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층의 소비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소비자불만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고령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최근 3년간 60대 미만 소비자의 상담은 연평균 6.0% 감소하는데 반해 60대 이상 고령소비자의 상담은 3.5% 증가했다고 8일 밝혔다. 금융활동의 연평균 증가율이 15.3%로 가장 높았고, 패션미용(14.2%), 생활가전(2.3%), 건강의료식품(0.2%)이 뒤를 이었다. 정보통신과 여가활동 품목군은 고령소비자의 상담이 각각 4.1%, 4.3% 감소했다. 최근 3년간 연평균 증가율을 보면 금융활동은 투자자문(컨설팅)(211.5%) 및 주식(120.8%), 패션미용은 원피스(64.3%), 생활가전은 안마의자(28.0%), 건강의료식품은 헬스장휘트니스센터(25.4%), 정보통신은 인터넷정보이용서비스(36.3%), 여가활동은 국외여행(2.1%)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품목군 내에서 상담이 가장 많았던 품목은 상조서비스(6천679건/금융활동), 의류섬유(2천188건/패션미용), 정수기대여(3천175건/생활가전3), 건강식품(4천715건/건강의료식품), 이동전화서비스(8천245건/정보통신), 국외여행(4천198건/여가활동)이었다. 품목별 주요 불만 유형은 투자자문(컨설팅)과 주식, 헬스장휘트니스센터, 국외여행, 인터넷정보이용서비스의 경우 계약해제해지와 관련한 소비자상담이 많았고, 의류섬유는 교환 및 환급 지연거부, 안마의자는 기능 미흡 및 작동불량으로 인한 소비자불만이 많았다. 또한, 이동전화서비스는 서비스 불만, 상조서비스는 연락두절 및 폐업, 건강식품은 상술 관련 불만, 정수기대여는 AS 및 서비스 불만이 많았다. 연평균 증가율은 전자상거래 상담이 51.2%로 가장 높았고, 전화권유판매(24.5%), 방문판매(4.5%) 순이었다. 판매방법별 접수 건수는 전화권유판매가 9천753건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투자자문(컨설팅), 주식 관련 상담의 급속한 증가가 원인으로 분석됐다. 한편, 전자상거래에서는 국외여행이, 방문판매에서는 상조서비스가 최근 가장 많이 접수됐다. 남성 고령소비자의 상담 비율은 56.8%로 여성(43.2%)보다 많았고, 이는 남성(42.8%)이 여성(57.2%)보다 적은 60대 미만 소비자와는 정반대의 결과이다. 여가활동, 금융활동에서는 남성 고령소비자의 비율이 여성보다 각각 26.4%p, 23.6%p 높았고, 패션미용에서는 여성이 30.4%p 높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맞춤형 정보를 생산제공하여 각 광역시도 지자체별 고령소비자 시책 마련 및 피해 예방 활동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민현배기자
소비자·유통
민현배 기자
2020-05-08 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