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公, 한강 급수체계공사 사람 잡을판

한국수자원공사가 의왕지역에서 한강 하류권 급수체계구축사업을 하면서 세륜시설과 야간표시등, 공사표지판 등을 갖추지 않은 채 공사를 강행해 인근 주민과 통행인들로부터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14일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권 수도건설사업단과 주민 등에 따르면 수자원공사는 용수부족이 예상되는 화성시를 비롯한 안성ㆍ오산ㆍ평택지역 등에 1일 54만㎥의 공급할 수 있는 2차 한강 하류권 급수체계조정사업 도수시설공사를 의왕시 왕곡동 지역에서 실시하고 있다. 이 사업은 지역간 용수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수도권 광역상수도 여유물량을 활용한 급수체계조정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수자원공사는 지난 13일부터 차량 교행이 불가능한 왕곡동 솔고개길에 인접한 좁은 도로에서 공사를 진행하면서도 야간표시등을 설치하지 않아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이 구간은 가로등도 없어 야간에 도로를 지나는 차량 운전자들이 자칫하면 공사장으로 빠지는 위험에 처할 수 있는 상황이다. 또 가림막과 세륜시설도 갖추지 않은 채 공사를 강행해 공사장에서 토사가 흘러나와 도로에 흙먼지가 날려 공사장을 지나는 주민과 운전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게다가 수자원공사는 공사현장에 공사목적과 기간, 발주처, 시공사, 연락처 등을 알리는 공사표지판도 설치하지 않아 운전자와 주민들이 이 불편을 호소할 수도 없는 실정이다. 운전자 A씨(45)는 야간표시등이 설치돼 있지 않아 공사현장이 도로와 붙어 있어 야간에 공사현장으로 빠질 뻔 했다며 공사현장에 세륜시설도 없어 도로로 토사가 흘러 흙먼지가 바람에 날려 불편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공사시작 전 야간표시등과 세륜시설, 가림막, 공사표지판 등을 설치했어야 하는 게 맞는데 미처 설치하지 못한 채 공사에 들어갔다며 바로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jhlim@kyeonggi.com

경기외고 디자인 동아리 "지구의 소중함 알리고 싶어요"

지구를 나타내는 영어 철자 Earth에는 예술(art)이 포함돼 있듯이 지구는 예술과 떨어질 수 없습니다. 예술은 지구를 살려야 합니다. 그런 뜻을 살리기 위해 동아리 이름을 EartH라고 지었고 Art for Earth(지구를 위한 예술)를 캐치프레이즈로 정했습니다. 세상 사람들이 잊고 있는 지구의 소중한 것을 찾아 디자인을 통해 세상에 알리려는 여고생이 있어 화제다. 경기 외국어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김규진양(16ㆍEartH 동아리 부장)은 픽사 애니메이션 감독을 비롯해 소설가, 방송PD, 특수교사, 일러스트레이터, 국제행사 사회자, 홍대 기타리스트, 패션 디자이너, 상담 치료사, 연극배우, 달리기 선수, 채식주의자, 패션모델, 환경보호 운동가 등 줄잡아 20여 가지가 넘는 방대한 꿈을 이루기 위해 여러 분야를 직접 체험하고 자신을 개방시켜 놓으려 애쓰고 있다. 김 양은 전문적으로 배운 바도 없고 실전 경험도 없지만, 고등학생이라는 이유로 디자인 관련 활동을 나중으로 미루는 게 싫어 지난 3월 Earth라는 디자인 동아리를 만들어 현재 같은 학교 회원들과 함께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EartH 회원들은 멸종위기에 처한 지구상의 동물의 사연을 세상에 알려 동물과 인간이 공생하는 아름다운 지구를 홍보하고, 학교 밖 넓은 세상에서 다양한 사람과 환경에 관한 정보와 생각을 공유코자 최근 서울에서 열린 프리마켓(free market)에 참여, 작품판매로 얻은 수익금 13만 6천 원을 세계야생동물협회(WWF)에 전액 기부했다. 김 양은 이번 도전에 대해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열쇠고리와 휴대전화 고리로 만들어 실용성을 높이고 학교축제 때 인형을 만드는 체험관을 열어 친구들에게도 전수할 계획이라며 환경 캠페인을 위해 디자인된 인형을 소유해 환경의 가치를 되새기고 환경 보호를 위한 마음을 갖게 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jhlim@kyeonggi.com

'자전거 도시' 의왕시, 자전거 활성화사업 순조

앞으로 자전거 한대로 의왕시 곳곳을 누빌 수 있게 된다. 의왕시는 자전거 이용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자전거 도시를 지향하면서 자전거 보험을 비롯해 자전거 이동수리센터운영, 자전거교육장 신설 등 다양한 관련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우선 시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와 인프라 확대를 위해 지난 2009년 자전거업무 전담팀인 그린웨이팀을 신설해 산들길 조성공사 등 자전거 활성화 사업을 순조롭게 추진하고 있다. 자전거 특화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 지난 2009년부터 사업에 착수해 현재까지 오봉로를 비롯한 덕성로, 국도 1호, 안양판교로, 왕곡로, 흥안로, 포일로 등 18㎞에 이르는 자전거도로설치를 마쳤으며 오는 2014년 이후 추가로 19개의 자전거도로사업을 추진, 모두 29개 노선에 52.4㎞의 자전거도로를 연장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난달 29일에는 왕송호수와 백운호수를 잇는 3㎞ 구간의 산들길 조성공사를 착공, 자전거 이용자들은 왕송호수에서 백운호수까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전거 편의 시설도 대폭 확대된다. 타이어에 바람을 넣을 수 있도록 주요 지점에 공기주입기 수동식 40대와 태양광충전 기계식 3대를 설치했으며 학교와 아파트단지 등 100개소에 자전거 보관대도 설치했다. 또 지난 2010년부터 각 동 주민센터를 순회하며 운영 중인 자전거 무료 이동수리센터를 통해 2010년 921대, 2011년 1천795대를 수리하는 등 현재까지 5천670대를 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이 불시의 사고에 대처할 수 있도록 시민 전체를 대상으로 가입한 자전거 보험은 시가 추진하는 자전거활성화 사업 중 가장 대표적으로 2010년 발생한 자전거 사고(사망 2건, 부상 26건)에 대해 6천900만원을 지원했다. 이와 함께 자전거를 안전하게 탈 수 있는 다양한 자전거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자전거 교육장이 백운호수 제방주차장 인근에 공사 중에 있다. 이동원 시 도로건설과장은 자전거이용시설 정비계획을 통해 인프라구축과 활성화 시책을 조화롭게 실현해 자전거 도시의 대명사로 거듭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jhl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