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 오르자 미세먼지 기승…밤부터 중부·남부내륙에 눈

23일 기온이 눈에 띄게 오르면서 미세먼지가 다시 기승을 부렸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서울의 최고기온은 8.6도로, 평년(6.0도)보다 2.6도나 올랐다. 평년값이 있는 전국 46개 주요 관측지점 중 최고기온이 평년보다 낮았던 곳은 이천(7.6도)과 춘천(5.9도), 영월(7.3도) 등 세 곳뿐이었다. 군산은 최고기온 10.7도로, 평년(5.3도)보다 5도 넘게 수은주가 올랐다. 기온이 오르면서 '불청객' 미세먼지 농도가 곳곳에서 가파르게 치솟았다. 이날 오후 4시 현재 미세먼지 PM-2.5 일평균 농도는 서울(61㎍/㎥), 인천(56㎍/㎥), 경기(62㎍/㎥) 등 수도권에서 '나쁨'(50㎍/㎥) 수준을 넘었다. 이들 세 지역 모두 최근 한 달 가운데 이날의 일평균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서울의 경우 가장 낮았던 때(12㎍/㎥)의 5배까지 치솟았다. 이 밖에 부산·대구(44㎍/㎥), 광주·충북·충남·경북·제주(45㎍/㎥), 대전·울산(41㎍/㎥), 전북(46㎍/㎥) 등도 '나쁨' 수준의 턱밑까지 올랐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강원도 44㎍/㎥로 비교적 높게 올랐다. 이 시각 현재 서울과 경기 북·중·동부, 인천 동남·서부, 강원 원주권역에는 PM-2.5 주의보가 발령된 상태다. PM-2.5 주의보는 해당 지역 대기자동측정소의 PM-2.5 시간 평균 농도가 90㎍/㎥ 이상 2시간 지속될 때 발령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국내에서 배출된 미세먼지에 국외로부터 유입된 미세먼지가 더해져 농도가 오른 것으로 분석했다. 이날 고농도 미세먼지는 24일 오전까지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는 데다 곳곳에 안개가 끼면서 시정(視程·목표물을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는 최장 거리)도 악화했다. 이 시각 인천의 시정은 1.75㎞로 전국 54개 주요 관측지점 중 가장 나쁘다. 밤사이에는 눈이 예보돼있다. 이날 밤부터 24일 새벽까지 강원 영서에는 1㎝ 안팎의 눈이 쌓이겠다. 강원 산지와 충북 북부, 경북 북부 내륙에도 약 1㎝의 적설이 예상된다. 연합뉴스

전국 미세먼지 농도 치솟아…서울·경기 미세먼지 주의보

23일 기온이 오르면서 전국적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가파르게 치솟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현재 경기의 PM-2.5 일평균 농도는 54㎍/㎥로, '나쁨'(50㎍/㎥) 단계에 들어서며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게 올랐다. 경기는 이른 아침까지만 해도 PM-2.5 일평균 농도가 20∼30㎍/㎥ 수준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농도가 높아지고 있다. 서울도 계속해서 농도가 오르면서 이 시각 51㎍/㎥로 '나쁨'에 해당했다. 서울은 최근 1시간 평균값이 104㎍/㎥로, '매우 나쁨'(101㎍/㎥ 이상)에 들었다. 이에 따라 이날 오후 1시를 기해 서울과 경기 중부권에는 PM-2.5 주의보가 발령됐다. PM-2.5 주의보는 해당 지역 대기자동측정소의 PM-2.5 시간 평균 농도가 90㎍/㎥ 이상 2시간 지속될 때 발령된다. 이밖에 인천(49㎍/㎥), 제주(43㎍/㎥), 경북(42㎍/㎥), 대구·울산·충남(41㎍/㎥) 등도 일평균 농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날 PM-2.5 농도 최고치는 서울 125㎍/㎥, 부산 113㎍/㎥, 인천 135㎍/㎥, 경기 141㎍/㎥, 강원 101㎍/㎥, 경북 104㎍/㎥ 등 곳곳에서 100㎍/㎥를 넘어섰다. PM-2.5보다 지름이 큰 PM-10의 일평균 농도는 '나쁨'(81∼150㎍/㎥) 수준에는 못 미치지만, 서울 73㎍/㎥, 인천 75㎍/㎥, 경기 74㎍/㎥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비교적 높은 상황이다. 국내에서 배출된 미세먼지에 국외로부터 유입된 미세먼지까지 더해져 오후 들어 농도가 높아진 것이라고 국립환경과학원은 설명했다. 연합뉴스

‘출근길 비상’ 전국 곳곳 눈 쌓여…밤에 다시 산발적 눈발

금요일인 23일 오전 강원도와 충청도를 포함해 전국 곳곳에 눈이 내리고 있다. 오전 5시 기준으로 북춘천에 7.6㎝, 동두천 6.7㎝, 영월 5.2㎝, 원주 4.5㎝, 철원 4.2㎝, 이천 4㎝, 서울 3.8㎝, 인천 2.2㎝, 충주 1.6㎝, 수원 1㎝ 등 적설량이 관측됐다. 밤사이에 강원도와 경기도 일부 지역에 대설주의보가 발표됐다가 몇 시간 뒤 해제됐다. 현재는 강원 영서 일부 지역에만 대설특보가 내려져 있다. 서울과 경기도 일부 지역의 경우 자정 전후로 많은 양의 눈이 내렸으나, 눈 구름대가 시간당 55㎞ 속도로 빠르게 동쪽으로 움직이면서 금방 그쳤다. 아침까지 강원 영서 남부, 충청 내륙, 전북 북동 내륙, 경북 내륙에 눈이 내린다. 적설량은 강원 영서·경북 내륙에 1∼3㎝, 충청 내륙·전북 북동 내륙·울릉도·독도에 1㎝ 내외로 예보됐다. 낮 동안에는 눈이 그쳤다가 이날 밤부터 이튿날 새벽 사이에 중부내륙을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눈발이 흩날릴 전망이다. 전국적으로 눈이 쌓인 곳이 많고, 중부내륙에는 안개까지 낀 곳이 있으므로 교통안전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날 기온은 전날보다 조금 더 오른다.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1도, 인천 1.3도, 수원 1.3도, 춘천 -1.4도, 강릉 1.7도, 청주 -0.1도, 대전 2.2도, 전주 4.2도, 광주 2도, 제주 6도, 대구 -3도, 부산 2도, 울산 -1.4도, 창원 -1.3도 등이다. 낮 최고기온은 전국 7∼13도, 서울 10도로 예보됐다. 밤사이 눈으로 습도가 일시적으로 높아져 서울·경기도와 강원도, 충청 북부에는 건조특보가 해제됐다. 그러나 기상청은 강수량이 적어 다시 건조특보가 발표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 먼바다에서 1.0∼3.0m, 서해 먼바다에서 1.0∼2.5m, 남해 먼바다에서 0.5∼2.0m로 인다. 서해안과 동해안, 강원도 산지는 바람이 강하게 불 전망이므로 시설물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미세먼지는 전 권역에 '보통'으로 예상됐으나, 오후 들어 '나쁨' 수준까지 농도가 짙어질 가능성이 있다. 연합뉴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