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최악의 가뭄 제주지역이 기상관측 이래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달부터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아 가뭄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제주에 지난 19일 소나기가 내렸지만 일부 지역에 적은 양만 내려 해갈에는 다소 부족했다. 계속된 가뭄에 이미 한라산 백록담과 계곡, 저수지가 대부분 바닥을 보이며 말라버려 식수를 비롯해 감귤 등 주요 농작물 생육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달 제주 지역에는 제주 14.7㎜, 서귀포 18.8㎜ 등 평년의 6% 수준의 비가 내렸다. 7월 강수량 기록으로는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8월에도 10㎜안팎의 유례없는 적은 비가 내렸다. 이 때문에 어승생 저수지의 유일한 수원인 한라산 와이(Y)계곡(해발 1천200m) 물은 거의 말라버렸다. 지난달 중순까지만 해도 물이 가득 찼던 어승생 제1저수지는 저수용량(10만7천t)의 절반인 5만2천t 정도밖에 차 있지 않은 상태이고, 제2저수지는 이미 거의 말라 제기능을 못하고 있다. 한라산 백록담도 바싹 말랐다. 서귀포시 해안 지역도 농업용수 사용 증가 등의 이유로 정수장 수위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물 공급이 일시 중단되는 등 주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가뭄 피해에 7월 말8월 초 파종한 당근은 폭염과 가뭄에 싹을 틔우질 못하고 있다. 콩, 참깨, 밭벼 등의 밭작물도 생기를 잃었고, 가뭄에 비교적 강한 감귤 역시 평년에 비해 크기가 작거나 잎이 마르고 낙과하는 경우가 잇따르고 있다. 여름 관광 성수기를 맞아 손님맞이에 한창이던 숙박업소나 식당 역시 격일급수 조치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제주도는 현재 가뭄 피해가 확산하고 있는 당근 주산지 동부지역(구좌성산표선)에 현지 가뭄대책 상황실을 설치운영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제주도 가뭄 피해지역에 양수기 등 급수장비 구입비로 10억원을 긴급 지원하기로 했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제주 최악의 가뭄
오늘 날씨 20일 화요일은 중국 북동지방에 중심을 둔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면서 전국에 구름이 많겠다. 남부 일부 내륙에서는 대기 불안정으로 낮부터 저녁 사이에 소나기(강수확률 60%)가 오는 곳이 있겠다. 강원 동해안에는 낮부터 밤사이 가끔 비가 오겠고 경북 동해안에는 밤 한때 비(강수확률 60%)가 조금 오는 곳이 있겠다. 동해안의 비는 21일 새벽까지 이어지는 곳이 있겠다. 20일 예상 강수량은 전라남북도 동부 내륙경북 남서 내륙경남 북서 내륙에서 520㎜, 강원 동해안경북 동해안울릉도독도에서 5㎜ 내외가 되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2127도, 낮 최고기온은 2836도다. 바다의 물결은 제주도 남쪽 먼바다에서 24m로 점차 매우 높게 일겠고, 그 밖의 해상에서는 0.52.5m로 일겠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오늘 날씨
19일 경기지역 상당수 시ㆍ군에 폭염주의보가 발효되는 등 막바지 무더위가 기승을 부렸다. 수원기상대에 따르면 이날 낮 최고기온이 수원 32도, 성남 32도, 시흥 33도, 평택 33도 등으로 경기지역 21개 시ㆍ군에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당분간 낮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으로 오르면서 무더위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0일 아침 최저기온은 21~24도, 낮 최고기온은 33~35도로 전날과 비슷하거나 조금 더 덥겠다. 기상대 관계자는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소보다 물을 자주 섭취하고, 실내에서는 햇볕을 막아주고 통풍이 잘 되도록 환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전북 지역의 폭염 기록이 연일 경신되고 있다. 19일 전주기상대에 따르면 전북은 올해 여름철(6월8월 기준) 평균기온이 26.3도로 지난 1973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폭염일 수는 현재 34일로 기록적인 폭염이 나타났던1994년의 39일에 비해 5일 적고, 열대야 발생일은 27일로 1994년의 19.3일보다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김병철 전주기상대 사무관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예년에 비해 강하게 발달하면서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 폭염이 계속되고 있다"며 "이 영향으로 한 달간 계속되던 장마도 중부지역과 북한에 집중돼 남부 지역의 폭염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북폭염 기록 경신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올해 너무 더운 듯", "이유가 있었구나", "정말 날씨가 이상한 것 같아요"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전북 폭염 기록 경신
오늘 중부지방 가끔 구름많은 가운데, 폭염이 계속 되겠다. 경기지방 아침 최저기온은 21도에서 24도, 낮 최고기온은 29도에서 34도.
오늘 중부지방 대체로 흐리고 오전까지 낮에 한두차례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 경기지방 아침 최저기온은 23도에서 26도, 낮 최고기온은 29도에서 34도.
제12호 태풍 '짜미'가 일본 해상에서 발생했다. 18일 기상청은 오전 9시 태풍 '짜미'가 일본 오키나와 남쪽 약 65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해 시속 3㎞로 동쪽으로 느리게 이동한 뒤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타이완 북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태풍 '짜미'는 중심기압 996헥토파스칼(h㎩)에 최대풍속 초속 19m, 강풍반경 150㎞로 강도는 '약' 크기는 '소형'이다. 이동 경로로 봐서는 우리나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짜미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장미과에 속하는 나무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12호 태풍 짜미 발생
지속된 폭염으로 서울의 열대야 현상이 19년 만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18일 기상청에 따르면 17일까지 올해 들어 서울의 열대야 현상은 총 20회로, 1994년 이래로 가장 많았다. 열대야는 전날 오후 6시부터 다음 날 아침 9시까지 최저 기온이 25도 이상인 것으로, 지난달 5회, 이달 들어 17일까지 15회 발생했다. 서울 열대야 최다 기록에 비해 폭염 발생 횟수는 현저히 떨어졌다. 서울에서 낮 최고기온이 33도를 넘는 폭염 발생일은 지난 11일 하루뿐으로, 남부지방이 연일 35도 이상을 기록하며 지역별 최고기온 기록을 경신한 것과 비교하면 낮 기온은 크게 오르지 않았다. 서울이 다른 지역에 비해 열대야 발생이 잦은 이유는 대기가 습해 밤사이 기온이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 대구를 비롯한 포항 울산 등 남부지방은 연일 35도의 기온을 보였지만 습하지 않았다. 한편 기상청이 17일 오후 8시를 기해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에 내린 폭염주의보를 해제함에 따라 서울 등 중부지방은 아침 기온이 25도 아래로 떨어지면서 열대야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온라인뉴스팀
오늘 날씨 18일 일요일 서울경기강원 지역은 북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대체로 흐리겠다.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는 이날 아침부터 오후 사이에 비(강수확률 6080%)가 오겠다. 이밖에도 서울, 경기 남부, 강원 중남부에서는 낮부터 밤사이에 한두 차례 비(강수확률 6070%)가 오는 곳이 있겠다. 충청 이남 지방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체로 맑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2128도, 낮 최고기온은 2937도로 전날과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바다의 물결은 제주도 남쪽 먼바다에서 오후에 1.53.0m로 점차 높게 일겠고, 그 밖의 해상에서는 0.52.0m로 일겠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오늘 날씨
대체로 구름많은 가운데, 경기북부는 아침부터 낮사이에 천둥번개를 동반한 소나기가 오는 곳이 있겠다. 경기지방 아침 최저기온은 23도에서 26도, 낮 최고기온은 30도에서 34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