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사회서비스원이 인천 취약 청년들의 ‘미래’를 찾는다. 5일 인천사서원에 따르면 ‘인천시 청년미래센터 운영 및 성과관리체계 구축 연구’를 시작한다. 청년미래센터는 보건복지부 시범사업으로, 지난해 8월 문을 열었다. 인천과 울산, 충북, 전북 등 전국 4곳에 들어서 있다. 인천 청년미래센터는 인천사서원이 수탁 운영하고 있으며, 가족돌봄청년과 고립은둔청년 등 청년 취약계층을 지원한다. 올해 말까지 시범운영하고 오는 2026년 본 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는 센터에 적합한 운영 모델과 성과관리 체계를 마련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연구 기간은 오는 9월까지 9개월이다. 인천사서원은 취약 청년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고, 정부 정책 방향, 인천시 취약 청년 현황을 살핀다. 연구를 맡은 신상준 인천사서원 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지난해 전국 센터 모두 하반기 개소와 함께 청년 모집 및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적합한 운영 모델과 성과관리 체계가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가족돌봄청년’을 ‘신체적 어려움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가구원과 같은 주소지에 살며, 가족돌봄을 전담하는 13~34세 청년, 청소년’으로 정의하고 있다.
인천사회
이병기 기자
2025-02-05 1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