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미화용역 근로자 처우개선 ‘청신호’

부천시 재활용선별작업장에서 50대 근로자가 컨베이어 벨트에 끼어 있던 이물질을 제거하던 중 왼쪽 어깨가 절단돼 사망한 가운데(본보 7월29일자 10면) 부천시에서 시설미화용역 근로자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서 근로자들의 처우개선 방안이 마련될지 주목된다. 18일 부천시비정규직근로자지원센터에 따르면 센터는 오는 10월 말까지 3개월 동안 부천지역 내 시설미화용역 근로자들의 용역 분류와 범주, 근로실태 등에 대해 조사한다. 조사대상은 부천시 공공미화시설용역(도급) 노동자 350여명으로 부천시청 및 3개 구청 시설미화용역, 부천도서관, 시설관리공단, 부천문화재단, 산업진흥재단,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등에서 일하는 시설미화용역 근로자들이다. 근로자지원센터 관계자는 공공기관 등에서 일하는 용역 근로자들은 간접고용 비정규직으로 직접고용 비정규직 근로자와 비교해도 열악한 근무환경과 고용 불안 속에서 일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실태조사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과 대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부천시 365안전센터도 이날까지 민간위탁시설물의 안전관리실태 긴급점검을 벌였다. 점검 대상은 부천지역 내 민간위탁시설물 134개소 중 상시근로자 수 10인 이상인 시설 41개소로 민간위탁시설물의 안전관리 실태를 확인하고 문제점을 파악, 개선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실시했다. 주요 점검사항은 ▲근로자의 안전교육 실시 ▲안전모, 안전화, 안전대, 안전조끼 등 개인보호구 착용 ▲사업장 주변 펜스 설치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 ▲안전표지판 설치 등이다. 박종욱 센터장은 안전도시 구축은 작은 안전수칙의 철저한 준수에서 시작한다며 앞으로 안전점검팀을 지속적으로 가동해 위험요소를 미리 차단하고 안전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근로자가 사망한 부천시 재활용선별작업장은 부천시가 직영을 해왔으나 매년 수억원의 적자가 발생하자 지난 2010년 지역 내 청소용역업체에 독립채산제 방식으로 위탁했다. 시민사회단체에서는 낮은 임금과 열악한 근로환경 등에 근로자들이 노출돼 있다며 개선을 요구했지만 시는 독립채산제를 이유로 근로자들의 처우 개선에 관여하지 않고 있어 비난을 사고 있다. 부천=윤승재기자

부천시 원미구 조상땅 찾기 서비스 통해 832필지 찾아줘

부천시 원미구는 13일 올해 상반기 조상 땅 찾기 서비스를 통해 주민들에게 832필지 67만4천815.6㎡ 규모의 토지를 찾아주었다고 밝혔다. 올 상반기에 이 서비스를 이용한 주민은 1천561명으로 2012년 전국단위 재산조회 서비스 시행에 비해 1천577%, 지난해 대비 310% 상승했다. 조상땅 찾기는 전국단위의 토지대장 전산망을 통해 토지소유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인에게 사망자 명의의 토지소재지를 알려줌으로써 상속 등 재산관리를 도와주는 서비스이다. 또한, 본인 명의의 재산 조회를 원하거나 개인파산 신청에 따른 법원제출 및 각종 공공기관 제출 용도로도 이용자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신청은 토지 소유자 본인과 사망자의 법적 재산 상속인이면 누구나 가능하며 구비서류는 본인의 신분증, 제적등본(2007.12. 31.이전 사망자),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2008.1.1이후 사망자)등을 첨부해 지역에 관계없이 가까운 시군구청 조상땅찾기 담당부서를 방문 신청하면 전국의 토지를 조회할 수 있다. 수수료는 무료이며, 본인 명의의 소유 현황은 본인 인증서만 있으면 인터넷(http://www.onnara.go.kr/)으로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김연규 원미구 지적정보팀장은 원미구는 앞으로도 구민들에게 다가가는 고품질 민원서비스에 더욱 앞장설 것이라며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조상명의의 토지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찾아줌으로써 주민의 재산권 보호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부천=윤승재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