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동부보건지소, 치매 예방을 위한‘치매안심학교’운영

화성시 동부보건지소에서는 25일부터 11월 11일까지 치매예방을 위한 치매안심학교를 운영한다. 치매안심학교는 인지, 음악, 미술, 작업치료 등 뇌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8주간 주1회 치매 인지저하자와 치매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교육대상자는 지난 3월부터 8월까지 수원여자대학(간호학과)와 함께 실시한 치매선별검사를 통해 20명을 선정했다. 치매는 정신기능의 장애로 환자의 정서적 활동뿐 아니라 식사, 배뇨 등 일상생활의 기초적 기능의 수행도 어렵게 하는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조기에 발견해 치료를 받는 것이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유지하고 사회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다. 임평기 동부보건지소장은 치매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뇌 손상이 경미한 초기 단계에 진단을 받고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 동부보건지소는 치매예방교육, 조기 검진 및 조기 치료, 저소득층 치매환자를 위한 치매치료비 지원, 다양한 인지증진 재활프로그램 지원 등 치매예방 프로그램을 강화해 운영할 계획이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동부보건지소 건강관리팀(031-369-4422)로 문의하면 된다. 화성=강인묵기자

친환경 원재료만 고집… 3無 ‘웰빙한과’

한과의 이미지를 건강 과자로 인식시키고자 분주히 뛰는 한과전도사 강석찬씨(화성한과 대표56). 강 대표는 요즘 신세대 젊은 엄마들의 까다로운 입맛을 공략하고자 열심이다. 요즘 엄마들은 확실한 원산지, 청결한 제조과정, 기업 이미지까지 고려한 그야말로 까칠한 소비자이기 때문. 바로 그 엄마들의 조건을 만족 시킨다면 한과의 판매 가능성은 커질 것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이를 위해 강 대표는 유탕처리, 정제당 사용, 화학첨가물 가미 등 가공식품의 3가지 안 좋은 점을 제일 먼저 개선했다. 기름이 아닌 소금으로 쌀을 튀기는 신기술 개발에 유탕처리를 하지 않고, 천연재료를 쓰는 등 3무(無) 과자에 도전한 것. 현재 소비자와 생산자 간 직거래 시스템을 도입해 소비자의 안전한 먹거리 공급을 선도하는 생활협동조합 한살림과 파트너십을 맺는 강 대표의 화성한과는 떡, 구운 김, 미숫가루 등 친환경 농산물을 원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또 화학 첨가제 무첨가라는 고집을 이어와 소비자들의 웰빙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하지만, 강 대표가 처음부터 승승장구한 것은 아니다. 지난 1985년 연고도 없는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 턱 하니 신혼집을 마련하고 농사를 짓기 시작한 부부는 귀농 1세대. 쌀을 활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을 만드는 2차 산업 종사자다. 그러나 여기서 머물지 않고 친환경 농산물을 건강하게 가공하기 위한 끊임없는 연구와 기술개발, 소비자들의 건강 먹거리에 대한 욕구 파악 등 3차 산업으로까지 능력을 끌어올렸다. 강 대표는 6차 산업 종사자라는 말을 즐겨 쓴다고. 우리나라 산업의 근간인 123차 산업의 곱절인 6차 산업 종사자야말로 친환경 원재료를 활용한 신제품개발 산업에 종사하는 농사꾼들의 올바른 평가라고 주장하는 강 대표. 그는 친환경 식품 생산에만 그치지 않고 농업의 상생과 소비자의 안전한 식탁까지 염두에 둔 토탈 안전 먹거리 시스템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강 대표는 원재료뿐만 아니라 가공을 위해 사용하는 에너지도 일부는 태양광 발전을 통해 얻고 공병 재사용, 사전 주문제 등을 통해 친환경 경영을 추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귀농 1세대 선배로서 친환경가공산업의 선두자로서 역할을 맡아온 강 대표는 젊은 농부들의 길잡이로서 역할을 기대하며 오늘도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화성=강인묵기자

지역발전·예술발전 공헌 화성시 문화상 5명 선정

화성시 문화상 수상자가 선정, 발표됐다. 화성시 문화상은 애향봉사부문 등 지역발전과 문화예술발전에 공헌한 시민에게 화성시가 수여하는 상이다. 화성시문화상심사위원회는 심사를 통해 애향봉사부문 윤동숙(57여남양동), 향토교육부문 호병규(77화산동), 문예진흥부문 유지선(52여반송동), 지역개발부문 엄태원(55정남면), 체육진흥부문 박화준(48봉담읍)씨를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애향봉사부문 수상자 윤동숙씨는 남양동 부녀회장으로 23년 동안 활동하면서 경로잔치, 목욕봉사, 불우이웃돕기 행사 등에 솔선수범했다. 또 각종 봉사활동, 환경캠페인 등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민들에게 본보기가 되고 있다. 향토교육부문 호병규씨는 국제Pen클럽 한국본부 회원으로서 어려운 학생들의 학업지원을 위해 28년 동안 장학금을 지원했다. 문예진흥부문 유지선씨도 ㈔한국문인협회 화성시지부장으로서 찾아가는 문학교실, 바다시인학교, 화성문학지 발간, 백일장 대회 개최 등 지역 예술인들의 적극적인 창작활동을 지원해 문화발전에 이바지한 바가 높게 평가됐다. 지역개발부문 엄태원씨는 정남농협 조합장으로서 유통산업과 지역경제발전에 선도적 역할뿐만 아니라 농민의 실익증진사업종합복지사업 등을 전개해 침체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했다. 마지막으로 체육진흥부문 박화준씨는 화성시복싱협회장 겸 화성시 가맹경기단체 총무로 활동하면서 엘리트 체육 및 생활체육 발전과 시 체육진흥에 이바지한 바가 커 수상자로 선정됐다. 화성=강인묵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