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시설농가 “물기근 수맥 찾아라” 지하수 전쟁

이천지역 시설채소 농가들이 물 부족으로 농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지하수가 고갈되면서 용수 확보를 위해 관정을 굴착하는 과정에서 이웃간 갈등을 겪는 등 인심마져 흉흉해 지고 있다. 23일 이천시의회 임영길 의원 등에 따르면 이천지역 상추 등 엽채류 재배지는 238농가 385.7ha에 이르며 오이 등 과채류 또한 91농가 200.1ha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근채류, 조미채소류, 양채류 재배지역도 382농가에 491.8ha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분포도를 보면 백사면이 118농가에 159.5ha로 가장 많이 위치해 있으며 장호원읍 14농가 61.7ha 등 시 전역으로 면적이 골고루 분포돼 있다. 그러나 이들 시설농가들은 연중 적정량의 용수 확보를 위해 대부분 관정 굴착 등의 방법으로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지만 해마다 용수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설농가 특성상 겨울철이면 보온 수막용 용수가 부족해 농사를 포기해야 할 형편이며 백사면 일원 농가 중심으로 최근들어 물이 급격하게 줄어 들면서 이웃간 충돌을 빚고 있다. 최근 A씨는 용수 확보를 위해 이웃 농경지 경계지점에 관정을 굴착하는 과정에서 다툼을 벌이는 등 곳곳에서 주민간 용수 확보문제로 마찰을 빚고 있다. 이에 따라 강변 양수정 개발 등을 통한 용수 확보 및 빗물 등을 재활용 할 수 있는 시설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임영길 의원은 이천지역은 시설하우스 농가가 급증, 수도권에서 채소를 공급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그러나 용수가 부족, 어려움을 겪는 농가를 위해 강변 양수정을 개발, 주입정을 통해 보온 수막에 사용할 수 있는 물을 확보하고 또 빗물을 여과 침조 후 재활용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농가들의 주된 요구는 수막용 물을 사용하고 난 후 그 물을 다시 재활용 할 수 있는 시설을 바라고 있다면서 조만간 시 농업기술센터와 협의, 시범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유해물질 검출 도내 사업장 무더기 폐쇄 위기

특정수질 유해물질 검출로 도내 대형 사업장이 무더기로 적발돼 폐쇄 등 행정처분에 직면한 가운데 해당 시ㆍ군의회가 과도한 규제라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이천시의회는 17일 지역 내 SK하이닉스, OB맥주 사업장 등에 대한 환경부의 과도한 단속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시의회는 이날 팔당 등 특별대책지역의 비현실적인 환경규제 개선 촉구 성명을 통해 정화시설에서 처리해 배출되는 배출수가 아닌 원폐수에서 특정수질유해물질이 검출됐다는 이유로 기업의 문을 닫게 하겠다는 것은 상식을 벗어난 과도한 규제다고 포문을 터뜨렸다. 시의회는 이어 이런 이유로 수십년을 운영해 오는 기업과 첨단 배출시설을 갖추는 기업들이 배출시설 폐쇄 명령 등으로 문을 닫게 되는 불합리한 행정행위로 지역경제가 추락하면서 일자리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측정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원폐수에는 유입 경로를 알 수 없는 미량의 특정수질유해물질이 있을 수 있음에도 이를 부정하는 것은 지극히 비현실적이라며 먹는 물 수질기준에도 적합할 정도의 극미량이 검출됐다는 이유만으로 사업장 폐쇄 등 행정 처분하는 것은 지나친 제제라고 비난했다. 시의회는 이에 따라 오직 법의 잣대에 의거 기업 몰아내기를 일삼은 환경부의 정책을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측정오차 발생이 가능한 비정기적 조사방식을 개선하고 특정유해물질의 배출을 먹는 물 수질기준까지 허용하는 방향으로 환경부 관련 고시를 개정하라고 촉구했다. 용인시의회도 이날 제176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같은 내용으로 규탄 성명서를 채택하고 환경부에 전달하기로 했다. 이날 정창진 의원은 제안 설명을 통해 방류수가 아닌 원폐수에서 특정수질 유해물질이 극미량이라도 검출되면 시설을 폐쇄 또는 이전토록 하겠다는 것은 기업의 존폐 문제뿐 아니라 지역경제가 추락하고 일자리 또한 위협받을 정도다면서 이러한 행정처분은 너무나도 과도하고 비현실적인 규제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이에 따라 용인시의회는 불합리한 정부의 규제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지역에서 기업을 몰아내는 불상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천용인=김동수박성훈기자 dskim@kyeonggi.com

생활불편에서 장례서비스까지… 발로뛰는 복지 민원해결사

복잡한 민원체계와 복지정책 등을 알지 못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층을 위한 전문 해결사가 있어 화제다. 주인공은 이천시 무한돌봄센터장 이태용씨(46)와 직원들로 구성된 복지민원해결전담팀. 지난해 혹독한 추위 속에서 난방도 제대로 들어오지 않는 쪽방에서 외로운 겨울을 보냈던 H씨(82)는 복지민원해결전담팀 덕분에 최근 무한돌봄생계비지원대상자로 발탁, 최소한의 생계유지가 가능해졌다. 또 당뇨에 무릎까지 불편해 거동이 힘든 독거노인 L씨(78)를 찾아 생활개선 서비스를 펼치는 등 지역사회 곳곳을 사랑으로 보듬고 있다. 이렇듯 지역내 저소득층을 일일이 찾아가 그들의 실상을 알리고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발로 뛰는 이들 팀원들은 지난 3월부터 찾아가는 무한돌봄센터를 운영하면서 복지 민원 해결사로서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특히 복지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반이 마을회관과 저소득층 가구 밀집지역을 매주 1~2회 방문해 복지 민원을 해결하는 발로 뛰는 민원서비스로 주목받는 것. 실생활에서 부딪히는 각종 민원사항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센터의 해결력은 각종 생활불편에서 장례서비스 등 생활 곳곳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이 센터장과 직원들로 구성된 민원해결전담반의 노고가 숨어 있다. 이들은 그동안 8개 마을 경로당과 마을회관 등을 돌며 저소득층 20여 가구에 생계비를 지원하고 구호품을 전달했다. 이 센터장은 모든 시민이 복지혜택을 골고루 누릴 수 있는 지역사회 복지정책의 롤모델을 만들어 가겠다며 제도와 행정 정보 부족으로 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는 저소득층 가구를 발굴하는데 센터가 전진기지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