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째 7만명대…“정점 시기 하루 확진자 30만명 발생할 듯”

코로나19 재유행이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자 정부가 추가 방역 대책을 발표했다. 2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7만6천402명이 양성 판정을 받으며 이틀 연속 7만명대를 기록했다. 이 기록은 1주일 전인 지난 13일(4만252명)과 비교하면 3만6천150명 늘어 1.9배, 2주일 전인 지난 6일(1만9천360명)과 비교하면 5만7천42명 증가한 3.9배에 달하는 수치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96명이며 하루 사망자는 12명이다. 경기 지역에선 전날보다 1천262명 증가한 2만1천362명의 확진이 확인됐다. 방역 당국은 정점 시기의 확진자 수가 30만명 수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4천여개의 병상을 추가 확보하고 코로나19 검사소 70곳을 설치하는 등 추가 대책을 마련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되면서 허용했던 요양병원 등의 접촉면회는 오는 25일부터 다시 중단돼 비대면 면회만 가능해진다. 관련 종사자들은 주 1회 PCR검사를 받아야한다. 또 방역 당국은 코로나19 관련 증상이 있는 근로자가 출근하면서 집단감염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고 전망해 '아프면 쉬는 문화'가 정착되기 위한 기업의 협조를 당부했다. 한편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스마트폰 앱으로 1시간 만에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미량의 바이러스도 검출할 수 있어 향후 코로나19 신·변종 진단을 비롯해 다양한 바이러스 진단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노소연기자

가파른 확진자 상승세…'6차 대유행' 국면 진입

신규 확진자 수가 가파른 상승선을 그리며 증가하는 가운데 대규모 유행 국면이 본격화되고 있다. 1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7만3천582명이다.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12일(3만7천347명)의 1.97배, 2주일 전인 지난 5일(1만8천136명)의 4.05배 늘어난 수치다. 지난 4월27일(7만6천765명) 이후 83일 만에 최다 기록이다. 경기 지역에선 이날 2만100명의 양성 판정이 확인됐다. 도내 하루 확진자가 2만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 4월21일(2만431명) 이후 88일 만이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7월 둘째 주 감염재생산지수가 1.58로 집계돼 6월 다섯째 주(1.05) 이후 3주째 ‘1’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해당 수치가 ‘1’을 넘으면 감염의 확산을 의미한다. 또 오미크론 세부변이 ‘BA.5’ 가 확산되는 가운데 BA.2.75(켄타우로스 변이)의 유행이 현실화 되면 '쌍봉형 유행 곡선'이 그려질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자율 방역만으로는 감염 유행 관리에 한계가 올 수 있다는 경고에 방역 당국은 신규변이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대응 해 나갈 것이라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코로나19 백신과의 관련성이 의심되는 질환을 앓다 사망했지만 근거 자료가 불충분해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운 경우 지급하는 사망자 위로금을 최대 1억원까지로 늘리기로 밝혔다. 관련된 주요 이상 반응은 뇌정맥동 혈전증·모세혈관누출증후군·길랭-바레 증후군 등이다. 노소연기자

1주일 단위 ‘더블링’현상 지속…위중증 1달만에 80명대

코로나19 확진자가 1주일마다 2배씩 늘어나는 ‘더블링’ 현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위중증 환자도 1달 만에 80명대로 올라섰다. 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2만6천299명이다. 전날(4만342명)보다는 1만4천43명 줄었지만, 이는 주말 진단 검사 수가 감소한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11일(1만2천681명)의 2.1배, 2주 전인 지난 4일(6천248명)의 4.2배에 달하며 1주일 단위 ‘더블링’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월요일 발표되는 확진자 수가 2만명대로 올라온 것은 지난 5월9일(2만585명) 이후 10주 만이다. 또 이날 확진자 수는 월요일 발표 기준 지난 4월25일(3만4천361명) 이후 12주 만에 최다치를 기록했다. 경기 지역에선 8천268명의 확진이 확인됐다. 위중증 환자는 81명이며 하루 사망자는 11명이다. 확진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중증 환자와 병상 가동률도 함께 늘어나는 추세다. 위중증 환자 수는 지난달 17일(82명)이후 31일 만에 80명대로 올라섰다.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은 현재까지 1천429개 중 217개(15.2%) 사용 중으로 이는 1주일 전 가동률(9.1%)보다 6.1%p 높아진 수치다. 한편 방역 당국은 오늘부터 50세 이상의 4차 백신 접종이 시작되며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다. 노소연기자

12주 만에 일요일 최다 확진…여름철 재유행 본격화

주말에도 신규 확진자 수가 줄어들지 않고 12주 만에 일요일 최다 확진자 수를 기록하며 코로나19 여름 재유행이 본격화되고 있다. 1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4만342명이다. 통상 신규 확진자 수는 주중에 늘었다가 주말에는 진단 검사가 감소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날은 해당 패턴을 벗어나며 뚜렷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신규 확진자는 전날(4만1천310)보다 968명 줄었지만 1주일 전인 지난 10일(2만397명)의 1.98배, 2주일 전인 지난 3일(1만46명)의 4.02배에 달한다. 특히 일요일 확진자 수치만 보면, 지난 4월24일(6만4천696명) 이후 12주 만에 최다 확진 기록이다. 일요일 확진자 수가 4만명을 넘은 것은 지난 5월8일(4만46명) 이후 10주 만이다. 위중증 환자는 71명이며 하루 사망자는 14명이다. 경기 지역에선 1주일 전인 지난 9일(5천448명)보다 2배 많은 1만1천43명이 확진됐다. 당초 정부는 지난 13일 여름 재유행의 정점 시기를 9월 중순~10월 중순으로 예상하면서 하루 최다 확진자 규모를 20만6천600명으로 예상한 바 있지만, 학자들 사이에선 유행 규모가 이보다 더 클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이 코로나19 4차 예방접종 대상자를 50대 이상으로 확대하면서 18일부터 4차 백신접종 사전 예약이 시작된다. 잔여 백신을 예약해 당일에 접종할 수도 있다. 사전 예약을 통한 백신 접종은 다음 달 1일부터 시행된다. 노소연기자

더블링 현상 계속…수학자들 “하루 30만명 육박 확진자 발생” 예측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전주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한 가운데 국내 연구팀이 최대 30만여명의 일일 확진자 발생을 예측했다. 1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3만9천196명이다. 확진자는 전날(4만266명)보다는 1천70명 줄었지만 1주일 전인 지난 7일(1만8천504명)의 2.12배, 2주일 전인 지난달 30일(9천591명)의 4.09배에 각각 달하는 수치다. 위중증 환자는 69명이며 하루 사망자는 16명이다. 경기 지역에선 1주일 전(4천983명)보다 5천652명 많은 1만635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최선화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연구원이 감염재생산지수 30% 증가를 전제로 수리모델링을 분석한 결과, 내달 10일께 하루새 28만8천546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될 것으로 내다봤다. 감염재생산지수는 환자 1명이 주변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당 수치가 ‘1’ 이상이면 확산을 의미한다. 현재 감염재생산지수는 1.40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4차 백신 접종을 독려하고 있음에도 현행 대상이자 고위험군인 60세 이상의 접종률은 30%대(35.4%)에 머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코로나19 BA.5변이보다 면역회피 특성이 더 큰 것으로 알려진 BA.2.75(일명 켄타우로스)변이 확진자가 국내에서 처음 확인됐다. 확진자는 인천에 거주 중인 60대 남성이다. 이정민기자

4만명 돌파…사회적 거리 미도입·4차 백신 접종 확대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이 4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방역 당국이 사회적 거리두기 도입 대신 개인 방역에 초점을 맞춘 재유행 방지 대책을 내놓았다. 1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3만7천360명)보다 2천906명 증가한 4만266명이다. 4만명대 발생은 지난 5월11일(4만3천908명) 이후 63일 만으로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6일(1만9천362명)의 2.1배, 2주일 전인 지난달 29일(1만454명)의 3.9배로 급증한 수치다. 위중증 환자는 67명, 하루 사망자는 12명이다. 경기 지역에선 전날(1만306명)보다 869명 증가한 1만1천175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자영업자 반발 등 사회적 비용을 고려해 영업시간 제한과 같은 고강도 거리두기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다만 개인 방역을 위해 현행 60세 이상, 면역저하자 등 4차 백신 접종 대상을 50세 이상, 18세 이상 기저질환자로 확대했다. 이들에 대한 접종은 오는 18일부터 시행된다. 또 방역 당국은 확진자 7일 격리 의무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으며 해외 입국자의 감염 사례가 증가하는 점을 고려, 입국 후 3일 이내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1일차로 변경했다. 한편 방역 당국은 코로나19 여름 재유행으로 하루 확진자가 최대 20만명을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정민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