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기지 금곡리 한복판 이전 결사반대”

남양주시 진접지역 주민들의 숙원사업인 진접선(4호선 연장) 건설이 확정된 가운데 창동 차량기지 이전 지역으로 진접읍 금곡리가 발표되자 지역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기지창 결사반대 대책위원회(위원장 이영훈)와 금곡리 노인회번영회부녀회 등을 비롯한 진접읍 시민 60여명은 지난 14일 오후 진접읍 M타워 사거리 광장에서 창동 기지창 금곡리 이전 반대 집회를 열고 국토교통부와 남양주시를 규탄했다. 이 자리에서 이들은 오랜 숙원사업인 진접선 건설이 확정돼 금곡리 주민들도 도시에서나 볼 수 있는 편의적 문명의 혜택을 가질 것이라는 희망이 있었다면서 그러나 환경영향평가서가 발표되고 창동 차량기지가 금곡리 한 가운데로 이전된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주민들은 큰 시름에 빠져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들은 차량기지 이전 문제가 4호선 연장 계획의 핵심사항인 것은 알지만 예정 부지가 왜 뒤늦게 알려졌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공청회에서도 차량기지 문제를 언급한 적이 없었고 주민의견 수렴은 하지도 않았으며, 전철역 노선만 거론하며 축제 분위기만 연출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줘야 할 정부 당국자들과 남양주시가 오히려 시민들을 기만하고, 생명과 재산을 부지불식간에 강탈하려 한다고 비난하며 진접선의 핵심 문제인 차량기지 문제를 그동안 왜 숨겼는지 당장 입장을 밝히라고 촉구했다. 이영훈 기지창 결사반대 대책위원회 위원장(70)은 차량기지는 용산, 창동 등에서 알 수 있듯 주변에 고압선이 즐비하고 소음 진동과 전자파 등으로 생활에 곤란을 겪는 등 주변환경을 피폐하고 황량하게 만드는 흉물이라며 국토부와 남양주시는 대체 부지를 마련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진접선은 현재 기본계획수립 초기단계로 아직 결정 단계가 아니며 부동산 투기를 조장할 가능성이 있어 기지창 이전에 대해 비공개로 진행해 왔다며 진접읍 모든 주민들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찾기 위해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남양주=하지은기자 zee@kyeonggi.com

남양주시, 빛공해 방지 LED 조명기구 시범사업 완료

남양주시는 환경부의 빛공해 방지를 위한 조명기구 설치관리 기준개발 및 적용연구를 위해 금곡동, 지금동, 진건읍 일대에 시범사업을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우선 침입광에 의한 수면장해가 우려되는 주택 밀집지역인 금곡동 일원에 맞춤형으로 개발된 LED보안등 50개를 설치, 전반적인 침입광의 감소 및 조명환경을 크게 개선했다. 또 상향광이 우려되는 삼패한강시민공원에 LED 공원등 50개를 교체해 공원주변 산란광이 크게 줄었고, 부수적으로 LED 빛의 특성에 의한 가로등 주변에도 벌레들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어 야간 이용자들의 쾌적한 환경을 만들었다. 이밖에 진건읍 사능리 도로변 가로등에 침입광 방지를 위해 차광판 50개를 설치, 인근주택 및 침입광에 의한 비닐하우스 농작물 피해요인을 제거했다. 시 관계자는 전력수급 차질로 에너지절약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는 시점에서 나트륨(150W)를 LED(60W)로 대체해 연간 3만7천595㎾, 공공요금 500만 원을 절감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에 따라 신규 설치되는 보안등 및 가로등에 대해 철저한 검토로 빛공해가 최소화되는 적합한 등기구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남양주=하지은기자 zee@kyeonggi.com <사진설명>남양주시가 침입광과 상향광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금곡동과 지금동, 진건읍 일대 LED 보안등ㆍ공원등을 설치해 쾌적한 환경을 조성했다./남양주시 제공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