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청객’ 미세먼지 극성…서남부 곳곳에서 나쁨

12일 오후 들어 서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미세먼지 일평균 농도가 '나쁨' 수준까지 치솟았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현재 광주의 초미세먼지(PM-2.5) 일평균 농도는 78㎍/㎥로, '나쁨'(51∼100㎍/㎥)에 해당하며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인천 63㎍/㎥, 대전 56㎍/㎥, 경기 60㎍/㎥, 충북 64㎍/㎥, 충남 57㎍/㎥, 전북 72㎍/㎥, 전남 60㎍/㎥ 등 주로 서해안에 인접한 남쪽 지역에서 일평균 농도가 '나쁨'에 들었다. 또 서울 44㎍/㎥, 부산 47㎍/㎥, 울산 46㎍/㎥, 세종 49㎍/㎥, 경북 48㎍/㎥, 경남 45㎍/㎥, 제주 44㎍/㎥ 등 다른 지역에서도 PM-2.5 일평균 농도가 '나쁨'에 육박했다. 하루 최곳값으로는 부산(101㎍/㎥), 인천(110㎍/㎥), 광주(104㎍/㎥), 울산(126㎍/㎥), 경기(147㎍/㎥), 충북(108㎍/㎥), 충남(117㎍/㎥), 전북(122㎍/㎥), 전남(112㎍/㎥), 경북(104㎍/㎥)에서 한때 '매우 나쁨'(101㎍/㎥ 이상)을 기록했다. 이 시각 현재 전북 정읍·익산·고창·전주·완주와 인천 강화에는 PM-2.5 주의보가 발효 중이다. PM-2.5 주의보는 대기자동측정소의 PM-2.5 시간 평균농도가 90㎍/㎥ 이상 2시간 지속할 때 발령된다. PM-2.5보다 지름이 큰 PM-10도 인천(86㎍/㎥), 광주(109㎍/㎥), 대전(93㎍/㎥), 경기(84㎍/㎥), 충북(88㎍/㎥), 충남(90㎍/㎥), 전북(102㎍/㎥), 전남(81㎍/㎥), 세종(82㎍/㎥) 등에서 일평균 농도가 '나쁨'(81∼150㎍/㎥) 수준으로 올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날 오후부터 대기 확산이 원활해짐에 따라 대부분 권역의 일평균 농도가 '보통'을 나타내겠지만, 일부 중서부·내륙 지역은 대기 정체로 농도가 다소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연합뉴스

전국 완연한 ‘봄기운’…낮 최고 11∼19도

월요일인 12일 전국은 대체로 맑겠다. 오전 4시 기준으로 경기 서해안과 충남, 전라도에는 안개가 짙게 낀 곳이 많다. 부안과 군산에서는 가시거리가 40m에 불과했다. 해남과 영암·고창에서는 50m, 나주·태안·경기 시흥에서는 60m에 그쳤다. 서해안과 내륙 지방은 오전까지 안개가 짙겠으니 교통안전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이날 기온은 평년보다 높지만, 일교차가 크므로 건강관리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오전 5시 현재 주요 도시 기온은 서울 3.3도, 인천 2도, 수원 0.3도, 춘천 -0.4도, 강릉 0.2도, 청주 1.7도, 대전 0.8도, 전주 2도, 광주 3.6도, 제주 7.1도, 대구 1.4도, 부산 7.1도, 울산 4도, 창원 4.4도 등이다. 낮 최고기온은 전날보다 3도가량 오른 11∼19도로 예상됐다. 서울은 최고 14도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됐다. 미세먼지 농도는 전 권역에 '보통' 수준으로 예보됐다. 그러나 오전에는 '나쁨' 수준으로 바뀌는 곳도 있겠다고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전했다. 서해안과 동해안, 강원 산지에는 오후부터 바람이 강한 곳이 있겠다. 사흘가량 강풍이 계속될 전망이므로 시설물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 먼바다에서 1.0∼2.5m, 남해와 서해 먼바다에서 0.5∼1.5m로 인다. 서해 상과 남해 상을 중심으로 해상에도 안개가 짙겠으므로 항해나 조업을 할 경우 이에 대비해야 한다. 연합뉴스

낮 최고 8∼16도 포근…중서부 미세먼지 ‘나쁨’ 가능성

일요일인 11일 전국이 대체로 맑겠으며 중부지방은 구름이 많다가 낮부터 맑아지겠다.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4.2도, 인천 3.5도, 수원 3.3도, 춘천 0도, 청주 3.5도, 대전 3.6도, 전주 1.7도, 광주 1.6도, 제주 5.9도, 대구 4.6도, 부산 5.7도, 울산 4.6도 등이다. 이날 낮 최고기온은 8∼16도로 전날(7∼14.4도)보다 다소 높고, 평년 기온(8.8∼13.5도)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을 것으로 예보됐다. 기상청은 당분간 기온 분포가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미세먼지 농도는 전 권역에서 '보통'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보됐다. 다만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청권, 전북 등 중서부지역은 대기 정체로 오전에 '나쁨' 수준 농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서해안과 내륙을 중심으로 안개가 짙게 끼는 곳이 있겠고, 낮 동안에도 연무나 박무가 끼는 곳이 있을 것으로 보여 교통안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강원 산지를 중심으로 바람이 강하게 부는 곳이 있겠고, 그 밖의 지역에서도 약간 강하게 불 것으로 보인다. 당분간 동해 먼바다에 바람이 강하게 불고 물결이 높게 일겠으며 서해와 남해 해상에서 안개가 끼는 곳이 있겠다. 동해안에는 너울로 인해 높은 물결이 해안도로나 방파제를 넘는 곳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 앞바다와 먼바다에서 0.5∼2m와 1∼3m, 남해 앞바다와 먼바다에서 0.5∼1m와 0.5∼2m로 일겠다. 서해 앞바다와 먼바다의 파고는 0.5m와 0.5∼1m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출근길 '꽃샘추위'…전국 흐리다 낮부터 맑아져

9일은 전국에 가끔 구름이 많다가 낮부터 차츰 개겠다. 다만 강원 영동과 경북 동해안에는 아침까지 산발적으로 비나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다.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2.5도, 인천 1.9도, 수원 1.9도, 춘천 2.5도, 강릉 1.3도, 청주 1.7도, 대전 1.8도, 전주 1.8도, 광주 2.2도, 제주 4.9도, 대구 0.7도, 부산 2.2도, 울산 3.5도, 창원 3.2도 등이다. 낮 최고 기온은 3∼11도의 분포를 보여 평년보다 쌀쌀하겠다. 기상청 관계자는 "내일 낮부터 남서풍이 유입되면서 기온이 차차 올라 평년기온을 회복하겠다"며 "당분간 낮과 밤의 기온 차가 커 건강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아침까지 일부 내륙에는 짙은 안개가 끼고, 이날 밤부터 다음 날 아침 사이에도 내륙을 중심으로 안개가 끼는 곳이 있어 교통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전 해상에 바람이 강하게 불고 물결도 높이 일겠다. 파도의 높이는 서해 앞바다 0.5∼2.0m, 남해 앞바다 0.5∼4.0m, 동해 앞바다 1.5∼4.0m로 예보됐다. 특히 동해안에는 너울로 인한 높은 물결이 해안도로나 방파제를 넘는 곳이 있어 안전에 신경 써야 한다. 미세먼지 농도는 전 권역이 '보통' 수준을 보일 것으로 국립환경과학원은 내다봤다. 연합뉴스

전국 비바람 불어 기온 ‘뚝’…강원·경북엔 폭설

목요일인 8일 오전 전국에 눈이나 비가 내리겠다. 강원 산지와 강원 영서, 경북 북동 산지, 일부 경북 내륙, 충북 등 지방에는 대설특보가 발효됐다. 오전 4시 기준으로 강원도에는 태백 10.5㎝, 평창군 용평면 9㎝, 정선군 임계면 8㎝, 강릉 대기리 7㎝, 홍천 내면 7㎝, 미시령 5㎝ 등 곳곳에 눈이 쌓였다. 눈은 다음날 새벽까지 내려 강원 동해안, 경북 북동 산지에는 총 5∼10㎝가량 쌓이겠다. 강원 산지는 20㎝ 이상 쌓이는 곳도 있겠다. 경북 북부와 산지를 제외한 강원 영서·충북에는 2∼5㎝, 경기 동부·경북 남부내륙·경남 서부내륙·전북 동부 내륙에는 1∼3㎝ 적설량이 예보됐다. 제주도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전국에 내리고 있는 비도 이튿날 새벽까지 계속 내린다. 예상 강수량은 경남 10∼40㎜, 수도권과 강원 영서·서해5도 5㎜ 내외, 그 밖의 지역에는 5∼20㎜로 예보됐다. 눈·비가 내리고 바람까지 강하게 불면서 이날 낮부터 기온이 떨어지겠다.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3.1도, 인천 3.3도, 수원 2.5도, 춘천 2.3도, 강릉 0.9도, 청주 0.6도, 대전 1.1도, 전주 2.2도, 광주 4.1도, 제주 7.9도, 대구 0.1도, 부산 4.8도, 울산 3.7도, 창원 3.7도 등이다. 낮 최고기온은 3∼11도로 예상됐다. 서울은 최저 2도, 최고 8도로 예보됐다. 바다의 물결은 남해 먼바다에서 2.0∼5.0m, 동해 먼바다에서 1.5∼5.0m, 서해 먼바다에서 1.0∼4.0m로 매우 높게 인다. 동해 남부 해상과 남해 상, 제주도 해상에 풍랑특보가 발효 중인 가운데 다른 해상에도 풍랑특보가 확대할 가능성이 있으니 항해나 조업시 유의해야 한다. 이날 미세먼지 농도는 '좋음'∼'보통' 수준으로 예보됐다. 연합뉴스

경칩 하루 앞두고 전국 눈·비…강원산지 20㎝ 폭설 예보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6일)을 하루 앞둔 월요일인 5일 전국에 걸쳐 비나 눈이 내리고 있다. 이날 오전 5시 현재 전국에 내리는 비·눈은 오후에 그칠 것으로 예보됐다. 예상 강수량은 강원 영동·전남·영남·제주에서 5∼20㎜, 제주 산지 10∼40㎜, 서울·경기·강원 영서·충청·전북 5㎜ 안팎이다. 기상청은 "해빙기 녹은 땅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낙석, 축대 붕괴 등 안전사고가 우려돼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강원과 경기 중부지방 일부 지역에서는 눈이 내릴 전망이다. 강원 영동과 경북 북동 산지에는 5∼10㎝, 강원 영서와 경북 북부에는 2∼5㎝, 경기 동부·충북 북부·경북 남부·경남 북부에는 1㎝ 안팎으로 눈이 쌓이겠다. 강원 산지에는 20㎝ 이상의 폭설이 예보됐다. 현재 강원 북부·중부 산지에는 대설경보가 발효 중이다. 주말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포근한 날씨를 보였지만, 눈·비의 영향으로 기온이 다시 대폭 내려갔다. 낮 최고기온은 2∼12도의 분포를 보이겠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 먼바다에서 2.0∼6.0m, 남해 먼바다에서 1.5∼6.0m, 서해 먼바다에서 2.0∼4.0m로 매우 높게 인다. 영남 동해안에는 강풍 주의보가, 동해 남부·중부 앞바다에는 풍랑 경보가 내려져 있다. 해상에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매우 높게 이는 가운데 짙은 안개도 낄 전망이어서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기상정보에 신경 써야 한다. 미세먼지 농도는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북, 전북은 '보통', 그 밖의 지역은 '좋음' 수준의 농도를 보일 것으로 예보됐다. 연합뉴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