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A 리디아 고 뉴질랜드 교포인 LPGA 프로 골퍼 리디아 고(Lydia Koㆍ17)가 올 시즌 LPGA투어 최종전에서 우승을 장식하면서 거액의 상금을 차지했다. 리디아 고는 24일(이하 한국시각) 미국 플로리다주 네이플스의 티뷰론 골프장에서 열린 2014시즌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시즌 최종전인 CME그룹투어 챔피언십(총상금 200만 달러) 최종라운드에서 4차 연장 끝에 우승하며 화려한 마무리를 장식했다. 아마추어 자격으로 지난 2012년과 2013년 캐나다오픈에서 잇따른 우승을 차지한 바 있는 리디아 고는 LPGA 데뷔 첫해에 3승을 얻고 투어 사상 최연소 신인왕에 오르는 영예를 누렸다. 또한, 올해 도입된 레이스 투 더 CME 글로브도 수상했다. 우승상금 50만 달러에 1년 내내 치러진 시즌 결과를 포인트로 합산한 레이스 투 더 CME 글로브의 우승 보너스 100만 달러를 더해 150만 달러(약 16억7천만원)를 한꺼번에 받게 됐다. LPGA 역사상 단일대회 최다 우승 상금이다. 시즌 상금은 208만 달러로 루이스(253만 달러), 박인비(222만 달러)에 이어 3위에 올랐다. LPGA 투어에서 신인이 첫해 상금을 200만 달러 이상 번 것은 리디아 고가 처음이다. 그는 이번 시즌 3승째와 함께 통산 5승도 이뤘다. 올해 LPGA 투어 32개 대회 가운데 미국 선수들은 13승을 합작해 1999년 이후 최다승을 기록했다. 한편, 이날 2언더파 70타를 기록한 박인비(26KB 금융그룹)는 최종합계 이븐파 288타로 공동 24위에 머물렀다. 미셸 위와 유소연은 각각 최종합계 7언더파와 5언더파로 공동 5위, 공동 7위로 경기를 마쳤다.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LPGA 리디아 고, 대단한 신인이 나왔네" "LPGA 리디아 고, 대단하다" "LPGA 리디아 고, 한국선수들도 활약 기대한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정자연기자 사진 =LPGA 리디아 고,LPGA 공식 홈페이지 캡처
LPGA 리디아 고, 시즌 3관왕보너스까지 150만 달러 대박 뉴질랜드 교포 리디아 고(17ㆍ한국명 고보경)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시즌 마지막 대회인 CME그룹 투어 챔피언십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리며 시즌 3승째를 수확했다. 리디아 고는 24일(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네이플스의 티뷰론 골프장(파72)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4라운드에서 보기 없이 버디만 4개를 몰아쳐 4언더파 68타를 적어냈다. 최종합계 10언더파 278타를 친 리디아 고는 훌리에타 그라나다(파라과이), 카를로타 시간다(스페인)와 동타를 이뤄 연장 승부에 돌입했다. 파4 홀인 18번 홀에서 계속된 연장전에서 그라나다가 먼저 2차 연장에서 보기에 그쳐 탈락한 뒤 4차 연장에서 시간다의 두 번째 샷이 왼쪽 갈대 수풀 아래로 떨어지면서 승부가 갈렸다. 시간다는 1벌타를 받고 공을 드롭한 뒤 네 번째 샷을 시도했으나, 공은 홀에 미치지 못했다. 약 10m 거리에서 두 번 안에 공을 홀에 넣으면 이기는 유리한 고지에 오른 리디아 고는 결국 파로 홀을 끝내면서 시즌 세 번째 우승을 거머쥐었다. 이로써 리디아 고는 아마추어 시절인 2012년과 2013년 캐나다오픈 우승에 이어 LPGA 투어 신인인 올해 3승(3월 스윙잉 스커츠 클래식ㆍ7월 마라톤 클래식)을 쓸어담으면서 개인 통산 5승째를 기록, 사상 최연소 신인왕에 오르는 영예를 누렸다. 리디아 고는 한 시즌 성적을 포인트로 더해 순위를 정하는 레이스 투 더 CME 글로브 우승 보너스 100만 달러와 이번 대회 우승 상금 50만 달러를 더해 150만 달러(약 16억7천만원)를 한꺼번에 받는 여자골프 사상 최다 액수의 잭팟을 터뜨렸다. 레이스 투 더 CME 글로브의 100만 달러 보너스는 올해 신설된 제도로 리디아 고가 초대 수상자의 영예를 안았다. 더불어 리디아 고는 시즌 상금 208만 달러로 스테이시 루이스(미국ㆍ253만 달러), 박인비(KB금융그룹ㆍ222만 달러)에 이어 3위에 이름을 올렸다. LPGA 투어에서 신인이 첫 해 상금을 200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인 것은 리디아 고가 처음이다. 한편, 박희영(하나금융그룹)과 유소연(하나금융그룹)은 나란히 최종합계 5언더파 283타를 기록, 공동 7위를 차지했고 김인경(하나금융그룹)은 4언더파 284타 공동 9위에 올랐다. 박준상기자 사진= LPGA 리디아 고
세계랭킹 1위 박인비(26ㆍKB금융그룹)와 2위 스테이시 루이스(미국)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올해의 선수 자리를 둘러싼 최후의 일전을 벌인다. 한 시즌 동안 LPGA 투어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를 가리는 롤렉스 플레이어 오브 더 이어(Player of the Year) 수상 대결은 박인비와 루이스의 2파전으로 압축된 상태다. 이 경쟁은 오는 20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네이플스 티뷰론 골프장(파72)에서 열리는 2014시즌 LPGA투어 최종 대회인 CME그룹 투어 챔피언십에서 비로소 결론이 날 예정이다. 현재 이 부문 1위는 229점을 쌓은 루이스고 박인비는 226점으로 뒤를 바짝 쫓고 있다. 재미동포인 미셸 위가 3위에 올랐지만 166점으로 멀찌감치 떨어져 있다. 박인비는 지난 주 열린 로레나 오초아 인비테이셔널에서 단독 3위에 오르며 12점이던 루이스와의 포인트 격차를 3점 차로 좁혔다. 올해의 선수 포인트는 각 대회 110위에 오른 선수에게 최소 1점에서 최대 30점을 부여하는 체계로 운영된다. 박인비가 이 대회에서 8위(3점)에 오르고 루이스가 10위권 밖(0점)으로 밀려난다면 포인트는 동점이 된다. 박인비가 우승하거나 루이스보다 좋은 성적으로 상위권에 오른다면 역전의 길이 얼마든지 열린다. 지난해 한국 선수 중 최초로 올해의 선수에 선정된 박인비는 올해 2년 연속 수상에 도전한다. 2012년 수상자인 루이스는 박인비에게 빼앗긴 타이틀 탈환을 노린다. 한편, 박인비와 루이스의 자존심 대결은 상금왕 경쟁으로도 이어진다. 현재 시즌 상금 1위는 250만2천309 달러를 모은 루이스, 2위는 220만9천460 달러를 올린 박인비다. CME그룹 투어 챔피언십에 걸린 총상금 200만 달러(약 22억원) 중 우승 상금 50만 달러(약 5억5천만원)를 가져가는 선수가 상금왕도 거머쥐게 된다. 연합뉴스
재미동포 크리스티나 김(30한국명 김초롱)이 연장 접전끝에 9년 만에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정상을 밟았다. 크리스티나 김은 17일 멕시코의 멕시코시티 클럽 데 골프 멕시코(파72)에서 열린 로레나 오초아 인비테이셔널 마지막 날 4라운드에서 연장전까지 추격한 펑산산(중국)을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크리스티나 김은 이날 보기 5개에 버디 6개를 적어 1언더파 71타를 적어내며 최종합계 15언더파 273타를 기록했다. 펑산산은 이날 보기는 1개만 적어내고 버디 5개, 이글 1개를 잡아내며 3라운드까지 단독 선두를 달리던 크리스티나 김을 따라잡고 연장전으로 몰고갔다. 18번홀(파4)에서 치러진 연장 1차전에서 둘은 나란히 파를 기록했으나, 2번째 대결에서 크리스티나 김은 파를 기록, 보기를 한 펑산산을 따돌리고 우승을 확정했다. 이로써 크리스티나 김은 2005년 미첼컴퍼니 토너먼트오브챔피언스 이후 9년 만에 LPGA 투어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개인 통산 3번째 LPGA 우승. 한편, 세계랭킹 1위 박인비(KB금융그룹)는 이날 4타를 줄여 최종합계 11언더파 277타로 단독 3위를 차지, LPGA 투어 올해의 선수 2년 연속 수상 가능성을 높였다. 박인비는 이 대회에서 올해의 선수 포인트 9점을 보태 226점을 쌓으며 1위인 스테이시 루이스(미국229점)와의 격차를 3점 차로 좁혔다. 루이스는 합계 3오버파 291타를 기록해 공동 28위에 머물렀다. 연합뉴스
전인지 시즌 3승 짜릿한 역전 '우승' 전인지가 한국프로골프(KLPGA) 투어 시즌 마지막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6일 인천 송도의 잭니클라우스 골프클럽(파726천276야드)에서 열린 조선일보-포스코 챔피언십 마지막 날 3라운드에서 전인지는 이글 1개에 버디 5개를 쓸어담고 보기 1개를 곁들여 6언더파 66타로 역적 우승을 일궜다. 2라운드까지 3타차로 앞서 있던 허윤경은 18번홀(파5)에서 두 번째 샷을 워터 해저드에 빠뜨리는 바람에 합계 11언더파 205타로 2위에 머물렀다. 이날 전인지는 10번홀(파4)에서 샷 이글을 잡아내며 추격의 발판을 마련했고, 11번홀(파4)에서도 두 번째 샷을 홀 30㎝에 붙인 뒤 버디를 낚아 허윤경과 동타를 만든 뒤 16번홀까지 접전을 이어갔다. 전인지는 17번홀(파3)에서 멋진 버디 퍼트로 단독 선두에 올랐고, 허윤경이 18번홀(파5)에서 실수를 저지르면서 승부를 뒤집지 못했다. 한편 치열했던 신인왕 포인트 레이스는 백규정(19CJ오쇼핑)의 승리로 끝났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전인지 시즌 3승
뉴질랜드 교포 골퍼 리디아 고(17한국명 고보경)가 역대 최연소로 올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신인상을 거머쥐었다. LPGA는 12일(현지시간) 리디아 고가 LPGA의 기록을 계속해 새로 쓰고 있다며 그가 남은 경기 결과에 상관없이 신인상 수상을 확정 지었다고 발표했다. 리디아 고는 올해 LPGA 투어에 데뷔해 스윙잉 스커츠 클래식과 마라톤 클래식에서 2승을 거두며 다른 신인상 후보들을 멀찍이 제치고 생애 단 한 번뿐인 영예를 안게 됐다. 현재 세계랭킹 3위, LPGA 상금랭킹 4위(156만5천 달러)에 올라 있는 리디아 고는 LPGA 투어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신인으로서 꿈인 신인상 수상을 하게 돼 기쁘다며 전설과도 같은 역대 신인상 수상자들과 이름을 나란히 하게 돼 영광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리디아 고는 이 상이 제정된 1962년 이후 데뷔 첫 시즌에 2승 이상을 거둔 8번째 선수가 됐다. 이전까지 최연소 LPGA 신인상 수상자는 1973년 수상 당시 18세였던 로라 보였다. 연합뉴스
2014시즌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올해의 선수가 남은 2개 대회를 통해 정해지게 됐다. 11일 현재 LPGA 투어 롤렉스 플레이어 오브 더 이어(Player of the Year) 부문에서는 스테이시 루이스(미국)가 229점으로 1위를 달리고 있고, 박인비(KB금융그룹)가 217점으로 그 뒤를 바짝 뒤쫓고 있어 누가 올해의 선수가 될지 예측 불허다. 이번 시즌은 13일부터 멕시코의 멕시코시티에서 열리는 로레나 오초아 인비테이셔널과 20일부터 미국 플로리다주 네이플스에서 열리는 시즌 최종전 CME그룹 투어 챔피언십 등 2개 대회가 남아 있으며, 박인비와 루이스는 2개 대회에 모두 출전할 예정이다. 13일 개막하는 로레나 오초아 인비테이셔널에서 우승하면 올해의 선수 포인트 30점, 준우승하면 12점을 받기 때문에 박인비로서는 얼마든지 루이스를 추월할 가능성이 남아 있다. 지난 시즌에는 박인비, 2012년에는 루이스가 이 부문 1위를 차지한 바 있어 박인비의 수성과 루이스의 탈환 의지가 정면 충돌하게 되는 셈이다. 상금왕 부문도 아직 루이스의 1위 확정을 논하기는 이르다. 루이스는 현재 249만2천483 달러로 1위를 달리고 있고, 박인비가 213만4천415 달러로 2위다. 로레나 오초아 인비테이셔널은 우승 상금 20만 달러, CME그룹 투어 챔피언십에는 우승 상금 50만 달러가 걸려 있어 둘의 남은 대회 결과에 따라 상금 1위가 정해진다. 한편, 로레나 오초아 인비테이셔널에는 박인비와 루이스, 리디아 고(뉴질랜드), 수잔 페테르센(노르웨이), 펑산산(중국) 등 세계 랭킹 상위권 선수들이 총출동 한다. 연합뉴스
아무런 이유도 없이 갑자기 볼이 맞지 않으면 매우 혼란스럽다. 이러한 상황은 보통 스윙 단계에서 리듬이나 타이밍을 놓치거나, 주변환경 또는 이전 홀에서의 나쁜 샷으로 인해 발생된다. 골프는 리듬과 템포가 생명이다. 샷 동작뿐 아니라 이전 준비 단계에서도 일관된 리듬을 유지해야 한다. 이것이 가능하려면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스윙 프리 샷 루틴이 몸에 배어야 한다. 투어프로의 경기는 자연스러워 보이는 반면, 일반 아마추어의 경우 뭔가 어색해 보이는 까닭은 바로 프리 샷 루틴의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골프를 시작하면서 그립과 자세, 스탠스가 매우 중요하다라고 들었으며, 지금도 시행착오를 거치고 있으리라 생각한다. 테이크웨이와 백스윙 탑의 전환동작, 임팩트, 팔로우, 피니쉬 등도 중요하지만 스윙의 리듬과 템포가 일정하지 않고서는 항상 같은 스윙과 정확한 임팩트를 만들어 낼 수는 없다. 스윙이 어느 정도 만들어지면 자신만의 리듬과 템포를 익히는데 노력해야 한다. 리듬과 템포를 위한 포인트 ①스윙의 시작을 천천히 해야 한다=백스윙시 클럽의 번호가 보일 수 있도록 테이크웨이를 천천히 진행한다. ②그립의 강도를 일정하게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스윙의 변환점과 함께 임팩트에서 많이 발생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③스윙의 변환점(탑)까지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일반적으로 리듬이 빨라지면 탑스윙에 미치지 못하고 다운스윙을 진행하는 경우가 발생해 볼의 방향과 탄도가 변형될 수 있다. ④스윙은 물 흐르듯 진행해야 한다=리듬감을 갖도록 하나 둘 셋 등으로 리듬을 만들어 스윙에 접목해 진행한다. ⑤피니쉬동작을 아름답게 만들어야 한다=피니쉬동작을 만들지 못하면 일정한 리듬을 만들어갈 수 없다. 골프 스윙에서 리듬의 정의는 동작에 멈춤이 없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즉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으로 조화롭게 움직이는 동작이다. 백 스윙은 어드레스 위치에서 백 스윙 톱에 이르기까지 연속 동작으로 일어나는 한 동작이다. 백 스윙 톱에 이른 후에 방향을 전환한 후에도 피니쉬까지 한 동작으로 이뤄지도록 스윙을 만들어야 한다. 스윙에서 템포는 골퍼의 스타일에 따라서 다르다. 프로들 중에서도 빠른 템포, 또는 느린 템포로 스윙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스타일이 다르지만 반드시 지켜야 할 것은 리듬감이다. 즉 자신에 가장 편안한 리듬과 템포를 찾아서 스윙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숨은 보석 이미향(21볼빅)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미즈노 클래식 우승, 또 한명의 코리언 우승자로 탄생했다. 이미향은 9일 일본 미에현 시마시의 긴데스 가시고지마 컨트리클럽(파72)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3라운드에서 버디 4개와 보기 1개를 묶어 3언더파 69타를 기록, 합계 11언더파 205타로 이일희(26볼빅), 고즈마 고토노(일본)와 동률을 이뤄 연장 승부에 들어갔다. 18번 홀(파4)에서 계속 이어진 연장 승부에서 이미향은 5차 연장에서 버디를 잡아 파에 그친 이일희와 고즈마를 제치고 LPGA 투어 첫 우승을 차지하며 우승상금 18만 달러(약 1억9천만원)를 손에 넣었다. 세 선수는 약속이나 한 듯 1, 2, 4차 연장에서는 나란히 파를 기록했고 3차 연장에서는 버디를 잡아 승부를 내지 못하고 5차 연장 혈투를 벌여야 했다. 한편, 최운정(24볼빅)과 이나리(26)가 나란히 10언더파 206타로 공동 4위의 성적을 냈다. 이로써 국내 컬러볼 생산 1위 업체인 볼빅은 우승자인 이미향을 비롯, 공동 2위 이일희, 공동 4위 최운정 등 소속 선수 3명이 동시에 톱10에 드는 최고의 성적을 거뒀다. 황선학기자
배상문 신한동해오픈 2연패 상금 2억 전액 기부 배상문이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신한동해오픈에서 2년 연속 우승했다. 9일 인천 송도의 잭 니클라우스 골프클럽 코리아(파727천320야드)에서 열린 KPGA 시즌 마지막 대회인 신한동해오픈 4라운드에서 '디펜딩 챔피언' 배상문은 버디 3개와 보기 2개로 1타를 줄여 합계 13언더파 275타로 정상을 지켰다. 이날 우승으로 배상문은 우승 상금 2억원을 받았지만 상금 전액을 기부하겠다는 뜻을 밝혀 눈길을 끌었다. 배상문은 3타차 단독 선두로 마지막 라운드에 나서 11번홀에서 3m 거리의 버디 퍼트를 넣은데 이어 12번홀(파4)에서는 7m 거리에서 오른쪽으로 휘는 라인을 따라 다시 버디 퍼트를 홀에 떨어뜨렸다. 순식간에 2위 그룹을 5타차로 따돌린 배상문은 보기 없는 '무결점' 우승을 향해 질주했다. 15번홀에서 파 퍼트가 야속하게 빗나가면서 '노 보기' 행진이 멈췄고, 16번홀(파4)에서도 그린을 놓치고 어프로치샷 실수로 보기를 적어냈지만 우승에는 걸림돌이 되지 않았다. 4타차 선두로 18번홀(파5)에 오른 배상문은 세 번째 샷으로 볼을 그린 위에 올린 뒤 2m 버디 퍼트를 성공, 팬들에게 멋진 우승 인사를 했다. 한편 김봉섭(31ZOTAC코리아)과 문경준(32휴셈)이 8언더파 280타를 쳐 공동 2위에 올랐다. 김승혁(28)은 7언더파 281타, 공동 4위로 마지막 대회를 마쳐 상금왕과 최우수선수에게 주는 발렌타인 대상 타이틀을 차지했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배상문 신한동해오픈 2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