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가족제도의 핵가족화, 고도의 산업화·도시화 및 노인부양의식의 약화로 노인들이 점차 가족과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지위와 역할을 상실해가고 있다. 이로 인해 노인들이 경제문제, 건강문제, 심리문제, 여가선용문제, 정신건강문제 등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년기의 많은 시간을 고독감, 소외감 및 박탈감을 느끼면서 보내야 하는 노인들에게 여가선용은 심각한 문제가아닐 수 없다. 따라서 노인들에게 여가를 선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관계를 증진시켜 노인의 여가선용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대표적인 여가시설인 경로당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경로당은 지역사회 노인들에게 친목도모, 취미생활, 오락, 건강과 체육활동, 교육 프로그램, 공동작업, 지역봉사활동 등을 제공하여 노인들이 건전하고 보람 있게 여가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인여가시설이다. 경로당은 2004년 말 현재 전국에 5만68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경기도에는 16개 시·도 중에 가장 많은 7천183개소가 설치되어 있고, 점차적으로 그 수가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노인들의 사회참여와 여가선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로당에서는 여가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시설·설비, 공간 및 프로그램조차도 갖추고 있지 못하고 정부 지원금의 부족, 지역사회 자원활용의 결여, 운영책임자의 적극성 부족 등으로 인해 노인들의 여가선용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기도의 경우에도 여가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못해 화투, 장기, 바둑, TV시청, 라디오 청취, 지역봉사활동 등과 같이 단순한 것들만 실시하는 경로당이 많으며, 일부의 경로당만이 취미교실, 야유회, 건강체조, 게이트볼, 물리치료, 한글교실, 공동작업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경로당의 시설이 낙후되어 있고 경로당의 이용률이 낮고 운영책임자의 리더십이 부족하며, 정부보조금 지원이 적어 지역사회와의 유대관계가 원활하지 못한 실정이다. 경로당이 지역사회의 대표적인 노인여가복지시설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경로당의 기능을 새롭게 정립함은 물론 차별화된 혁신적인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우선 노후화된 시설을 개·보수하고 필요한 설비와 공간을 확충해야 하며, 여가선용과 사회참여에 크게 기여하는 프로그램을 지역특성에 맞게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 또한 경로당이 지역사회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통해 필요한 지원을 받도록 해야 하며, 정부지원을 확대하여 효과적인 운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경로당 기능의 재정립과 더불어 경로당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 현재 노인복지회관과 사회복지관에서 추진하고 있는 경로당활성화사업을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 경로당활성화사업의 추진주체를 다양화하여 사업을 확대·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용노인의 욕구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경로당 운영책임자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을 실시함은 물론 사업에 적합한 사회복지사와 프로그램 강사를 양성하여 활용하고 그에 필요한 충분한 재원을 정부에서 지원하는 것도 필요하다. 경로당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그 외에도 경로당의 명칭을 ‘노인여가복지센터’(가칭)로 변경하여 경로당의 위상을 제고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설로 발전시켜야 하며, 경로당 10개 정도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경로당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사회복지사로 하여금 전문적인 지도와 서비스 제공을 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지역적 특성에 적합하면서도 앞으로 경로당의 혁신적인 발전방향과 관련된 새로운 기본 매뉴얼의 개발을 통한 경로당의 모범적인 모델을 제시하고 실천하도록 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이 근 홍 협성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오피니언
경기일보
2005-10-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