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불역 정차역으로 전환하라” 양평군, 내달까지 주민 10만명 서명운동 돌입

한국철도공사가 중앙선 덕소~남원주 복선전철구간 내 석불역을 무정차역으로 결정해 양평군과 군의회, 주민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본보 10일자 11면) 양평군이 정차역 전환을 촉구하는 주민 10만명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양평군은 다음달까지 석불역 정차를 촉구하는 주민 10만명 서명운동에 들어간다고 17일 밝혔다. 군은 한국철도공사 측은 석불역 정차역 추진이 경제적 타당성이 낮다는 이유로 어렵다고 밝혀왔으나, 이는 현실을 외면한 탁상공론이라며 석불역 일대는 국도가 연결되지 않은데다, 대중교통 운행도 원활하지 않아 주민들이 교통 불편을 겪고 있어 단순한 경제논리로는 납득할 수 없는만큼 정차역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군은 이어 지난해 9월 (양평군과) 지역 국회의원, 국토해양부, 한국철도시설공단 간에 지방비 부담을 조건으로 석불역 정차역 추진을 약속했고 군도 올해 10억8천만원의 예산까지 편성했다며 약속을 번복한 처사도 납득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군은 19일 두물머리 물래길 걷기대회와 오는 26일 월드DJ페스티벌 등 대규모 행사를 비롯해 양평과 양서, 용문과 지평면 등지에서 열리는 장날에 여성단체협의회를 비롯한 각급 사회단체들이 직접 참여하는 범군민 서명운동을 추진할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시민들의 염원이 반영될 수 있도록 민관이 공조해 서명운동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번 서명운동을 통해 석불역 정차역 추진은 물론, 중앙선 용문~양동간 수도권전철 연장운행 및 수서~용문간 철도 조기건설 등도 요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양평=허행윤기자 heohy@kyeonggi.com

양평소방서, '숲 치유 체험프로그램' 화제

화재를 진압하느라 쌓인 스트레스를 맑은 산소를 호흡하면서 말끔하게 해소할 수 있어 좋습니다 양평소방서가 전국 소방관서 가운데 처음으로 소방공무원들의 직무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극복을 위해 양평군 소재 자연휴양림인 산음 치유의 숲센터에서 숲 치유(Forest Therapy)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산음 치유의 숲 센터는 산소 배출량이 풍부한 소나무 등 침엽수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어 숲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최적의 공간으로 평가받는 곳으로, 이 같은 환경 속에서 진행되는 숲 치유 프로그램은 산림의 다양한 환경요소를 활용해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심신을 건강하게 만들어 준다. 숲 치유는 김선묵 숲 치유사(Forest Therapist)가 지도하고 있으며 숲에서 맨발로 걷고 오감 자극을 통해 감정의 열기를 오카리나 연주에 따라 치유받는다. 소방서 측은 숲 치유센터에 의뢰해 PTSD 자가진단 결과 위험군으로 판단된 소방공무원과 참여 희망 소방공무원 등 20여명을 대상으로 지난 16~17일, 17~18일 2차례에 걸쳐 숲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프로그램에는 양평소방서 동료상담지도사(Peer Counselor)인 손종관김한성 소방관도 함께 참여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조순철 소방관은 자연 속에서 느끼는 맑은 공기와, 자연의 소리, 푸른 향기 등이 마음의 평안과 머리를 맑게 해 주는 것 같다며 오늘의 경험이 마음의 안정을 가져와 현장 활동에서의 안전 및 소방조직 운영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양평=허행윤기자 heohy@kyeonggi.com

양평 산나물 한우축제 27만4천여명에 판매액 9억4천만원, 경제효과 55억원 등 성황

지난 13일일 막을 내린 제4회 양평 산나물 한우축제 1부 행사에 지난해의 2배가 넘는 총 27만4천여명의 관광객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양평군은 지난 10일부터 4일간 용문면 용문산관광지와 용문역 일대에서 펼쳐진 제4회 양평 산나물 한우축제 1부 행사 방문자수가 총 27만4천여명으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축제 방문객 13만여명의 2배가 넘는 수치로, 용문산관광지에 18만7천여명이, 용문역 행사장에 8만7천여명이 방문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산나물과 양평 한우 등 각종 농축산물 판매액은 9억4천만여원을 기록했으며, 경제 유발효과도 5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당신의 건강 산나물로 처방하세요란 슬로건으로 열린 이번 축제에는 36개국 주한외교사절단이 참석, 산나물을 직접 수확하고 한국 음식들을 체험하는 등 이색적인 시간을 가져 눈길을 끌었다. 개막식에 참여한 루이 아리아스 로베로 주한 스페인 대사는 쌉싸름한 산나물의 향기는 말로 표현하지 못할만큼 큰 감동으로 오래 동안 기억될 것 같다고 말했다. 올해 처음으로 선을 보인 산나물 홍보관과 명품 양평 한우 홍보관 등도 관광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산나물 홍보관에선 국내에서 자생하는 산나물 81종과 산삼이 전시됐고, 친환경농업과가 마련한 한우홍보관을 통해선 양평 한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었다. 선재스님과 산당 임지호 선생이 산나물요리 시연에도 많은 인파가 몰려 산나물의 인기를 실감케 했고, 한의사 김소연 박사의 한방 진맥 및 처방과 가수 김태곤의 자연건강음악 토크 콘서트 등도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 잡았다. 김선교 군수는 산나물과 한우라는 테마를 접목한 체험과 시식, 전시행사가 관광객을 끄는데 주효했다며 무엇보다 주민들이 주인을 갖고 합심한 덕분에 최고의 축제를 만들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2부 행사인 월드DJ페스티벌은 오는 26~28일 양평나루께축제공원에서 열린다. 양평=허행윤기자 heohy@kyeonggi.com

양평, 대한민국 중심에서‘자연’을 걷는다

양평, 대한민국 중심에서자연을 걷는다 - 19일두물머리 물래길 걷기행사개최 - 한시의 적막함을 이기지 못해 휴대폰을 만지작거리는 스마트한 세상속이라지만 이곳, 양평에서는 복장이 터져도 좋을 느림보 심보를 가져보자. 900리 남한강의 끝자락과 북한강의 끝자락이 만나 조성된 양서면 양수리 두물머리가 강변을 따라 조성된 산책로인 물래길로 재탄생되면서 스마트함을 잠시 잊어버린 채 느긋해도 좋을 물래길 걷기행사가 펼쳐진다. 양평군이 주최하고 양평군녹색성장위원회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오는 19일 오전 9시부터 낮12시까지 3시간 가량 양서문화체육공원의 집결로 시작된다. 행사 코스는 양서문화체육공원에서 출발 세미원을 거쳐 배다리, 석창원, 두물머리, 물래길을 돌아 다시 양서문화체육공원으로 돌아오는 4.5km 코스로 마련된다. 또 오전 10시에는 두물머리 물래길 지킴이가 발대식을 갖고 본격적인 지킴이 역할에 나설 계획이다. 행사는 선착순 500명을 대상으로 하며 신청은 16일까지 양평녹색성장위원회의 인터넷 카페(cafe:daum.net/greengrowthyp) 또는 전화(☎ 770-2765)로 신청하면 된다. 1인당 참가비는 5천원으로 주최측에서는 티셔츠와 물, 간식 등을 지급할 예정이다. 한편, 행사 당일 현장에서는 페이스페인팅, 풍선만들기, 사진전시회 등의 이벤트 행사도 열린다. 자료제공 : 양평군청 ☏ 770-2612

양평, 교통재활병원 건립 ‘급물살’

양평군에 교통사고 재활환자 전담 치료기관인 교통재활병원이 오는 2014년 준공 목표로 건립된다. 9일 양평군과 국토해양부 등에 따르면 국토부는 총사업비 1천602억원을 투입, 양평읍 도곡리 621의1 일대 4만2천506㎡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의 교통재활병원 건립을 추진 중이다. 국토부가 총괄하는 교통재활병원은 교통안전공단이 의료장비 구매와 정보시스템 구축 등을 맡고, 카톨릭의과대학 중앙의료원이 교통재활병원의 운영계획 수립 및 인력 배치 등을 담당한다. 주요 시설은 병원 7개 병동(304병상)과 직원기숙사, 체육관, 운동장, 주차장, 녹지공간 등으로, 재활의학과와 내과, 비뇨기과, 신경외과, 영상과학과, 정신과 등이 상설로 운영되고 치과와 안과, 이비인후과, 소아과 등이 비상설로 운영된다. 국토부는 지난해 6월 교통재활병원에 대한 기본설계를 마친 뒤 삼성물산 등이 참여하는 콘소시엄을 구성, 사업자 선정 및 실시설계를 끝낸 상태며, 오는 8월 진입로 개설공사를 마무리되면 9월께부터 본격적인 공사를 시작해 2014년까지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양평군 관계자는 교통재활병원은 도시지역 확대 가능성을 비롯해 환우와 보호자 등 유동인구와 고용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첨단 의료기술 도입에 따른 종합병원 역할을 대신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양평=허행윤기자 heohy@kyeonggi.com

멋진세상 만드는 ‘강 대위의 사랑대작전’

2년째 월급의 10% 기부 소외계층 어린이 후원 이웃사랑 실천? 절대로 어렵지 않습니다. 육군 제20기계화보병사단 질풍부대 강대구 대위(27)가 남몰래 생활이 어려운 이웃들을 돕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강 대위는 지난 2010년 5월부터 2년째 월급의 10%를 소외계층 어린이 4명에게 후원해주고 있다. 그는 현재 국내 어린이 3명에게 각각 5만원, 아프리카 세네갈 어린이 1명에게는 3만원 등을 직접 후원자 자격으로 성금을 지원해주고 있다. 이밖에 아이티 구호성금으로도 2만원을 기부하는 강 대위의 한달 기부금액은 모두 20만원. 그의 선행은 최근 부대측이 늘 푸른 전우의 보금자리운동의 일환으로 시행하고 있는 칭찬합시다 코너를 통해 알려졌다. 강 대위는 고교 시절부터 다운증후군 장애우 시설에서 봉사활동을 펼쳐 왔으며, 육군사관학교 생도 시절에도 지역 장애우시설에서 식사와 목욕지원 등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아름다운 청년이었다. 강 대위는 자대를 배치받아 근무하던 중 소대원으로부터 선물로 받은 한비야 선생의 그건 사랑이었네라는 책을 본 뒤 어려운 이웃을 돕는 사회단체인 월드비전에 대해 알게 됐고 기부를 통해 밝은 세상 만들기에 동참하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이어 내가 조금 부족하게 생활하더라도 어린이들에게 힘이 된다고 생각하면 뿌듯하다며 후원을 받는 어린이들이 앞으로 어떠한 어려움이 닥치더라도 꿈과 희망을 포기하지 않고 살아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형주 공보장교는 강 대위의 이웃사랑 실천을 계기로 앞으로 더 많은 장병들이 생활이 어려운 이웃들을 도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주변의 어려운 이들을 도움으로써 국민들을 위한 군대로 거듭 나겠다고 말했다. 양평=허행윤기자 heohy@kyeonggi.com

양평 ‘東溪八景’ 갈수록 훼손 … 복원 대책 시급

민간인이 고서(古書)를 토대로 1년 여에 걸친 발굴작업 끝에 찾아낸 동계팔경이 외부의 무관심과 보존대책 미비로 갈수록 훼손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7일 양평군과 양동농협에 따르면 동계팔경은 조선시대 4대 문장가인 택당(澤堂) 이식(李植) 선생(1584~1647)의 저서인 계산기(啓山記)에 기록된 경치 좋은 8곳을 일컬는다. 현재는 349번 국지도 주변에 그 흔적이 남아있으며, 학계에는 아직 정식으로 보고되지 않아 학술적인 보존가치도 높다. 제1경은 조적대(釣寂臺), 제2경은 부연(釜淵), 제3경은 건지산(騫芝山), 제4경은 송석정(松石亭), 제5경은 양계합류처(兩溪合流處), 제6경은 조봉석벽(쏘다지기), 제7경은 승담(僧潭), 제8경은 구암(鳩巖) 등이다. 이 가운데 제1경부터 제5경 양계합류처까지는 양평군 양동면 석곡리, 제6경부터 제8경까지는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판대리 섬강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동계팔경은 이복재 양동농협조합장(61)이 지난 2008~2009년 1년 동안 택당 이식 선생의 계산기를 토대로 발굴작업을 진행한 끝에 알려졌다. 그러나 동계팔경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은 탓에 과거의 모습은 대부분 사라지고 갈수록 훼손되고 있어 보전 및 복원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제3경인 건지산과 제6경인 조봉석벽, 제7경 승담, 제8경 구암 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형체조차 알아볼 수 없는 상태다. 보존상태가 가장 양호한 조봉석벽도 인근에 인삼밭이 조성돼 있는데다 높이 20m에 이르는 낭떨어지 형태의 화강암도 풍화작용으로 갈수록 마모되고 있다. 이복재 조합장은 건지산이나 조봉석벽, 승담, 구암 등은 자연형태여서 보존이 가능하겠지만, 송석정을 제외한 나머지 곳들은 사실상 400여년 전 형태로 복원하기는 어려운 상태라며 송석정은 사유지인 논을 매입하고 석곡천에서 시냇물을 끌어 오면 복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양평군 관계자는 이복재 조합장이 지난 2008~2009년 택당 이식 선생의 저서를 토대로 동계팔경 위치를 확인한 것 이외에는 아직 진전된 사항이 없다며 인근 지자체인 강원도 원주시와 협의, 보전 및 복원대책을 마련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양평=허행윤기자 heohy@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