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운유초 학생들 “엄마, 스마트폰 중독 걱정마세요”

김포의 한 초등학교 어린이들 사이에 작은 혁신이 일어났다. 초등학생은 물론 중고교생 등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스스로 스마트폰 사용 자제와 실천을 결의하고 나섰다. 31일 오전 운유초등학교(교장 김정덕) 전교 어린이회(회장 손다빈)는 1천105명의 전교생이 참가한 가운데 전교생 다모임 총회를 열고 학생 스스로 제정한 52개조의 운유 학생 자치법에 대한 설명회와 결의대회를 했다. 운유초교 어린이들이 제정한 자치법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스마트폰 규제다. 이날 손다빈 어린이회장을 비롯한 전교생은 스마트폰을 밤 9시에 부모님께 맡기겠다는 약속을 다짐하는 선서를 했다. 어린이회는 이 같은 스마트폰 규제를 마련하기에 앞서 전교생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5~6학년 어린이 중 250명(82%)이 스마트폰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 스마트폰을 지닌 학생 중 게임, 인터넷, 메시지 사용 등으로 방과 후 2시간 이상 사용하는 학생이 46%가 넘었고, 3시간 넘게 사용하는 어린이도 20%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일부 학생은 사이버 폭력과 왕따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도 응답했다. 손다빈 회장은 늦은 밤까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을 자제하고 스마트폰에도 잠자는 시간을 주자고 결의하게 됐다고 밝혔다. 김정덕 교장은 스마트폰을 늦은 밤까지 사용하면서 생기는 부작용을 줄이고 특히 사이버 폭력이나 왕따를 줄여나가겠다는 학생들의 생각을 존중한다며 사이버상에서도 우리 국어를 바르게 쓰는 노력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학부모 대표로 참석한 김재경 운유초교 학부모회장은 운유초 전교학생 총회에서 결의한 내용 중 스마트폰을 밤 9시가 되면 부모님께 맡기겠다는 결의에 엄마들도 동참하겠다며 학생들이 이런 운동을 시작한다니 너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백다솜 어린이(6학년)는 우리 손으로 만든 자치법을 통해 준법정신을 배워 서로 배려하며 함께 놀고 배우는 운유초의 학생문화를 만들고자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최주환 생활인권부장 교사는 학생들이 자치법을 잘 지킬 수 있도록 전교 어린이회가 주관하는 캠페인과 운유 자치법정을 활성화하겠다라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kyeonggi.com

김포시의회 “LH 시간끌기… 장기도서관 건립 먹구름”

김포시가 김포한강신도시에 건립될 장기도서관의 사업비 분담에 대해 LH와 협약체결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나서자 시의회로부터 사업부실 우려의 지적을 받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30일 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시는 장기도서관의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비 4억2천만원을 1회 추경에 반영, 지난 19일 열린 김포시의회 제147회 임시회에 상정했다. 시의회는 지난 26일 주민들의 숙원사업으로써 사업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인정, 설계용역비 4억2천만원을 승인했지만 지난해 9월 LH와의 신도시 활성화 지원 합의서 작성 후 아직까지 구체적 사업비 분담에 대한 협약체결의 후속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LH의 약속 미이행이 우려된다며 조속한 LH와의 협약체결을 촉구했다. 앞서 시와 LH는 지난해 9월 김포한강신도시의 활성화를 지원한다는 명분으로 현안사항의 처리방안을 합의하면서 장기도서관에 대해 시가 국도비를 최대한 지원받아 자체적으로 시행하되 사업비 부족분(시비)에 대해 LH가 지원키로 하고 국도비 40억원을 제외한 시 부담액 79억원에 대해 지난해 말까지 협약을 체결키로 했다. 그러나 79억원을 부담해야 할 LH는 협약체결 시한을 4개월이 지나도록 내부 검토중이라며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LH가 장기도서관 사업비 부담에 대해 이사회 승인 등 내부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6월까지는 LH와 협약체결을 마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장기도서관은 지난 2007년 LH가 한강신도시 대수로 인근 2천993㎡의 부지에 지상 3층, 건축면적 1천747㎡, 연면적 5천25㎡ 규모로 건립해 시에 기부체납키로 했지만 LH가 총체적 자금난에 허덕이면서 7년째 착공을 하지 못하고 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