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원가는길 2014’ 다음달 12일부터 열려

포천시(시장 서장원)는 수목원가는길 2014가 다음달 12일부터 27일까지 국립수목원 인근 마을인 고모리, 직동리, 이곡리, 무림리 일원에서 펼쳐진다고 18일 밝혔다. 올해 4회째 맞이하는 수목원가는길 행사는 수도권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마을을 만들어 보고자 지역의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작가들의 작업실을 공개하는 오픈 스튜디오, 전시 및 다양한 전문 예술인들의 공연이 펼쳐진다. 전시부문은 이상윤 작가를 비롯한 7명의 작가가 참여하는 오픈 스튜디오, 모산갤러리 내에서의 지역작가들의 미술작품 전시, 고모저수지 둘레길에서 펼쳐지는 포천문인들의 시화전 및 포천미술인들의 깃발전이 펼쳐진다. 공연부문은 주로 작가들의 스튜디오에서 미술과 음악의 만남, 미술과 인문학과의 만남 등의 융합 예술이 이뤄질 예정이며, 숲속을 이용한 여러 작가들의 설치미술과 함께 하는 가족 오페라 헨젤과 그레텔을 다음달 19일과 20일 공연한다. 빈어스, 옛뜰애, 물꼬방 등 지역의 카페와 음식점에서도 다양한 공연행사가 이뤄지고 둘째 날인 다음달 13일에는 이곡리에 소재한 요양시설인 아름다운 집에서는 김영순 교수와 제자들이 직접 만든 전통주 시음회도 마련한다. 특히 올해는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애향심을 북돋아주기 위해 숲속 동요제가 실시된다. 이 동요제는 다음달 21일 오후 3시 포천시청 대강당에서 예선을 실시하고 폐막일인 27일 오후 2시에 고모저수지 수변무대에서 결선행사를 가질 예정이다. 숲속 동요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포천소년소녀합창단 카페 (http://cafe.daum.net/pocheonchoir)에 들어가면 살펴볼 수 있다. 포천=안재권기자

포천일자리센터, 섬유편직 조작원과정 교육생 모집

포천시(시장 서장원)는 2014년도 하반기 지역맞춤형 일자리사업으로 청년층 대상 섬유편직조작원과정 교육생을 모집한다고 18일 밝혔다. 고용노동부로부터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사업으로 선정된 섬유편직조작원과정은 대진대 평생교육원, 경기북부환편공업협동조합 및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와 포천시가 협업해 청년층을 대상으로 편직이론 및 편직기 조작작동 등 현장맞춤형 전문기술교육으로 구성했다. 시는 우수한 졸업예정자인 고등학교 3학년생이 많이 참여토록해 2015학년도 대진대 평생교육원 특별전형 계약학과(섬유콘텐츠학과)신입생 모집과 연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계약학과(섬유패션콘텐츠학과)는 입학과 동시에 취업이 보장됨으로 일과 학업 병행이 가능하며 등록금 70%의 장학금 혜택 및 졸업후 4년제 공학사학위를 취득하게 된다. 한편, 50세~65세 이하 중장년층 대상으로는 잔디식물관리과정을 운영해 교육 수료후 관내 골프장 및 조경관련 업체로 취업 연계할 계획이다. 신청기한은 다음달 18일까지이며, 포천일자리센터나 거주지 읍면동사무소에서 신청 가능하다.(문의사항 ☎ 538-2292) 지역경제과 일자리센터팀 ☏ 031-538-2276

포천시, 친환경 퇴비생산 기술 노원구에 전수

포천시(시장 서장원)는 지난 2월부터 도심속에서 버려지고 처리하기가 곤란한 낙엽을 도시내에서 고품질 낙엽 퇴비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노원구에 전수했다고 14일 밝혔다. 낙엽을 퇴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부숙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지만 포천시에서는 고품질액비와 미생물 교반을 실시하면 6개월 이내에 퇴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발효기간 단축이 가능하다. 낙엽퇴비는 나무향기가 나는 친환경 부숙 퇴비이며, 부숙 발효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지 않아 도심속에서 퇴비를 만들 수 있고 도시주변공터 및 아파트주변공터 아파트 베란다 등 도시농업에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다. 낙엽이 퇴비화 되는 과정은 노원구청 목재펠릿 보관장소에서 확인 할 수 있으며, 부숙된 퇴비의 중금속 오염도 측정결과 작물생육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 관계자는 도심속에서 처리가 곤란한 낙엽을 친환경 고품질 퇴비로 활용할 수 있는 이번 기술을 관심이 있는 지자체에 전수하고, 낙엽퇴비로 생산한 친환경농산물을 도시 지자체에 판매할 수 있도록 하여 도시와 농촌이 상생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축산과 내수면환경팀 ☏ 031-538-3891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