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시흥시의회 도시환경위 김영군 위원장 “시흥~서울 민자道 소래산 관통 저지”

최근 시흥서울간 민자도로 개설 구간이 당초 소래산을 돌아 가도록 설계됐다가 돌연 관통하는 쪽으로 설계변경이 추진되는데 이는 시민 입장에서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의회 차원에서 적극 저지할 것입니다 제6대 시흥시의회 후반기 도시환경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된 김영군 의원(54ㆍ정왕2ㆍ3ㆍ4동)은 임기동안 도시환경위원회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의정방향으로 생태도시를 토대로 한 정주형 도시개발 추진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를 위해 39호선의 조기 완공과 정왕동 4대 하천의 부실시공에 대한 원인파악과 재시공을 추진하고, 오이도에 소재한 수자원공사 소유의 3만3천㎡의 체육시설 매입과, 소래산 관통 저지 등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그는 특히 신천권 군자권 연성권의 균형개발을 통해 시민들의 정주 의식을 높이고, 수도권 관광지인 오이도와 월곶동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관광 인프라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아울러 39호선 도로확장공사가 10년 가까이 지연되고 있어 그동안 투입된 2천여억원의 공사비를 낭비하는 사태를 초래하고 있기 때문에 완공이 시급한 실정이라며 수자원공사가 시공한 정왕동 4개 하천에는 오수가 빗물과 혼합돼 시화호로 흘러들어가고 있어 예산만 낭비했다며 전면 재시공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오이도 지역 수자원공사 소유의 3만3천㎡ 체육시설 부지 매입을 추진, 일반에 개방하고, 시흥시의 최고봉으로 불리는 소래산을 관통하는 민자도로는 생태환경을 크게 훼손하는 것으로 시민들과 함께 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흥=이성남기자 sunlee@kyeonggi.com

시흥시 중앙도서관, 도서관 모바일 앱 서비스 7월 1일부터 실시

시흥시 중앙도서관(관장 성기양)은 스마트폰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도서관 모바일 앱 서비스를 7월 1일부터 실시한다. 도서관 모바일 앱 서비스의 주요 기능은 모바일 컬러코드 회원증을 포함해 시흥시 관내 도서관 안내, 도서관 이용 방법, 도서관 소식 및 시정 소식, 희망 도서 및 상호 대차 신청, 오디오북 등이다. 이 기능으로 직접 도서관에 전화하거나 방문하지 않아도 소장 자료를 검색하고, 대출 가능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희망 도서 도착과 반납일 알림, 현재 대출중인 도서 연장도 가능해 도서 연체도 막을 수 있다. 특히 모바일 컬러코드(Color Code) 회원증은 국내에서 개발한 순수 기술로 공공 도서관에서 최초로 도입해 실시하는 서비스다. 시흥시 브랜드 디자인을 적용해 시 홍보 효과뿐만 아니라 회원 개인별로 고유의 컬러코드를 부여해 시각적으로도 이용자에게 친근함을 주는 장점이 있어 시민의 큰 호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앱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회원으로 가입해야 하며, 안드로이드폰은 플레이 스토어에서, 아이폰은 앱 스토어에서 시흥시도서관(http://m.shcitylib.or.kr)을 검색해 설치하면 된다. 시흥=이성남기자 sunlee@kyeonggi.com

시흥시의회 김복연 부의장 “음식물쓰레기 ‘제로화’ 추진… 클린 시흥 만들 것”

시흥시의회 김복연 부의장(새누리당비례대표)이 음식물쓰레기 제로화 사업 추진을 시흥시에 제안하는 등 환경 지킴이로 활약하고 있다. 김 부의장은 지난 4월 여성단체협의회음식업협회 등과 공동으로 발대식을 하고 시청 구내식당을 시작으로 각 단체와 함께 음식물쓰레기 감량에 앞장서고 있다. 시청 구내식당은 사업시작 2개월 만에 무려 85%나 감량하는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매주 수요일은 수다 날(수요일은 다 먹는 날)로 정하고 잔반통까지 없앴다. 수요일에는 그야말로 남은 밥이 한 조각도 없을 정도다. 이 같은 성과에 따라 지역 내 단체들도 줄줄이 김 부의장의 뜻에 동참하고 있다. 순복음 천향교회, 시화병원, 시흥교육지원청, 예심교회, 군서중앙교회, 정왕사회복지관 등 7개 단체가 현재 음식물쓰레기 제로화사업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으며, 시흥경찰서, 기독교연합회, 토담골 등 10여 개 단체와 음식점이 동참할 예정이다. 음식물쓰레기 제로화 사업 추진을 시흥시에 제안한 김 의원은 식당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양을 줄여 나감으로써 사회적 문제가 되는 음식물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의 후손들에게 깨끗한 환경을 물려주기 위한 클린ㆍ그린 시흥을 만드는 데 이바지하기 위해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김 부의장은 그동안 시흥시 교육경비보조 개정조례, 시의회 의결사항 조례, 시흥시 의로운 시민 예우에 관한 조례, 시흥시 자살예방 조례 등을 대표 발의하는 등 적극적인 의정 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다. 시흥=이성남기자 sunlee@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