메가, 128메가, 256메가 플래시메모리 제품공정에 이 기술을 용용, 기존제품의 원가경쟁력을 높여 나갈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미세회로 공정기술을 이용, 2001년 512메가 플래시 메모리와 128메가급 스마트미디어 카드로 본격 양산할 예정이며 1기가 플래시메모리는 2002년부터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세계 시장에서 데이터 저장용 플래시메모리 시장의 4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올해 매출액 2억달러에서 2002년에는 8억달러로 확대, 세계 1위자리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용인=강한수기자

사이버정치증권중 우량증권은?

경기 인천지역 국회의원들 가운데 사이버정치증권에서 우량주 의원은 누구일까. 지난7월부터 정치인인을 사이버증권시장에 상장, 주식시장과 같은 방법으로 거래를 하는 포스닥(www.posdaq.co.kr)이 개설되면서 경인지역 선량들의 주식 시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사이트는 가상의 돈 100만원을 회원들에게 초기투자금으로 나눠주고 의정활동 성적등에 따라 정치인들을 실물시장에서처럼 사고 파는것. 10월13일 정오 현재 코스닥에 상정된 경인지역 50여명의 국회의원중 주식시세가 가장 높은 의원은 한나라당 김문수의원. 주당 주식시세가 무려 7만원에 달했다. 김의원은 얼마전 모언론사의 국회의원 평가에서도 환경노동위원회 우수의원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다음으로 이한동의원 6만500원, 이석현의원 6만100원, 천정배의원 5만8천원, 김영환의원 4만6천원, 이사철의원 3만7천원 순으로 나타나 경기지역의원이 상위 5걸에 포함됐다. 다음으로는 안상수의원, 이윤성의원이 각각 3만2천400원을 기록했고 이어 이웅희의원 2만9천700원, 이재명의원 2만7천709원, 유선호의원 1만9천600원, 조성준의원 1만8천900원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시세를 기록한 의원은 허남훈의원 6천210원이었고 다음으로 조진형의원 6천250원, 이국헌의원 6천500원, 박신원의원 6천558원, 오세웅의원 6천600원을 기록했다. 이 사이트는 금전적 손해 개념이 없기 때문에 특정정치인의 우호세력 또는 반대세력이 주가를 조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가 조작시비에 대한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심규정·신동협기자

소외계층 지원책 구호로만 그쳐

중앙·지방정부의 장애인, 노인, 임산부, 저소득층 등 소외계층에 지원책이 구호에만 그치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 장기임대아파트의 경우 임대계약 완료후 일반분양할 것이 아니라 영구임대아파트로 전환하는 정책모색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1 3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4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방안에 관한 법률이 제정, 시행됐고 지난해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조사를 마쳤다. 그러나 도는 1년동안 이를 수수방관하다 최근들어 중·장기계획 수립에 들어갔는가 하면 편의시설 설치도 그동안 우후죽순으로 설치하다 내년부터 체계적으로 시설을 설치할 계획이어서 뒷북행정이란 지적을 받고 있다. 도는 지난 98년 도와 15개 시·군에 8억3천852만1천원을 들여 장애인용 주차장, 화장실, 승강기, 경사로 등을 설치했고 올해에는 8월말 현재 도와 21개 시·군에 16악8천786만8천원을 들여 편의시설을 설치했지만 장애인·임산부·노인들의 실제적인 생활편의에 큰 보탬을 주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특히 저소득층 장기임대아파트의 경우 저소득 계층의 경제적 상황은 고려도 하지 않은채 임대계약인 5년이 지난뒤 무조건적으로 일반분양으로 전환하는 바람에 도내 800여가구가 분양을 받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공경기지사는 도내 장기임대아파트(18평이하) 7만6천여가구중 임대기한인 5년이상된 4천336가구를 지난해부터 일반분양하고 있지만 20%인 807가구가 미분양된 상태라고 밝혔다. 성남시 분당구 탑동마을 8단지의 701가구는 지난해 11월 31일 일반분양으로 전환한뒤 현재까지 27가구가 분양권을 포기했고 군포시 산본동 충무1단지 1천322가구중 460가구, 부천시 중동 설악단지 810가구중 100가구가 각각 미분양됐다. 또 성남시 분당구 한솔4단지 1천88가구도 현재 80가구가 미분양됐고 성남 시영아파트 2천여가구는 아예 분양가를 낮춰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주공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