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분’ 꽃샘추위에 전국 눈·비…강원 산간 최대 20㎝ 폭설

춘분(春分)이자 수요일인 21일은 대체로 흐린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눈이나 비가 내리겠다. 이날 오전 4시 기준으로 충남 일부 지역과 전북 내륙·경상도·제주도 산지에는 대설 특보가 내려졌고 밤사이 대전에는 2.6㎝, 대구 1.0㎝, 광주 0.6㎝의 눈이 쌓인 상태다. 기상청은 다음날 새벽까지 강원 산지와 경북 북동산지에는 5∼20㎝, 강원 동해안·경북(북동산지 제외)·경남 서부 내륙·전북 동부 내륙·제주도 산지에는 3∼10㎝의 많은 눈이 올 것으로 예상했다. 서울과 경기, 강원 영서 등은 이날 낮에 약하게 빗방울이 떨어지는 곳도 있다. 예상 강수량은 강원 영동·경상 해안에는 10∼30㎜, 서울·경기·강원 영서는 5㎜ 안팎이다.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1.3도, 인천 1.7도, 수원 2도, 춘천 1도, 강릉 1.9도, 청주 1.6도, 대전 0도, 전주 0.2도, 광주 0.9도, 제주 4.3도, 대구 0도, 부산 1.8도, 울산 1.7도, 창원 0.8도 등이다. 낮 최고 기온은 1∼6도로 전날보다 3∼7도 떨어지겠다. 기상청은 찬 공기가 유입돼 당분간 평년보다 기온이 낮고 바람까지 약간 강하게 불면서 '꽃샘추위'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남해안과 동해안, 제주도에서는 바람이 강하게 불어 시설물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당분간 대부분 해상에서 바람이 강하게 불고 물결이 높게 일 것으로 관측된다. 서해 앞바다의 파고는 0.5∼2.5m, 남해 앞바다는 1.0∼5.0m, 동해 앞바다는 2.0∼6.0m로 각각 예상된다. 미세먼지 농도는 전 권역에서 '좋음' 수준을 보이겠다. 연합뉴스

기온 낮고 찬바람에 체감온도 ‘뚝’…제주·남해안 눈·비

화요일인 20일 전국에 가끔 구름이 많고 바람이 다소 불면서 기온이 떨어진다.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4.1도, 인천 5.1도, 수원 5도, 춘천 3.4도, 강릉 4.1도, 청주 5.4도, 대전 5.7도, 전주 8도, 광주 7.2도, 제주 9.4도, 대구 5.5도, 부산 6도, 울산 5.7도, 창원 6.5도 등이다. 낮 최고기온은 전날보다 2∼5도가량 낮은 3∼12도로 예상됐다. 서울 낮 최고기온은 9도로 예측됐다. 낮부터 북동쪽에서 찬 공기가 유입돼 평년보다 기온이 낮겠고, 바람까지 불어 체감온도는 더 떨어져 쌀쌀하겠다. 건강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제주도에는 이튿날까지 10∼40㎜가량 빗방울이 떨어진다. 제주도 산지의 경우 눈이 오는 곳도 있겠다. 전남과 경남 남해안에도 이날 밤부터 비나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눈과 비는 이튿날인 21일 전국으로 확대한다. 바다의 물결은 남해 먼바다에서 3.0∼6.0m, 동해 먼바다에서 2.0∼6.0m, 서해 먼바다에서 1.0∼4.0m로 인다. 서해 중부 해상을 제외한 모든 해상에 풍랑특보가 발효될 만큼 바람이 매우 강하고 물결이 매우 높다. 항해나 조업을 할 경우 최신 기상정보에 유념해야 한다. 전남 남해안과 경상도 해안·제주도에 강풍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이튿날까지 남해안·동해안·제주도 대부분에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겠다. 강풍 피해에 대비한 시설물 관리가 필요하다. 동해안에서는 너울성 파도가 해안도로나 방파제를 넘는 곳이 있겠다. 해안가 안전사고에 대비해야 한다. 연합뉴스

전국 꽃샘추위…찬 바람 ‘쌩쌩’·낮 기온 ‘쌀쌀’

19일 오후 들어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곳에 따라 비가 내리는 가운데 찬 바람까지 세차게 불어 쌀쌀한 날씨를 보이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현재 하루 누적 강수량은 통영 39.6㎜, 진주 36.9㎜, 부산 34.7㎜, 포항 33.2㎜, 서귀포 34.5㎜ 등으로,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30㎜를 웃돌았다. 기상청 관계자는 "남해상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이 흐리다"며 "현재 수도권 일부 지역에도 강우가 감지되고 있지만, 주로 충청 이남 지역에서 비가 내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국적으로 옷깃을 여미게 하는 찬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다. 지역별 풍속(초속)은 현재 인천 8.4m, 춘천 5.0m, 동해 5.5m, 충주 6.0m, 천안 6.9m, 남원 6.7m, 여수 7.7m, 포항 6.6m 등으로 돌풍에 버금가는 바람 세기다. 서울에서도 무인 자동기상관측망(AWS) 기준으로 강남 6.2m, 구로 7.1m, 동대문 5.6m, 용산·한강 6.6m 등 곳에 따라 강한 바람이 불고 있다. 이에 따라 울릉도와 독도, 경남 통영·거제, 부산, 울산, 경북 일대에 강풍주의보가 발효 중이고, 전남과 제주에는 강풍 예비특보가 발표됐다. 기상청 관계자는 "남해 쪽 저기압과 북쪽 고기압 사이에 있는 우리나라에는 등압선이 조밀하게 형성돼 바람이 세게 불고 있다"며 "북쪽 찬 공기가 밀려 내려오면서 바람이 매우 차다"고 설명했다. 찬 바람은 20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아침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지만, 낮에는 북동쪽에서 찬 공기가 들어오면서 평년보다 기온이 낮고, 바람도 강하게 불어 체감온도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남해 상에 있는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지나면 모레 다시 남쪽에 저기압이 형성될 것"이라며 "모레 저기압이 발달하면 중북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 비나 눈이 또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아침부터 전국 곳곳 미세먼지 ‘혼탁’…“오후 점차 해소”

13일 아침 전국 곳곳에서 미세먼지가 대기를 혼탁하게 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현재 경기도의 초미세먼지(PM-2.5) 일평균 농도는 70㎍/㎥로, '나쁨'(51∼100㎍/㎥)에 해당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이 치솟았다. 서울 62㎍/㎥, 대구 59㎍/㎥, 인천 56㎍/㎥, 울산 53㎍/㎥, 강원 60㎍/㎥, 충북 59㎍/㎥, 전북 54㎍/㎥, 경북 57㎍/㎥ 등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곳이 '나쁨' 수준의 농도를 기록 중이다. 특히 서울(용산구 110㎍/㎥), 인천(고잔동 118㎍/㎥), 경기(원시동 139㎍/㎥) 등 수도권과 강원(춘천시 중앙로 125㎍/㎥), 전북(익산시 팔봉동 115㎍/㎥)에서는 한때 PM-2.5 시간당 농도 최고치가 '매우 나쁨'(101㎍/㎥ 이상)을 기록했다. 같은 시각 PM-2.5보다 지름이 다소 큰 PM-10 농도도 서울 94㎍/㎥, 대구 88㎍/㎥, 대전 81㎍/㎥, 경기 96㎍/㎥, 강원·충북 85㎍/㎥, 경북 90㎍/㎥ 등 곳곳에서 '나쁨'(81∼150㎍/㎥) 상태를 보였다. 서울과 경기 동부·남부권, 강원 춘천·원주권, 전북 완주권에는 전날에 이어 이 시각까지도 PM-2.5 주의보가 발령된 상태다. 춘천권에는 PM-10 주의보도 발령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대부분 권역에서 대기 정체로 인해 농도가 높아진 것으로 파악했다. 오후 들어 대기 확산이 원활해지면서 점차 '보통' 수준으로 농도가 낮아질 것으로 국립환경과학원은 예상했다.연합뉴스

미세먼지 없고 포근…일교차 커 건강관리 ‘주의’

화요일인 13일 중부지방은 가끔 구름이 많겠고 남부지방은 대체로 맑을 전망이다. 중부 서해안과 경기 북부, 강원 영서 북부에는 새벽부터 아침 사이 산발적으로 빗방울이 떨어지는 곳이 있겠다. 오전 5시 현재 전국 주요 지역의 수은주는 서울 6.8도, 인천 8.5도, 수원 5.6도, 춘천 1도, 강릉 13.3도, 청주 3.5도, 대전 3.1도, 전주 9.1도, 광주 6.7도, 제주 10.1도, 대구 5.7도, 부산 10도, 울산 7도, 창원 5.6도 등을 가리키고 있다. 낮 최고기온은 15∼22도로 전날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당분간 남서풍이 유입되면서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내륙을 중심으로 밤낮의 기온 차가 커 건강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미세먼지 농도는 전국 모든 권역이 '보통' 수준을 보일 것으로 국립환경과학원은 내다봤다. 다만 수도권과 충북·충남·전북·영남권은 오전에 '나쁨' 수준의 농도가 나타날 수 있다. 강원영동 지역은 오후부터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겠고 다른 해안과 일부 내륙에도 바람이 강하게 부는 곳이 있어 시설물관리에 조심해야 한다. 서해안과 중부 내륙에는 오전까지 안개가 짙게 끼는 곳이 많겠고, 그 밖의 남부 내륙에도 안개가 끼는 곳이 있겠으니 교통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서해상과 남해상에도 안개가 끼는 곳이 많아 항해·조업하는 선박은 주의가 필요하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 앞바다에서 0.5∼2m, 동해 먼바다에서 1∼3m로 일겠다. 서해·남해 앞바다와 먼바다의 파도 높이는 각각 0.5∼1m, 0.5∼1.5m다. 연합뉴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