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 신도시 인근 35개 도로·철도 등 광역교통망이 2035년까지 구축된다. 국토교통부는 19일 ‘1기신도시 이주지원 및 광역교통 개선 방안’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번 광역교통 개선방안은 서울에에 비해 저조한 1기 신도시 5곳(분당, 일산, 평촌, 산본, 중동)의 대중교통 수단 분담률을 끌어올리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서울시의 대중교통 수단 분담률은 56.8%이며 분당 41.2%, 일산 35.9%, 평촌 45.5%, 산본45.4%, 중동 37.2%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1기 신도시가 서울의 위성도시로 계획돼 교통망이 서울 방면에 집중돼 있으며 선입주 후교통에 따라 대중교통 수단 분담률이 저조하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저조한 대중교통 수단 분담률을 확대하기 위해 국토부는 3단계에 걸쳐 1기 신도시 광역교통 개선방안을 추진한다. 1단계로 1기 신도시 인근에 추진 중인 35개 도로‧철도 사업을 신도시 정비 전(2035년)까지 적기 준공한다. 이정희 대광위 광역교통정책국장은 "사업 적기 준공만으로도 일정 수준의 혼잡도 완화가 있다는 것을 교통연구원과 확인했다"며 "지방자치단체에서 건의 사업 40건도 받아 검토하고 있기에 추가 교통 방안도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2단계로 대중교통 편의를 높이기 위해 주요 성남역(분당), 킨텍스역·대곡역(일산), 금정역(평촌·산본) 등 주요 광역 교통거점에는 환승센터를 설치한다. 또 환승센터 설립 시기에 맞춘 도심트램을 연결할 방침이다. 마지막 3단계에서 지자체가 건의한 사업에 대해 1기 신도시 연관성, 사업계획 구체성, 실현 가능성 등을 고려해 제5차 광역교통시행게획과 제5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등 상위 교통 계획에 반영을 검토한다. 한편, 1기 신도시 정비에 따른 이주지원 방안으로 1기 신도시 내외의 유휴부지를 활용 공공·민간주택 7만7천호 신규 공급도 발표됐다. 신규 공급 주택은 2029년까지 분당 신도시 내 성남아트센터와 중앙도서관 사이에 위치한 유휴부지에 1만5천호의 공공주택과 산본·평촌 신도시 인접 LH 비축완료 부지에 2만2천호의 민간분양주택 등을 공급할 예정이다. 또 신규 유휴부지 2곳에 대한 관련 지자체 협의를 진행 중이며 해당부지 활용 시 4천호 이상의 주택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있다.
경제일반
안형철 기자
2024-12-19 1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