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천 원의 행복… ‘따뜻한 장터’

장난감을 저렴하게 구할 수 있어 아이와 부모 모두 좋아합니다. 화성시 유아용품 나눔방(유앤아이센터 1층)이 산모와 7세 이하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화성시 출산장려정책의 일환으로 문을 연 유아용품 나눔방은 유아용품 구입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저렴한 가격 또는 무상으로 유아용품을 교환, 구매 할 수 있는 상설벼룩시장이다. 유모차, 장남감 등 출산 영유아 용품 1천여점을 준비해 지난 7월 초 운영을 시작, 2개월간 900여명의 이용자가 948점의 물품을 구입하는 등 높은 관심을 얻었다. 특히 외국인 및 다문화가정이 많은 화성시는 이용자 중 다문화가정 주부들이 많았다. 유아용품 나눔방 이용자 프앵씨(28태국)는 아이와 함께 나눔방을 자주 이용하고 있다며 3천원에 구입한 장난감 자동차를 아이가 너무 좋아한다고 말했다. 화성시는 기증된 물건의 세탁, 소독 등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 이용자들이 안심하고 구입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유아용품 기증자를 확보하기 위해 주민자치센터와 어린이집 연합회, 여성단체협의회, 유아용품 제조업체 등에 적극 홍보하는 등 다양한 운영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유아용품 나눔방 판매 수익금은 연말에 관내 어려운 가정의 어린이에게 지원할 계획이다. 화성시 관계자는 유아용품 나눔방이 화성시의 기증문화와 나눔 운동의 밑거름이 되고, 저출산 장려운동에도 많은 보탬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유아용품 나눔방은 매주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오전 10시~오후 5시) 상설로 운영하고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화성시 여성비전센터(031-267-8766)로 문의하면 된다. 화성=강인묵기자 imkang@kyeonggi.com

화성 3대 현안해결 민의 정부에 전달

채인석 화성시장이 21일간의 국토대장정을 마치고 국립자연사박물관 화성 유치 등 화성시의 3가지 현안 해결을 촉구하는 국민 20여만명의 서명부를 13일 국무총리실과 국회에 전달했다. 지난 8월 24일 땅끝 해남을 출발해 이날 여의도에 도착한 채 시장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방자치단체의 현실이 중앙정부에 전달되길 바라는 마음과 중앙정부에 현안 사항 해결을 요구하며 국토대장정을 떠나게 된 계기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채 시장은 기자회견에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관계가 일방적인 지시와 실행이 아닌 성숙한 소통의 관계로 형성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채 시장은 지난 21일간 522㎞를 걸으며 경유지의 국회의원과 광역단체장, 지자체장 등을 만나 국립자연사박물관 화성 유치와 매향리 평화생태공원 국비 지원, 화성호 담수화 철회 및 해수유통 요구 등 화성시의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협조와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강화 등에 대해 논의하고 지지 서명을 받아왔다. 여의도공원 문화의 광장에서 열린 국토대장정 완주식을 끝으로 21일간의 국토대장정을 마친 채인석 시장은 이번 국토대장정은 당초 1인 종주로 계획됐으나, 자발적인 시민들의 참여와 격려로 522㎞를 무사히 완주할 수 있었다며 시민들에게 감사를 전했다. 한편 채 시장은 앞서 지난 12일 농림수산식품부에도 같은 내용의 서명부를 제출한 상태다. 화성=강인묵기자 imkang@kyeonggi.com

화성시 '병점 떡전거리 축제' 연다

화성시문화재단(대표이사 백대식)에서는 10월 6, 7일 양일간에 걸쳐 병점역 인근에서 2012 병점 떡전거리 축제를 개최한다. 이번 축제는 조선시대 옛 거리 재현과 떡전거리 역사관을 꾸며, 떡전거리의 유래와 그 역사를 심도 있게 밝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떡거리 축제는 기존의 축제들이 먹고 마시는 1회성인데 비해 교육적 측면과 학술적 측면도 고려한 축제를 추진하고 있다. 이번 축제기간동안 옛 거리 재현과 역사관을 통하여 주민들의 우리고장 바로알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떡전거리란 표현이 춘향전에 등장한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를 끌며, 더구나 과거급제 후 암행어사가 된 이몽룡이 병점을 거쳐간 곳으로 그 역사적 의미는 더욱 크다고 할 것이다. 한편 떡전거리 역사관에서는 1920년대 병점역사 사진 등 병점인근의 사진도 다량 전시하여 주민들의 병점 알리기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당시 조선시대를 체험 할 수 있는 포목, 박물전, 서당, 포도청등의 체험 행사와 수능 합격기원을 담은 소원등불, 암행어사 이몽룡 을 재현 하는 「떡전거리 과거시험」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 될 예정이다. 기타 행사의 자세한 내용은 www.ddukstreet.com 병점떡전거리 홈페이지를 검색하면 된다. 강인묵기자imkang@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