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축협, TMF사료만 먹인다더니…

광주축협이 일반 사료를 먹여 키운 한우를 광주시 브랜드 자연채한우600 명품 한우로 유통시켜 물의(본보 1일자 1면)를 빚고 있는 가운데 일부 농가에서 사용한 일반 사료는 광주축협이 출자해 생산하고 있는 사료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광주축협은 자신들이 출자해 설립한 회사의 사료를 판매하기 위해 일부 농가가 TMF사료가 아닌 일반사료를 먹여 키우는 것을 알고도 이를 묵인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14일 광주축협 등에 따르면 안산연합사료는 축협 9개 조합(수원, 용인, 광주 등)이 지난 2002년 공동 출자해 설립한 회사로 광주축협은 안산연합사료에 8억원(약10%)의 지분을 소유하고 지역 내 축산 농가를 대상으로 영업을 하고 있다. 현재 자연채한우600 한우 생산농가는 100농가로 이중 28개 농가는 TMF사료가 아닌 일반사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28개 농가 모두 안산연합사료를 먹여 한우를 키우고 있다. 이들 28개 농가에서 키우는 한우는 모두 1천170두로 월 450t~500t의 안산연합사료를 소비하고 있다. 즉, 광주축협은 광주시 브랜드인 자연채한우600에 대한 생산 및 판매를 전담하면서 자신들이 출자한 회사의 사료를 팔기 위해 일부 농가가 규정을 지키지 않고 있는 것을 알면서 일반 한우를 명품 브랜드 한우로 속여 팔아온 것이다. 광주시 경안동에 사는 주민 P씨는 축협을 믿고 조금 비싸도 자연채 한우를 구입했는데 축협이 소비자를 상대로 사기를 친 것이라며 당분간은 축협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신뢰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광주축협 관계자는 안산연합사료에 광주축협이 출자한 것은 맞지만 의도적으로 영업을 하거나 종용한 사실은 없다고 해명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광주시 ‘체납정보’ 원클릭 시스템으로 간편하게

광주시가 체납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는 체납정보 원클릭 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도입 운영한다. 시는 13일 늘어나는 체납액 징수와 성실납세자에게 민원편의 제공을 위해 시청 직원이면 누구나 한 번의 조회로 체납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 체납정보 원클릭 시스템을 이달부터 운영 중이다고 밝혔다. 이번 시스템 도입은 지방세, 세외수입, 환경개선부담금, 주정차 위반 과태료 등 그동안 체납 정보를 공유할 수 없어 부서업무 담당자별로 납부를 독려하던 방법을 개선하고자 도입됐다. 시는 체납자료 연계를 통해 고질 체납자에게 효율적인 징수 독려와 체납 처분으로 체납액 징수에 많은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시는 지방세 관련 제증명 발급과 각종 체납관련 상담업무를 신속히 처리하고 민원불편을 해소해 시민만족 납세행정을 위해 징수과 민원창구를 통합 운영키로 했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고질 체납자 및 납세 기피자에게는 강력한 체납 처분과 행정 제재를 통한 강제징수 방법을 동원하고, 성실 납세자에게는 납세편의 행정을 지속적으로 펼쳐 건전납세 분위기 전파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