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 겨울 스포츠축제’ 폐막…한국, 2회 연속 종합 2위 [하얼빈 AG]

‘아시아인들의 겨울스포츠 축제’ 제9회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이 8일간의 열전을 마무리하고 4년 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다시 만날 것을 기약했다. 코로나19 여파로 8년 만에 열린 이번 대회는 14일 오후 중국 하얼빈의 국제컨벤션전시스포츠센터서 폐회식을 갖고 석별의 정을 나누며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한국은 이번 대회서 금메달 16개, 은메달 15개, 동메달 14개를 따내 개최국 중국(금32 은27 동26)에 이어 2회 연속 종합 2위 목표를 달성했다. 3위는 일본(금10 은12 동15)이 차지했다. 북한은 은메달 1개로 7위에 올랐다. 대한민국 선수단의 메달 가운데는 경기도 소속 선수가 금메달 13개, 은메달 7개, 동메달 6개로 절반이 넘는 메달 획득으로 종합 2위 수성의 견인차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경기도 소속으로는 쇼트트랙 ‘여제’ 최민정(성남시청)이 혼성 2천m 계주와 500m, 1천m에서 금메달을 획득해 3관왕에 올랐고, 역시 혼성계주서 금메달을 합작한 장성우(화성시청)와 김길리(성남시청)가 남자 1천m, 여자 1천500m서 우승하며 나란히 2관왕을 차지했다. 또 스피드스케이팅 ‘간판’ 김민선(의정부시청)은 여자 500m와 팀 스프린트에서 금메달을 따내 2관왕에 올랐고, 100m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스노보드서는 남자 슬로프스타일의 이채운(군포 수리고)과 하프파이프 김건희(시흥 매화고)가 ‘금빛 질주’를 펼쳤고, 피겨스케이팅의 김채연(수리고)도 여자 싱글서 짜릿한 역전 우승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폐막일에 펼쳐진 컬링 여자 결승서는 김은지·김민지·김수지·설예은·설예지로 구성된 경기도청 5G가 중국을 7대2로 완파하고 예선리그부터 10전 전승으로 18년 만에 종목 금메달의 금자탑을 쌓았다. 한편, 이날 오후 9시 열린 폐회식에서 각국 선수단은 4년 뒤 중동 국가로는 최초로 사우디아라비아가 개최하는 2029년 제10회 대회에서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하며 석별의 정을 나눴다. 폐회식은 개최국 중국의 리창 총리와 한국의 장미란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각국 선수단 등이 참석한 가운데 1시간 가량 진행됐다.

‘고교생 듀오’ 김채연·김건희, ‘금빛 연기’ [하얼빈 AG]

한국이 제9회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서 ‘고교생 듀오’가 끊겼던 금맥을 다시 이으며 종합 2위 목표 달성을 자축했다. 한국은 대회 폐막을 하루 앞둔 13일 대회 7일째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피겨 여자 싱글 프리스케이팅에서 김채연(군포 수리고)이 147.56점을 기록, 전날 쇼트프로그램 점수(71.88점) 합산 총 219.44점으로 한국선수단 14번째 금메달을 획득했다. 전날 쇼트프로그램서 71.88점을 기록해 사카모토 가오리(일본·75.03점)에 3.15점 뒤진 2위로 이날 프리스케이팅 23번째로 연기를 시작한 김채연은 기술점수(TES) 79.07점, 예술점수(PCS) 68.49점을 합쳐 총점 147.56점을 받아 다음 순서에서 연기한 사카모토 가오리(136.87)에 10.69점 앞서면서 역전 우승을 이뤄냈다. 수리고 선배인 곽민정(2011년)과 최다빈(2017년)에 이은 한국 여자 싱글 3번째 우승이다. 또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결선이 열릴 예정이었으나 경기장인 야부리 스키리조트의 강풍으로 취소돼 전날 예선 결과를 토대로 김건희(시흥 매화고)가 전날 예선 성적 78점으로 기쿠치하라 고야타(일본·75점)와 이지오(양평고·69.75점)를 제치고 행운의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반면, 예선 6위(43.75점)로 이날 정상 연기를 통해 대회 2관왕을 노렸던 이채운(수리고)은 결선이 취소되는 바람에 8일 슬로프스타일서 우승한 것에 만족하며 아쉬움을 달래야 했다. 바이애슬론에서도 귀중한 은메달이 나왔다. 한국은 야부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여자 24㎞ 계주에서 러시아 귀화 선수 예카테리나 압바꾸모바(전남체육회)와 고은정(전북체육회)·아베마리야·정주미(이상 포천시청)가 팀을 이뤄 1시간29분27초3으로 중국(1시간29분6초3)에 이어 2위로 골인했다. 압바꾸모바가 지난 11일 지난 11일 여자 7.5㎞ 스프린트에서 한국 바이애슬론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한데 이어 역대 첫 계주 은메달 획득이다. 이날 한국은 2번 주자 압바꾸모바가 달린 12㎞ 지점까지 선두를 달렸고, 3번 주자 아베마리야도 선두를 이어갔으나, 마지막 주자 정주미가 중국, 카자흐스탄에 추격을 허용해 한때 3위로 밀려났다. 그러나 정주미는 포기하지 않고 힘을 내 22㎞ 지점에서 카자흐스탄을 제치고 다시 2위로 올라선 뒤 역주 끝에 2위로 골인했다. 한국은 금메달 14개, 은메달 14개, 동메달 13개로 종합 2위를 확정했다.

윤종현·신영섭 프리스타일스키 빅에어서 은·동메달 [하얼빈 AG]

윤종현(단국대)과 신영섭(강원대)이 제9회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프리스타일 스키 남자 빅에어에서 나란히 은·동메달을 획득했다. 윤종현은 12일 중국 야부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대회 6일째 남자 빅에어 결선에서 169.50점을 기록해 가사무라 라이(일본·183.50점)에 14점 뒤진 2위를 차지했으며, 신영섭은 165.25점으로 3위에 입상했다. 이로써 한국은 이번 대회 하프파이프 남자부 이승훈(한국체대)의 금메달과 문희성(설악고)의 동메달, 여자부 장유진(고려대)의 동메달 포함 프리스타일 스키에서만 5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이날 윤종현은 1차 시기에서 88.25점을 득점, 가사무라(93.5점)에 이어 2위를 기록한 뒤 2차 시기에서도 81.25점으로 가사무라(90점)에 이어 2위를 지켜 메달 획득의 발판을 놨다. 한편, 금메달 도전에 나선 여자 컬링의 경기도청은 7전승으로 선두를 달리며 4강 진출을 확정했다. 경기도청은 하얼빈 핑팡 컬링 아레나에서 열린 예선 라운드 6차전에서 카자흐스탄을 8대2로 꺾은 뒤 7차전서 약체 필리핀을 제치고 무패가도를 달렸다. 또한 스노보드 하프파이프 예선서는 김건희(시흥 매화고)가 78점으로 1위에 올랐고, 이지오(양평고)가 69.75점으로 3위, 김강산(경희대)이 59.75점으로 5위, 대회 2관왕에 도전하는 이채운(군포 수리고)은 43.75점으로 6위를 차지하며 몸을 풀었다.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피겨 여자 싱글 쇼트프로그램에서 김채연(수리고)은 기술점수(TES) 39.82점, 예술점수(PCS) 32.06점을 합쳐 총점 71.88점을 득점, 사카모토 가오리(일본·75.03점)에 3.15점 뒤진 2위를 달려 13일 프리에서 역전 우승을 바라볼 수 있게 됐다.

‘빙속 레전드’ 이승훈, 아시안게임 최다 메달 ‘새역사’ [항저우 AG]

한국 스피드스케이팅의 '레전드' 이승훈(36·알펜시아)이 한국 선수 역대 동계 아시안게임 최다 메달 신기록을 세웠고, ‘귀화선수’ 예카테리나 압바꾸모바(전남체육회)는 바이애슬론서 한국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베테랑’ 이승훈은 11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스피드 스케이팅 오벌에서 계속된 제9회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5일째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팀 추월에서 정재원(의정부시청), 박상언(한국체대)과 팀을 이뤄 3분47초99로 중국(3분45초94)에 이어 2위를 차지하는 데 힘을 보탰다. 이로써 이승훈은 2011년 아스타나·알마티 대회와 2017년 삿포로 대회에서 8개의 메달(금 7, 은 1)을 획득한데 이어 자신의 9번째 동계아시안게임 메달 획득으로, 쇼트트랙 김동성(은퇴)이 보유한 역대 아시안게임 최다 메달(8개·금 3, 은 3, 동 2) 기록을 경신했다. 이번 대회로 자신의 동계아시안게임 무대를 마감한 이승훈은 내년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을 끝으로 국가대표 생활을 마감할 전망이다. 이날 3조에서 일본과 경쟁한 한국은 초반 열세를 딛고 이승훈이 2번 주자로 후배들을 이끈 덕에 3분52초93을 기록한 일본을 따돌리고 금메달 못지 않은 값진 메달을 안겼다. 앞서 벌어진 남자 1천m에서는 또 한 명의 베테랑 차민규(동두천시청)가 1분9초63의 기록으로 선전을 펼쳐 닝중옌(중국·1분8초81)에 이어 준우승했다. 전날 팀 스프린트 은메달에 이어 이번 대회서 두 개의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여자 1천m서는 100m 금메달리스트인 ‘차세대 스타’ 이나현(한국체대)이 1분16초39로 한메이(1분15초85), 인치(이상 중국·1분16초08)에 이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여자 팀 추월서도 김윤지(동두천시청), 박지우(강원도청), 정유나(한국체대)가 팀을 이뤄 3분10초47의 기록으로 3위에 입상했다. 한편, 야부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바이애슬론 여자 7.5㎞ 스프린트에서 러시아 귀화 선수인 압바꾸모바는 22분45초4를 마크해 멍팡치(22분47초8)와 탕자린(이상 중국·23분01초0)을 제치고 한국선수 첫 우승의 영광을 안았다. 바이애슬론이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거둔 역대 최고성적은 2003년 아오모리 대회 남자 계주 은메달이다.

‘‘금메달은 없지만”…빙속·스노보드서 값진 3개 메달 [하얼빈 AG]

한국이 제9회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서 ‘골든 퍼레이드’는 이어가지 못했지만 스피드스케이팅과 스노보드에서 소중한 은·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 한국은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스피드 스케이팅 오벌에서 열린 대회 4일째 스피드스케이팅 팀 스프린트에 김준호(강원도청), 차민규(동두천시청), 조상혁(스포츠토토)이 팀을 이뤄 1분20초48을 마크, 중국(1분19초22)에 1.26초 뒤진 2위를 차지했다. 중국과 2조에서 경쟁한 한국은 출발부터 중국에 앞서 질주했으나, 1천m를 넘어서면서 역전을 내줘 아쉽게 준우승했다. 앞서 열린 남자 500m에서 김준호는 35초03을 기록,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가오팅위(중국·34초95)와 모리시게 와타루(일본·34초97)에 각각 0.08초, 0.06초 뒤져 아쉽게 3위에 올랐다. 한편, 야부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스노보드 빅에어 결선에서 ‘고교생 기대주’ 강동훈(용인 고림고)은 158.75점을 득점, 양원룽(193.25점)과 장신제(이상 중국·160.25점)에 이어 동메달을 차지했다. 지난 8일 슬로프스타일에 이어 이번 대회 자신의 두 번째 동메달 획득이다. 강동훈은 1차 시기서 77.75점으로 3위에 오른 뒤 2차 시기에서 80.25점을 얻어 합계 158점으로 3위를 지켰고, 3차 시기서도 78.50점을 기록해 안정적인 연기로 동메달을 추가했다. 빅에어는 3차례 시기를 실시한 뒤 상위 2개 시기 점수를 합산해 순위를 정한다.

빙판·설원에서 연이은 금메달… 한국, 종합 2위 교두보 [하얼빈 AG]

한국이 세계 최강의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 설상 종목의 고른 활약을 앞세워 제9회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서 2회 연속 종합 2위 목표 달성의 교두보를 확보했다. 한국은 대회 개막 3일째인 9일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에서 4개의 금메달을 추가해 금 11, 은 9, 동메달 7개로 개최국 중국(금15 은15 동14)에 이어 2위를 달렸다. 3위 일본(금3 은2 동6)과의 격차를 크게 벌리며 일찌감치 2위 목표 달성을 예약했다. 이날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경기를 마친 쇼트트랙서 한국은 세계 최강의 전력을 과시하며 당초 목표한 6개의 금메달을 쏟아냈다. 전날 남자 500m를 제외하고는 5개 종목 가운데 4개 종목 우승을 쓸어담았던 한국은 이날도 금빛 질주를 이어갔다. 남녀 1천m 결승서 장성우(화성시청)와 최민정(성남시청)이 각각 1분28초304, 1분29초637을 기록해 대표팀 선배 박지원(서울시청·1분28초829)과 팀 후배 김길리(성남시청·1분29초739)를 따돌리고 나란히 우승했다. 전날 혼성계주 2천m와 500m서 우승한 최민정은 3관왕, 장성우는 혼성계주 금메달 포함 2관왕이 됐다. 그러나 한국 남녀 대표팀은 이어 열린 남자 5천m 계주와 여자 3천m 계주 결승서 아쉽게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남자 대표팀은 박지원, 장성우, 김태성(화성시청), 박장혁(스포츠토토)이 팀을 이뤄 2위로 골인했으나, 경기 후 비디오 리뷰서 반칙이 선언돼 메달을 얻지 못했다. 앞서 벌어진 여자 3천m 계주서도 최민정, 김길리, 김건희(성남시청), 이소연(스포츠토토)이 출전한 한국은 마지막 바퀴서 김길리가 중국의 궁리와 충돌하며 넘어져 4위에 머물렀다. 또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스피드 스케이팅 오벌에서 열린 여자 500m 결승에서는 김민선(의정부시청)이 38초24를 기록, 전날 100m 우승자인 대학 후배 이나현(한국체대·38초33)에 앞서 우승, 둘은 이틀동안 나란히 금 1, 은 1개씩을 획득했다. 이어 김민선은 이나현, 김민지(화성시청)와 팀을 이룬 여자 팀 스프린트에서도 1분28초62로 한국이 중국(1분28초85)을 따돌리고 우승하는 데 기여해 역시 대회 2관왕에 올랐다. 한편, 야부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알파인스키 남자 회전에서 2017년 삿포로 대회 우승자인 정동현(하이원리조트)은 1·2차 시기 합계 1분29초09를 기록, 고야마 다카유키(일본·1분 28초 12)에 이어 은메달을 손에 넣었다.

‘눈과 얼음의 축제’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화려한 개막 [하얼빈 AG]

‘겨울의 꿈, 아시아의 사랑(Dream of Winter, Love among Asia)’을 슬로건으로 내건 아시아인의 겨울 스포츠 축제 ‘제9회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이 화려한 막을 올리고 열전 8일에 돌입했다. 8년 만에 개최된 동계아시안게임은 7일 오후 9시(한국시간)부터 중국 하얼빈의 국제 컨벤션 전시 스포츠센터에서 개회식을 가졌다. 샤샤오란 감독이 총연출을 맡아 열린 이날 개회식은 겨울 스포츠의 특성과 중국·하얼빈 고유의 문화, 아시아의 우정과 화합 등을 다채롭게 표현한 화려한 무대로 장식됐다. 개회식에서 222명(선수 148명·경기 임원 52명·본부 임원 22명)의 선수단을 파견한 한국은 34개국 가운데 13번째로 입장했다. 선수단은 최홍훈 단장을 필두로 남자 아이스하키 대표 이총민(블루밍턴 바이슨스)과 여자 컬링 대표팀 주장 김은지(경기도청)가 기수를 맡았다. 앞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7년 만에 겨울 국제 종합대회에 모습을 드러낸 북한은 5번째로 입장했다. 개회식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 우원식 국회의장,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초청을 받은 유승민 대한체육회장 당선인 등 각국 고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한편, 34개국 선수 1천200여명이 참가한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은 내년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 전초전으로 한국은 삿포로 대회에 이어 종합 2위 수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대회는 개막 다음날인 8일부터 본격 메달 경쟁에 돌입하는 가운데 한국은 이날 컬링 믹스더블의 김경애(강릉시청)-성지훈(강원도청) 조가 오전 10시 일본팀을 상대로 첫 금메달 경쟁을 벌인다. 또 쇼트트랙 남녀 1천500m에 박지원(서울시청), 김길리, 최민정(이상 성남시청)이 금메달에 도전하고 500m에서도 금빛 질주를 노리고 있다.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100m 김민선(의정부시청), 프리스타일 스키 남자 하프파이프의 이승훈(서울스키협회), 스노보드 슬로프스타일 이채운(군포 수리고)도 정상에 도전하는 등 첫 ‘골든데이’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