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솔릭' 남해안 접근…한국형 발사체 시험발사 연기되나

제19호 태풍 '솔릭' 영향으로 한국형 발사체 시험발사 일정이 늦춰질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21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따르면 연구진은 오는 10월 시험발사를 앞두고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 서 있는 발사체를 다시 눕힐지 검토하고 있다. 고흥지역이 솔릭 길목에 놓인 것으로 예보됐기 때문이다. 초속 30∼50m 바람이 불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서 발사체를 기립한 채 강풍에 그대로 노출할 이유는 없는 것으로 항우연 연구진은 보고 있다. 항우연 관계자는 "오늘(21일) 오후에 발표하는 기상청 태풍 특보를 보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것"이라며 "외부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사체를 아예 실내(발사체종합조립동)로 옮겨둘 수도 있다"고 전했다. 항우연은 앞서 지난 14일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 시험 발사체를 장착했다. 이후 하늘을 향해 세운 상태에서 발사대와의 연동 체계를 점검하고 다양한 시험을 진행해 왔다. 이 시험 발사체는 3단으로 구성될 한국형발사체 중 가운데 부분인 2단부에 해당하는 모델이다. 몸집은 길이 25.8m에 중량 52.1t에 이른다.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75t급 엔진이 달렸다. 최종적으로 2021년 발사 목표인 한국형발사체 1단부에는 이 75t급 엔진 4개가 묶여 들어간다. 이번 시험발사는 75t급 엔진 비행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진행한다. 지난달에는 실제 비행시간과 동일하게 154초 동안 엔진을 가동하는 종합 연소시험까지 성공적으로 마쳤다. 발사체를 다시 조립동으로 옮기게 되면 시험발사 일정은 몇주 더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발사체 이동, 장착, 기립, 시험 등 절차를 다시 밟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항우연은 내부 논의를 거쳐 발사 날짜를 신중하게 고를 방침이다. 항우연 관계자는 "(기립한 상태에서) 테스트는 4∼5주가량 진행한다"며 "시험발사를 안정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꼼꼼히 살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태풍 솔릭 경로, 한반도 상륙 23일 예상…위치는 유동적

제19호 태풍 솔릭(SOULIK)의 이동 경로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오는 23일께 한반도에 본격적으로 상륙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위치가 유동적일 수 있어 기상정보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20일 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솔릭은 오전 9시 기준 일본 가고시마 남동쪽 약 850km 부근 해상에 위치하고 있다. 서북 방향으로 이동 중인 솔릭은 22일 서귀포 남쪽 해상을 지나 오는 23일 목포 북동쪽에 위치하는 경로를 그리고 있다.태풍 솔릭의 강도는 아직 '강'이지만 북진하면서 차차 약해질 것으로 보인다. 예상 경로대로라면 한반도를 정면으로 강타할 것으로 보이지만,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에 따라 서해안으로 진행할 가능성도 있다.솔릭이 한반도를 강타할 경우, 오는 24일에는 북한 청진 지역까지 북상할 전망이다. 이후 25일에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북동쪽 약 410km 부근 육상으로 이동해 차츰 세력이 약해질 것으로 보인다.기상청은 "솔릭은 120시간 이내에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4, 5일 후 태풍 위치가 유동적일 수 있으니 이후 발표되는 기상정보에 유의바란다"고 전했다.한편, 태풍 솔릭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전설속의 족장을 칭한다.장영준 기자

태풍 ‘솔릭’ 한반도 향해 북진 중…“한국 막심한 피해 가능성”

제19호 태풍 '솔릭'이 일본 남부 해상에서 한반도를 향해 북진하고 있다. 20일 기상청에 따르면 나흘 전 괌 부근에서 발생한 '솔릭'은 이날 오전 9시 현재 일본 가고시마 남동쪽 850㎞ 부근 해상으로 이동한 상태다. 강한 중형급 태풍인 '솔릭'의 중심기압은 960hPa(헥토파스칼)로 강풍의 반경은 340㎞에 달한다. 현재 시속 19㎞로 이동 중인 이 태풍은 수요일인 22일 오전 9시께 제주 서귀포 남쪽 270㎞ 해상을 거쳐 목요일인 23일 오전 9시께 전남 목포 북북동쪽 20㎞ 부근 육상을 지날 것으로 예보됐다. 이후 우리나라를 관통해 금요일인 24일 오전 9시께 북한 함경북도 청진 동남동쪽 100㎞ 부근 해상에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에 따라 서해안으로 진행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태풍이 우리나라를 관통하면 2012년 9월 '산바' 이후 약 6년 만이다. 2016년 9월에는 '차바'가 제주와 경남 거제에 상륙했지만, 방향이 꺾이면서 스친 수준이었다. '솔릭'이 접근함에 따라 22일 오후 제주도를 시작으로 23∼24일에는 전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제주도와 남해안은 매우 강한 비와 순간 최고 풍속이 초속 40m에 달하는 강한 바람이 예보됐다. 윤기한 기상청 사무관은 "우리나라에 폭우나 강풍, 풍랑에 따른 막심한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태풍 솔릭 한반도 상륙…철저한 대비 필요

제19호 태풍 ‘솔릭’이 한반도를 관통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철저한 대비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태풍 솔릭이 가져올 많은 비가 가뭄을 해소하는 데는 도움이 되겠지만, 남쪽의 습하고 더운 공기도 같이 끌고 와 무더위가 다시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19일 기상청에 따르면 사흘 전 괌 주변에서 발생한 ‘솔릭’은 이날 오후 3시 기준으로 일본 가고시마 남동쪽 약 1천80㎞ 부근 해상으로 이동한 상태다. 중심기압 955hPa(헥토파스칼)인 ‘솔릭’은 현재 시속 12㎞로 서북서 방향으로 이동 중이다. 이 태풍은 수요일인 오는 22일 오전 9시께 가고시마 서남서쪽 280㎞ 부근 해상을 지나 다음 날 오전 9시께 전남 여수 북북동쪽 60㎞ 부근 육상에 상륙,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후에는 우리나라 내륙 지방을 따라 북상한 뒤 북한 함경북도 청진 동남동쪽 40㎞ 부근 해상을 지날 것으로 전망이다. 6년 만에 한반도 내륙지방에 상륙하는 이번 태풍으로 인해 전국 대부분의 지역이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 들어갈 것으로 보이면서 비바람 피해가 크게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더욱이 이번 솔릭과 비슷한 경로와 위력으로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으로는 지난 2002년 태풍 루사(RUSA)가 꼽히는데, 당시 루사는 사망·실종 246명, 이재민 8만 8천여 명, 재산피해 5조 1천429억 원이라는 엄청난 피해를 남겨 역대 최악의 태풍으로 기록됐다. 그만큼 이번 솔릭이 북상함에 따라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또 이번 태풍이 남쪽의 습하고 더운 공기를 같이 끌고 오면서 주춤하던 폭염도 다시 활개를 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 관계자는 “이번 태풍이 ‘어디에서 상륙해 어디로 빠져나갈 것’이라고 단정적으로 전망할 수 없지만 6년여 만에 한반도에 태풍이 상륙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철저한 대비태세가 필요하다”면서 “이번 태풍은 남쪽의 습하고 더운 공기도 같이 끌고 와 태풍과 함께 무더위가 다시 시작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김승수기자

태풍 '솔릭' 한반도 관통할 듯…"6년만의 태풍상륙 대비해야"

제19호 태풍 '솔릭'이 한반도를 관통해 피해를 줄 가능성이 제기됐다. 태풍이 우리나라에 상륙하는 것은 사실상 6년 만이어서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19일 기상청에 따르면 사흘 전 괌 주변에서 발생한 '솔릭'은 이날 오전 9시 현재 일본 가고시마 남동쪽 1천100㎞ 부근 해상으로 이동한 상태다. 발생 초기 강도는 '약'이고 크기는 소형이던 '솔릭'은 현재 강도 '강', 크기 중형으로 성장한 상태다. 중심기압 955hPa(헥토파스칼)인 '솔릭'은 현재 시속 12㎞로 서북서 방향으로 이동 중이다. 이 태풍은 수요일인 22일 오전 9시께 가고시마 서남서쪽 280㎞ 부근 해상을 지나 다음 날 오전 9시께 전남 여수 북북동쪽 60㎞ 부근 육상에 상륙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는 우리나라 내륙 지방을 따라 북상한 뒤 북한 함경북도 청진 동남동쪽 40㎞ 부근 해상을 지날 것으로 예보됐다. 당초 '솔릭'은 제주도 동쪽 해상을 지나 동해 쪽으로 빠질 것으로 관측됐지만, 동쪽에 자리 잡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으로 이보다 서쪽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보가 수정됐다. 유희동 기상청 예보국장은 "태풍 예보는 항상 보완해야 하므로 현재 예보도 조정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현시점에서 '어디에서 상륙해 어디로 빠져나갈 것'이라고 단정적으로 전망할 수 없다"고 말했다. 태풍이 우리나라를 관통하는 것은 사실상 2012년 9월 '산바' 이후 약 6년 만이다. 2016년 9월에는 '차바'가 제주와 경남 거제에 상륙했지만, 방향이 꺾이면서 스친 수준이었다. '솔릭'이 한반도에 상륙하면 가뭄과 녹조 현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풍랑과 폭우, 강풍 등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윤기한 기상청 사무관은 "강한 태풍이 우리나라를 관통하면 이점보다는 단점이 많다"며 "사실상 6년 만의 관통인 데다 결코 약한 태풍이 아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솔릭'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전설 속의 족장을 일컫는다. 한편, 전날 오후 9시께 괌 동쪽 1천20㎞ 부근 해상에서는 제20호 '시마론'이 발생했다. 이 태풍은 일본 쪽으로 향할 전망이지만,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연합뉴스

제19호 태풍 '솔릭' 다음 주 우리나라 직접 영향 줄 수도

제19호 태풍 '솔릭'이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됐다. 18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틀 전 괌 주변에서 발생한 '솔릭'은 이날 오후 3시 현재 일본 가고시마 남동쪽 약 1천190㎞ 부근 해상으로 이동한 상태다. 발생 초기 강도는 '약'이고 크기는 소형이던 '솔릭'은 현재 강도 '강', 크기 중형으로 성장한 상태다. 중심기압 960hPa(헥토파스칼)인 '솔릭'은 현재 시속 6㎞로 북진 중이다. 이 태풍은 수요일인 22일 오후 3시께 제주 서귀포 동남동쪽 280㎞ 부근 해상을 지나 다음 날 오후 3시께 부산 동북동쪽 약 170㎞ 부근 해상을 지날 예정이다. 유희동 기상청 예보국장은 "현재 분석으로는 23일 오전 대한해협을 통과할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동쪽에 자리 잡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이 감지돼 이 예상보다 더 서쪽으로 밀릴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 경우 한반도는 '솔릭'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앞서 올여름 발생한 태풍은 한반도 상공의 견고한 고기압에 가로막혀 번번이 우리나라를 비껴갔다. '솔릭'이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경우 가뭄과 녹조 현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태풍 피해가 발생할 여지도 있다. '솔릭'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전설 속의 족장을 일컫는다. 연합뉴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