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중앙통 상인회, 롯데프리미엄아울렛에 공생방안 제의

이천 중앙통 상인회가 대형 유통업체와의 상생 차원에서 오는 12월 개장 예정인 이천패션물류단지내에 별도의 상인회 단지 조성을 요구, 귀추가 주목된다. 하지만 3.3㎡ 부지조성 및 건축비 700여만 원에 달하는 막대한 재원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인ㆍ허가 등 관련 절차가 중첩돼 현실적 한계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15일 이천시와 김학원 이천시의회 의원 등에 따르면 이천시 마장면 표교리와 호법면 단천리 일원에 오는 12월 개장을 목표로 이천패션물류단지 내 롯데프리미엄아울렛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천 중앙통 상인회는 패션물류단지 계획 초기부터 상권 붕괴를 우려하며 아울렛 사업 추진을 강하게 반대하고 나서는 등 논란을 빚어 왔다. 특히 인허가 당시, 중앙통 상권과의 중복 브랜드 입점을 차단하는 내용의 이행확약서까지 시측에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거센 반발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상인회는 최근 중복브랜드 차단보다는 아울렛과 중복되는 브랜드의 경우 아울렛에 입점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별도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는 상인들을 위해 아울렛 단지 내 부지를 조성, 분양해 줄 것을 주장하고 있는 상태다. 김학원 의원은 상인들은 100% 이행할지도 모를 이행확약서만을 믿고 있기에는 불안한 마음이다라며 중복 브랜드를 운영하는 중앙통의 점주들은 해당 브랜드로 아울렛에 입점ㆍ영업을 할 수 있게 해 주고, 별도 브랜드 상인들은 아울렛 단지내에 조성된 매장에서 영업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중복 브랜드 입점의 경우 현재 논의중인 상태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면서도 별도의 매장단지 조성은 막대한 재원조달과 인허가 상의 문제 등이 겹쳐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한편 여주 아울렛단지는 110여개의 375st 매장과 140여개의 신세계첼시 매장이 함께 하는 대형유통업체와 중소상인들과의 상생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이천 복하ㆍ청미川 28km 생태하천 조성 ‘가속도’

이천을 가로지르는 복하천과 청미천 중심의 생태하천 조성사업이 속도를 더하고 있다. 14일 이천시에 따르면 이천지역에는 복하천과 청미천 등 주요 하천을 비롯 신둔천과 장암천 등 남한강의 주요 상류 하천들이 형성돼 생태공원 등 이천지역 젓줄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복하천과 청미천은 정부의 국가하천정비 종합계획에 따라 하천환경정비 선도 사업으로 선정돼 지난 3월부터 공사가 한창이다. 복하천은 호법면 유산리를 시점으로 여주군 흥천면까지 이어지는 약 20㎞ 구간에 걸쳐 2016년까지 총 531억원의 국비가 투입돼 홍수 예방시설 조성 등 하천환경 개선 사업이 전개된다. 복하천은 현재 콘크리트 호안을 자연석, 목재 등 자연형 재료로 교체중이며 수변 중심으로 유채꽃 단지와 녹지 공간, 산책로, 징검다리, 축구장, 야구장, 습지와 여울, 다목적 수변공간 등이 들어선다. 특히 호법면에서 여주 남한강까지는 자전거도로를 연결시켜 복하천을 시민들의 여가와 휴식공간은 물론 건강증진 공간과 생태학습장으로 활용시킨다는 계획이다. 또, 청미천의 경우 오남지구와 노탑지구 등 2개지구 8km 구간에 279억원을 들여 공사가 진행되고 오는 2017년 준공 예정이다. 청미천에는 다목적운동장, 자전거도로, 산책로, 징검다리와 여울 등 시민의 친수 공간과 함께 15만4천㎡ 규모의 생태습지 체험공간이 들어선다. 조병돈 시장은 생태하천 조성이 끝나면 복하천 등 주요 하천은 서울의 한강 둔치처럼 시민들의 각종 레저공간으로 개방하게 될 것이라며 공사가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총 공사비 103억원을 들여 지난 2011년에 착공된 신둔천 생태환경 조성사업이 지난 5일 완료돼 일반에 공개됐고 양화천 생태하천 조성사업(5.5㎞, 127억원 투입)도 올해 말까지 완료, 시민의 휴식공간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국내 여성 5명중 4명 견과류 챙겨 먹고 있다

국내 여성 5명중 4명이 견과류를 챙겨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견과류 전문 브랜드 닥터넛츠가 조사 전문기관인 오픈서베이에 의뢰, 27~60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이같이 나타났다. 총 1천300명의 소비자가 응답한 가운데 견과류를 챙겨먹는지 여부에 대한 문항에서 네 78.5%, 아니오 21.5%로 나타났다. 5명 중 4명 꼴로 견과류를 챙겨 먹고 있는 셈이다. 또 이들은 구매하는 견과류 제품의 형태를 묻는 항목에서는 밀봉된 대용량 제품이 50.0%로 가장 높게 나왔고 일일 견과 등 소포장 제품이 37.2%로 그 뒤를 이었다. 견과류 제품 구매 시 완전히 섭취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을 묻는 항목에서는 한달 이내가 6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 일주일 이내 19.4%, 2주일 이내 15.0%, 2~3일 이내 3.8% 순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평균 견과류 제품 섭취 기간은 약 22일로 견과류 제품을 한번 구매하면 전부 섭취하는 데까지 3주 이상 걸린 것으로 분석됐다고 조사기관은 밝혔다. 이밖에 보관 방법으로는 비닐 팩, 플라스틱 용기 등에 담아서 냉장 보관 45.5%, 비닐 팩, 플라스틱 용기 등에 담아서 상온 보관 39.2% 로 두 방식이 많았고, 나머지는 한번에 먹을 양 만큼씩 재포장 냉장 보관 5.4%, 공기 중에 노출한 채 상온 보관 4.8% 등의 순이다. 닥터넛츠 관계자는 국내에서 견과류의 규칙적인 섭취가 대중화 되고 특히 안전하고 신선한 견과류를 위해 소비자들은 대용량 제품보다는 소포장 견과류 제품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닥터넛츠는 견과저널의 발행사로 인테이크푸즈㈜의 대표 브랜드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