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 청평댐 발전 용량 증설

가평 청평댐에 수차 발전기가 증설돼 수도권 동북부지역에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됐다.8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청평수력발전소는 최근 800억원을 들여 6만㎾ 용량의 4호 발전기를 증설했다. 지난 1943년 12호기(각 1만9천800㎾), 1968년 3호기(4만㎾)가 설치된 데 이어 44년만이다. 이번 증설로 청평댐의 순간 최대 발전용량은 7만9천600㎾에서 13만9천600㎾로 늘어나 한강수계 5개 댐 가운데 가장 큰 발전용량을 갖추게 됐다. 한강수계 팔당댐은 순간 최대 발전용량이 12만㎾, 화천댐과 춘천댐, 의왕댐은 각각 10만㎾, 6만㎾, 4만5천㎾다. 청평댐은 남양주 덕소변전소 등을 통해 경기 동북부와 서울 일부 지역에 전기를 공급하고 있으며, 이번 증설로 2만 가구에 추가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됐다.이번에 설치된 4호기는 댐 오른쪽 야산에 터널을 뚫고 수로를 만드는 방식으로 댐 하류지점에 설치돼 여름철 집중호우 때도 방류수를 그냥 흘려보내지 않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또 청평댐은 4호기 증설로 유엔(UN) 청정개발사업에 등록돼 탄소배출권을 판매할 수 있다.한국수력원자력 측은 발전 수익 이외에 10년간 47억원의 추가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영록 청평수력발전소장은 청평댐은 4호 발전기를 증설해 한강수계에서 가장 큰 발전용량을 갖췄다며 겨울철 전력난 해결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가평=고창수기자 chkho@kyeonggi.com

46번 경춘국도 불법광고물 단속 시급

46번 경춘국도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에서 가평읍 구간 국도변 도로에 설치된 불법 광고물의 난립으로 관광가평의 이미지를 훼손시키고 있어 단속이 시급하다. 8일 주민들에 따르면, 46번 국도인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 군계지역부터 가평읍 도계구간의 식당을 비롯 학원 등 각종 영업장소를 홍보하는 수백개의 현수막과 간판들이 관계기관의 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설치되어 있어 시급한 단속이 요구되고 있다. 더욱 국도변 간판 설치 허가와 단속은 의정부 국도유지관리사무소에서 처리 하여야 하나 단속기관이 먼 거리에 있어 단속의 손길이 미치지 못 하고 있다. 실제로 청평면 상천리 소재 기숙학원의 경우 학원을 홍보하는 간판이 대성리에서 상천 현지까지 무려 8개가 불법으로 설치하여 이곳을 운행하는 관광객 및 주민의 눈살을 찌프리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불법간판의 설치 허가 및 단속을 위해서는 해당지자체의 권한을 이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국도를 관리 하고 있는 의정부국도 유지관리사무소가 권한을 이관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모씨(48 가평읍)는 매일 가평에서 서울까지 자가용을 이용 출퇴근을 하면서 가평군계 지역인 대성리부터 청평, 가평까지 이어지는 경춘국도에 각종 현수막을 비롯 크고 작은 간판들이 난립해 있어 맑고 깨끗한 관광 가평의 이미지를 훼손시키고 있다 며 관계 기관의 시급한 단속이 필요하다 고 말했다. 이에 대해 가평군 및 의정부 국도유지관리 사무소 관계자는 현재 국도상에 설치되어 있는 광고물 대다수가 불법광고물인 것은 사실이나 경춘국도가 관리청으로부터 원거리에 있고 단속인력 부족으로 제때 단속하지 못 하고 있다 며해당지자체와 협조하여 빠른 시일에 철거하겠다고 말했다.가평=고창수기자chkho@kyeonggi.com

가평 두릅재배 농가 ‘밑지며 판매’ 울상

가평지역 농가들이 농한기에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고 있는 두릅이 원자재 가격 및 유류비 인상으로 수익성이 저하되면서 농가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7일 가평지역 두릅재배 농가들에 따르면 상면의 일부 농가들은 겨울철 농한기 영농사업으로 국내 야산에서 자생하고 있는 두릅나무를 채취, 12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300여㎡ 규모의 비닐하우스에서 두릅을 생산해 한해 6천여만원의 농가소득을 올려왔다.이와 같이 두릅재배가 겨울철 농한기 영농사업으로 각광받으면서 가평읍 북면지역까지 두릅재배가 확산돼 지난 2005년에는 관내 100여개 농가가 모여 두릅 작목반까지 결성했다.그러나 최근 재배농가의 증가와 국내산 자생두릅나무의 소멸로 두릅 생산을 중국산 묘목수입에 의존하게 되면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난방유와 운반비, 포장지, 배송료 등이 치솟아 농가들은 두릅을 생산해 원가에도 못미치는 가격에 팔고 있는 실정이다.실제로 지난해 중국산 두릅 묘목은 1주당 140원으로, 여기에 난방비, 유류대, 포장지, 운반비, 배송료 등을 포함하면 원가는 1주당 230원에 달한다. 농민들은 이렇게 생산한 두릅을 7~8개묶음으로 포장해 1천500원에 가락시장 도매상에 팔고 있다. 1묶음당 300원 이상 손해를 보는 셈이다.농민 황모씨(40)는 지난 2007년부터 중국에서 두릅 묘목을 수입해 재배해 왔으나, 지난해 묘목 가격이 2배 넘개 뛰었다며 여기에 난방유와 운반비, 포장지, 배송료까지 올라 생산비조차 제대로 건지지 못하고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가평군 명지산 두릅 작목반 한철호 반장은지자체에서 산채농가의 새로운 소득 작목이 될 수 있도록 생산은 물론 가공유통을 패키지화하는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가평=고창수기자 chkho@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