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5곳 중 4곳 "구직자들 눈이 너무 높아"

국내 중소기업 5곳 중 4곳이 제 때에 적합한 인력을 확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구직자들의 눈높이가 너무 높다는 의견이 많았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직원 300명 미만인 국내 중소기업 152곳의 채용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 기업의 83.6%가 적시에 직원을 채용하지 못해 현재 인력부족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인력부족을 겪고 있는 직무분야에 대한 복수 응답 중에는 생산현장직이 33.1%로 가장 많았고, IT정보통신 25.2%, 국내영업 20.5%, 연구개발18.1% 순이었다. 이처럼 인력수급이 어려운 원인(복수응답)에 대해서는 구직자들의 눈높이가 너무 높다는 답이 56.6%였다. 구직자들이 연봉이나 복리후생에 대해 지나치게 높은 기대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기업의 낮인 인지도(37.5%), 낮은 연봉수준 27.0%, 상대적으로 넓은 업무영역15.1%, 근무환경 13.8% 순이었다. 이 때문에 중기 채용담당자는 직원 채용 시 필요한 능력을 갖춘 지원자를 찾기가 어렵다(44.7%)고 여기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또 전체 지원자 규모가 적다(19.7%)고 판단했다. 이 밖에 겪는 어려움으로는 채용 후 얼마 안 돼 퇴직하는 직원으로 채용업무가 너무 빈번하다(18.4%), 지원자들의 희망연봉 수준이 높다(13.2%) 등이 있었다.

두산중공업, 한전과 UAE 원전설비 공급계약

두산중공업(사장 박지원)은 "1일 한국전력공사와 40억 달러 규모의 아랍에미리트(UAE) 원전용 주기기 설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는 두산중공업이 수주한 규모중 사상 최대 금액이다. 아랍에미리트원자력공사(ENEC)에서 발주한 UAE 원전 프로젝트는 아부다비 인근에 1400MW급 4기의 원전을 건설하는 공사로, 2017년부터 순차적으로 준공 예정이다. 두산중공업은 이번 프로젝트에 우리나라가 독자 개발한 제3세대 원전 노형인 APR 1400 (Advanced Power Reactor 1400)의 원자로, 증기발생기 등 주요 원자로설비와 터빈 설비를 자체 기술로 설계, 제작해 공급하게 된다. 박지원 사장은 "정부와 원전 산업계가 힘을 합쳐 원전을 수출전략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며 "한국형 원전의 첫 해외 수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향후 국가적인 원전 수출 확대 노력에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은 지난 1986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영광 원전 1호기를 시작으로 국내 원전 23기의 원전설비를 공급하거나 제작 중에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중국, 미국 등 해외 원전 시장에 진출해 2007년 중국 최초의 제3세대 신형 원전(미국 웨스팅하우스사의 AP 1000 노형)인 산먼, 하이양 원전의 원전설비를 수주한 데 이어 2008년 미국에서 발주된 신규 원전 6기(AP 1000)의 원전설비를 전량 수주 한 바 있다. 두산중공업은 현재 연 3.5기의 원전주기기 공급 능력을 2012년까지 연 5기로 확대하기 위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세종시 땅 샀던 건설사 "수정안이든 원안이든 …"

"수정안이든 원안이든 상관없습니다. 토지 가격만 깎아 달라는 겁니다" 29일 세종시 수정안이 폐기됐다는 소식에도 세종시에 아파트 용지를 사두었던 건설사들의 반응은 대체로 덤덤했다. 세종시 사업이 원안으로 가든지 수정안으로 가든지 아파트 분양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는 별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세종시에 아파트를 짓기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로부터 공동주택용지를 사들인 건설사들은 10개 업체로 이들 업체들은 88만 1,000m에 당초 1만 2천여 가구를 지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정권교체에 이어 지난 1월 세종시 수정안이 발표되면서 건설사들은 세종시 사업을 '올스톱'한 채 토지 중도금과 연체이자도 납부하지 않고 있다. 물론 건설사 입장에서는 공공기관보다 기업체가 입주하는 '수정안'이 아파트 분양에 유리하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공공기관보다는 규모가 큰 기업이 입주하는게 아파트 수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수정안이 원안보다 나았던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주택경기가 침체에 빠진 지금으로서는 성공적인 분양을 기대할 수 없고 설사 분양이 되더라도 그동안의 사업지체 등을 감안한다면 정부의 보상이 필요하다는게 건설사들의 공통된 입장이다. 즉 토지대금을 깎아주고 연체이자도 탕감해달라는 것이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현 상태로 간다면 세종시의 사업성은 희박하다"며 "토지대금을 인하해야 건설사로서는 사업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건설사별로 차이점은 있겠지만 대체적인 입장은 비슷하다"며 "토지대금과 관련해 건설사들이 공동대응을 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밝혔다. 다른 건설사 관계자도 "세종시 수정안의 경우 입주기업에게는 싼 값에 원형지를 공급했다"면서 "형평성 차원에서라도 건설사들의 토지대금을 인하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