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22일 오후 3시 30분을 기해 충청·호남·영남지역의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상향 발령했다. 서울·인천·경기·강원지역 위기경보도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됐다. 전날 경남 산청에서 발생한 산불이 아직 진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날 전국에서 16건의 산불이 추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산불 위기경보 심각 단계가 발령된 지역에서는 소속 공무원의 4분의 1 이상과 공익근무요원 2분의 1 이상을 배치·대기시키는 한편 군부대 사격훈련이 자제되며, 입산통제구역 입산허가도 중지된다.경계 지역에서는 소속 공무원 6분의 1 이상과 공익근무요원 3분의 1 이상이 배치·대기해야 한다. 이용권 산림재난통제관은 "고온 건조한 날씨에 전국적으로 산불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강한 바람으로 대형산불로의 확산 위험이 높은 상황"이라며 "산림청은 지방자치단체, 소방, 군부대, 경찰, 기상청 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하고 가용한 자원을 총동원해 산림을 보호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22일 오전 11시 24분께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야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산림 당국은 화재 발생 직후 산불 1단계와 2단계를 차례로 발령한 데 이어, 불길이 확산됨에 따라 오후 2시 10분께 최고 단계인 3단계로 대응 수위를 높였다. 산불 3단계는 예상 피해 면적이 100ha에서 3천ha 미만이며, 초속 11m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불고 진화에 24시간에서 48시간 미만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될 때 내려진다. 현재 진화 작업에는 헬기 27대, 차량 36대, 그리고 375명의 인력이 투입된 상황이다. 의성군은 산불 확산에 따라 인근 안평면 괴산리 주민과 등산객에게 안평면사무소로 긴급히 대피하라는 안전 안내 문자를 발송했다. 군 관계자는 "현재까지 주민 12명이 대피했으며, 추가적인 대피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림청에 따르면 현재 불길의 30%가 진화된 상태이며, 현장에는 초속 4.9m의 바람이 불고 있다.
22일 오전 10시50분께 인천 계양구 노오지동 도로에서 50대 A씨가 몰던 덤프트럭이 옆으로 넘어졌다. 이 사고로 A씨가 다리 통증을 호소해 119 구급대에 의해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다. 또 덤프트럭에 실었던 돌과 흙 등 골재가 길가에 쏟아져 경찰이 왕복 4차로 가운데 3개차로 통행을 차단, 운전자들이 불편을 겪었다. 경찰은 A씨 등을 상대로 구체적인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경찰 관계자는 “현장 처리를 마치고 덤프트럭이 넘어진 원인 등을 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2일 낮 12시 12분께 울산 울주군 온산읍 운화리 야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산불 발생으로 화재 현장과 인접한 부산울산고속도로 온양나들목 인근 양방향 도로 통행이 통제되고 있다. 부산시는 안전 안내 문자를 통해 "산불로 부울고속도로 온양~장안IC 인근 양방향 교통이 통제중"이라며 "교통정보를 확인하고 우회도로를 이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산림당국은 현재 헬기와 인력 등을 동원해 진화작업을 진행 중이다.
22일 오후 12시30분께 화성시 정남면 한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오후 12시45분 대응 1단계를 발령한 데 이어 오후 1시14분 대응단계를 2단계로 격상했다. 현재까지 이 불로 확인된 인명피해는 없다. 소방당국은 불을 끄는 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 등에 대해 조사할 예정이다.
22일 오전 11시8분께 하남시 항동의 한 창고 건물에서 불이 났다. 소방당국은 대응 1단계(3∼7개 소방서에서 31∼50대 장비를 동원하는 경보령)를 발령하고 진화에 나섰다. 현재까지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소방당국은 불을 완전히 끄는 대로 자세한 화재 경위를 조사할 예정이다.
인천 중구 한 사료 보관 창고에서 폭발 사고가 나 작업자 1명이 다쳤다. 22일 인천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21일 오후 2시9분께 중구 신흥동 한 창고에서 용접 작업 중 폭발 사고가 났다. 이 폭발로 창고에 있던 작업자 50대 A씨가 갈비뼈 등을 크게 다쳐 119 구급대에 의해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다. 소방 당국은 소방관 70여 명과 장비 40여 대를 투입해 안전 조치를 했다. 소방 당국은 용접 작업 중 불티가 사료에 옮겨붙어 폭발이 일어난 것으로 보고 구체적인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소방 당국 관계자는 “폭발 이후 큰 불길은 없었으나 탱크에 있던 사료에 연기가 나 안전 조치를 했다”며 “자세한 사고 경위를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이틀째 이어지면서 산림 당국이 총력 진화에 나서고 있다. 22일 오전 9시 기준 진화율은 55%로, 당국은 이날 일몰 전 주불 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21일 발생한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 산불의 영향 구역은 현재 260ha에 달하며, 전체 15.6km의 화선 중 7km의 불길이 남아있는 상태다. 불길이 확산되자 시천면 점동·구동마을 등 7개 마을 주민 213명이 인근 한국선비문화연구원으로 긴급 대피했다. 대피 과정에서 주민 1명이 연기를 흡입해 병원으로 이송되기도 했다. 진화 작업에는 특수진화대, 전문진화대를 비롯해 공무원, 소방, 경찰 등 1,200여 명의 인력과 소방차 등 100여 대의 장비가 투입됐다. 이날 오전 6시 30분께부터는 산림청, 소방청, 경남도, 국방부 등의 헬기 30대가 순차적으로 투입되어 공중 진화 작업을 펼치고 있다. 산림 당국은 이동식 저수조를 활용해 산불 지연제(리타던트)를 주 능선에 집중적으로 살포하며 불길 확산을 막고 있다. 현장의 짙은 연무가 걷히는 대로 헬기 투입 대수를 최대 42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당국의 목표는 이날 안에 주불을 잡는 것이지만, 건조한 대기와 초속 15m에 달하는 강한 바람, 그리고 낮 최고 기온이 24도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기상 상황이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산림 당국 관계자는 "오늘 중 최대한 주불 진화를 완료하기 위해 모든 가용 자원을 동원하고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력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산림 당국은 지난 21일 오후 3시 26분께 산불 발생 직후 3시간여 만인 오후 6시 40분에 대응 3단계를 발령하고 진화 작업을 시작했다. 대응 3단계는 올해 들어 처음 발령된 최고 수준의 경보이다. 당국은 산불 현장 인근에서 예초 작업 중 발생한 불씨가 이번 산불의 원인으로 추정하고 정확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에서 아파트 관리비 수십억 원을 횡령한 뒤 잠적한 40대 경리 직원이 경찰에 붙잡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광주 광산경찰서는 22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업무상 횡령 혐의로 아파트 경리 직원 B씨(48)를 전날 경기도 부천의 한 거리에서 검거했다고 밝혔다. B씨는 광주 광산구에 있는 1천500세대 규모의 A아파트에서 2016년부터 최근까지 관리비와 장기수선충당금 등 7억여원을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25년간 혼자 경리 업무를 맡아온 B씨는 잔액증명서와 회계서류 등을 위조해 관리사무소와 주민들의 감시를 피해온 것으로 자체 조사 결과 드러났다. 아파트 측은 B씨가 지난 5일 갑자기 출근하지 않고 연락이 두절되자 즉각 자체 조사를 벌여 횡령 정황을 발견하고 경찰에 고소했다. 처음 확인된 횡령액은 7억여 원 수준이었으나, 이후 추가 조사 과정에서 실제 피해 금액이 최대 3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경찰에 추가 증거를 제출할 예정이다. 경찰은 B씨를 상대로 정확한 횡령 규모와 빼돌린 자금의 사용처, 숨겨진 재산 여부 등을 조사해 피해 회복에 나서는 한편, 사안의 심각성을 감안해 구속영장을 신청할 방침이다.
22일 오전 1시 18분께 경기도 부천 원미구 도로에서 70대 운전기사 A씨가 몰던 시내버스가 앞서가던 승용차를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A씨와 버스 승객 등 5명이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졌으며 신호등도 파손됐다. 당시 버스에는 승객 15명이 타고 있던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 관계자는 "부상자 모두 크게 다치지는 않았다"며 "조만간 A씨 등을 불러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구체적인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