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에 ‘하수도료 들썩’… 이천시민 불만

이천시가 소비자정책심위 등을 통해 가계에 부담이 되는 하수도 요금 인상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예상된다. 가득이나 치솟는 물가에 서민경제에 부담이 되는 이중고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26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0월 중 이천시 소비자정책심의위원회 등을 통해 지난 2003년부터 2012년까지 10년 동안 동결됐던 하수도 사용료를 오는 2013년 1월 고지분(2012년 12월 사용분)부터 인상하기로 하고 관련 조례를 개정 중이다. 수익자부담원칙에 의거 전국 평균 현실화율이 38.1%인데도 불구, 시민들의 경제사정을 고려해 지금까지 억제정책을 펼쳐온 결과, 현실화율이 4.8%(2011년 결산 기준)에 머물고 있는데 따른 조치다. 게다가 지난 2010년 이후 하수도 공기업 운영 및 각종 하수시설 확장 등으로 재정 확충이 시급하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현재 t당 155원인 부과금액이 25.8% 인상돼 195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시 하수도 관계자는 현재 이천시의 하수도 1t 처리에 드는 비용은 3천23원이지만, 사용자에게 부담시키는 비용은 155원(현실화율 4.8%)으로 매년 적자 누적이 심화되고 있다며 시는 꾸준히 인구 유입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른 공공하수처리장의 신ㆍ증설을 위한 재정 확충 등을 위해 불가피하게 이번에 요금 인상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잇따르고 있는 각종 공공요금 인상으로 서민경제가 크게 위축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때 상당부문 시민들의 반발도 예견된다. 주민 박모씨(50)는 일부 이해가 되지만 가뜩이나 어려운 가계형편에다 물가가 오르고 있는 점을 감안할때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면서 15명 안팎에 머무는 소비자정책심의위원회의 의견만을 듣기 보다는 보다 폭넓게 주민의견을 묻는 절차가 선행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이천 어르신들 '사랑의 온천 나들이'

훈훈한 겨울나기가 시작됐다. 이천지역 각급 사회단체들이 연말 불우이웃을 위한 김장행사로 분주한 가운데 22일 거동이 불편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재가노인들과 저소득 독거노인을 위한 사랑의 온천 나들이 행사가 열려 관심이 쏠렸다. 이천샘물요양보호센터와 경기 이천의료기가 주관하고 경기일보 이천지사와 이천 미란다호텔, 드림테크 등이 후원한 이날 행사는 오전 10시부터 미란다호텔 사우나와 인근 B 음식점 등으로 이어지며 진행됐다. 혼자서는 걷는 것 부터 어려운 어르신들의 목욕과 식사 대접을 위해 센터 요양사와 자원봉사자 20여 명이 맨투맨으로 밀착, 거들고 보호하는 것부터 시작됐다. 특히 이들 자원봉사자는 때밀이를 자처하며 마치 부모 대하듯 사랑의 손으로 서로 행복을 나누었다. 이어 목욕이 끝나자 이들 어르신과 자원봉사자들은 인근 B 음식점으로 속속 모여들었다. 음식 먹는 것조차 불편해하는 어르신을 위해 봉사자들은 손수 숟가락을 들어 음식을 떠서 편하게 목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순간순간이 서로 훈훈한 덕담과 사랑이 오가는 순간이었다. 거동이 불편한 박모 할머니(81)는 하루 온종일 집을 찾아온 요양사를 보는 재미에 사는데 이렇게 목욕도 하고 또 맛있는 갈비탕도 먹을 수 있어 기분 좋다면서 늙어 몸은 아프지만, 젊은이들의 정성이 갸륵해 오래도록 살고 싶다고 말했다. 정신화 샘물센터장은 어르신 대부분이 집에서 요양치료를 받는 거동이 불편한 분들로 움직일 때마다 보호자가 필요하다면서 앞으로 여건이 되는 한 어려운 노인분들을 위해 주위 관심 있는 단체와 함께 나눔 행사를 추진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이천 장호원에 ‘가축분뇨공공처리장’ 완공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이 이천 장호원에 설치됐다. 이천시는 장호원읍 노탑리 427의2번지에 건립된 가축분뇨공공처리장에서 지난 20일 조병돈 시장을 비롯한 각 기관 단체장과 시공사 관계자, 주민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준공식을 가졌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준공된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은 총 사업비 236억을 투입, 지하1층~지상2층 연면적 2천77.66㎡평방미터 규모로 하루 220t을 처리할 수 있는 공공처리시설이다. 시설 운영은 전문 관리업체에 위탁 운영되며, 분뇨 처리를 희망하는 농가가 있을 경우, 가축분뇨 수집운반업체가 방문, 수거토록 할 방침이다. 가축분뇨의 수집운반 및 처리비용은 t당 1만1천원이다. 시는 이번에 준공되는 공공처리시설로 가축분뇨로 인한 오염 배출 부하량 48.7㎏/일을 삭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이천지역 주요 도심인 중리택지지구를 개발할 수 있는 물량이며 또 중ㆍ소공장 157개소를 유치할 수 있는 물량에 해당된다. 조 시장은 준공식에서 기존공공처리장에서 하루 90t을 처리하던 가축분뇨를 하루 220t 추가 처리 할 수 있게 됐다며 그동안 해양 배출에 의지해 오던 축산농가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주민생활 불편 개선과 환경오염 예방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