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중증 600명 육박, 8월말 이후 최다…마스크 착용 의무 단계적 해제

코로나19 겨울 재유행이 이어지는 가운데 위중증 환자가 약 4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준으로 늘었다. 25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5만8천448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전날(6만6천211명)보다 7천763명 감소했고, 일주일 전인 지난 18일(5만8천838명)보다도 390명 줄었다. 위중증 환자는 592명으로, 8월29일(597명) 이후 약 4개월 만에 최다치를 기록했다. 사망자는 46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6천445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전환하되 코로나19 유행 상황 및 시설별 위험성 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조정하기로 결정했다. 1단계 조정에서는 실내마스크를 자발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다만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의료기관·약국, 일부 사회복지시설(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시설), 대중교통 내에서는 착용 의무를 유지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1단계 해제 시점이 이르면 설 연휴 이후, 1월 말 정도로 예상되지만 확실하게 말씀드리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조정되더라도 마스크의 착용 필요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자발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 개인 방역수칙을 생활화해달라”고 당부했다.

위중증 환자 100일 새 최다…감염재생산지수, 주간 확진자 증가

입원 중인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100일 새 최다 수준을 기록한 가운데 주간 확진자와 감염재생산지수도 증가세를 보이며 유행세가 이어지고 있다. 22일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7만5천744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은 전날(8만8천172명)보다 1만2천42명 줄었지만 1주 전인 지난 15일(7만143명)보다는 5천601명 늘어났다. 또한 2주 전인 지난 8일(6만5천237명)보다는 1만507명 증가했다. 위중증 환자는 최근 100일 새 최다 수준인 547명이며 사망자는 62명이다. 경기지역에선 2만927명이 양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주간 확진자가 전주 대비 10% 이상 늘어나고 감염재생산지수도 오르는 등 유행세가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중대본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11~17일) 주간 신규 확진자 수는 45만5천364명으로 전주(41만2천707명) 대비 10.3% 증가했다. 또한 유행세를 가늠하는 지표인 감염재생산지수(Rt)는 1.08로 9주째 ‘1’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3주째 감염재생산지수는 1.00→1.04→1.08로 오름세다. 한편 이날 정부는 국민의힘과 당정협의회를 열어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논의했다. 이어 23일 협의회 내용을 토대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서 실내 마스크 의무 조정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연일 최다 확진자 경신…6명 중 1명 재감염, BN.1 BF.7 변이 확산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가 연이틀 8만명대를 이어가는 가운데 재감염 비율과 BN.1· BF.7 변이의 검출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8만8천172명으로, 전날(8만7천559명)보다 613명 늘었다. 전날에 이어 이날도 일일 확진자 수가 98일 만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또 이날 신규 확진은 일주일 전인 지난 14일(8만4천553명)보다는 3천619명, 2주일 전인 지난 7일(7만4천693명)보다는 1만3천479명 각각 증가하면서 유행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위중증 환자는 512명이며 사망자는 59명이다. 경기지역에선 2만3천742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에 걸렸다가 다시 확진 판정을 받은 재감염자의 비율이 최근 신규 확진자 6명 중 1명꼴로 나타났다. 이날 중대본에 따르면 지금까지 코로나19에 2회 이상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례는 88만2천명으로 전체 누적 확진자의 3.29%다. 전체 확진자 중 재감염자가 차지하는 비율(재감염률)은 15.88%로 직전주 14.69%보다 1.19%p 늘었다. 한편 면역 회피 능력이 있는 BN.1 변이의 검출률이 20%를 넘어섰고 중국에서 유행하는 BF.7 변이의 검출률은 일주일 새 54%나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김은진기자

위중증 환자 이틀 연속 500명대…정기석 “내달 말,고위험군 75% 면역 보유”

일일 확진자가 월요일 기준 14주 만에 최다치를 기록한 가운데 위중증 환자가 이틀 연속 500명대로 나타났다. 19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만6천622명으로 전날(5만8천862명)보다 3만2천240명 줄어들었다. 하지만 1주 전인 지난 12일(2만5천657명)보다 965명 많으며 2주 전인 지난 5일(2만3천152명)보다 3천470명 증가했다. 또한 월요일(발표일) 기준으로 9월12일(3만6천917명) 이후 14주 만에 최다 수치를 기록했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520명) 90일 만에 500명 선을 넘어선 뒤 이틀째 500명대를 기록했다. 위중증 환자는 535명이며 사망자는 39명이다. 경기지역에선 8천35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이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 가능 시점으로 거론되는 내달 말이면 고위험군 75%가 코로나19에 대한 면역을 가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그는 이를 위해선 고위험군의 접종률 목표가 달성돼야 하며 최근 위중증 환자가 늘어나 변수가 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정 단장은 “다들 기대하고 있는 1월 말쯤엔 감염취약시설과 고령층에 대한 동절기 접종률 목표인 60%, 50%를 각각 달성하는 것을 전제로 면역을 가진 사람이 75% 정도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은진기자

15주 만에 일요일 기준 가장 많은 확진자…정부, 내달 항체형성률에 대한 조사 결과 발표

일요일 기준(발표일) 코로나19에 걸린 시민들이 넉 달여 만에 가장 많이 나온 가운데 정부가 내달 항체형성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5만8천862명이다. 토요일 검사를 희망하는 시민이 적어 확진자도 줄어드는 이른바 ‘휴일 효과’로 이날 확진자는 전날(6만6천930명)보다 8천68명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일주일 전인 지난 11일(5만4천298명)과 비교하면 4천564명이 늘었고, 2주일 전인 지난 4일(4만6천548명)에 비하면 1만2천314명 많다. 더욱이 신규 확진자는 일요일 기준으로 지난 9월4일(7만2천112명) 이후 15주 만에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위중증 환자는 520명이며 사망자는 42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5천808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전국 단위의 코로나19 항체형성률에 대한 2차 조사를 진행 중인 방역 당국은 이와 관련한 시험 분석을 통해 백신 접종에 따른 면역력 지속 정도 등을 확인 중이다. 이번 조사에는 지난 7월 진행된 1차 조사 참여자 9천945명 중 약 83%인 8천222명이 참여한 상황이다. 방역 당국은 이 중 약 6천500명에 대한 채혈을 진행하고 있으며 참여자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방역 당국은 이를 기반으로 한 자료를 축적하는 등 국가 역학 감시체계를 확립하겠다는 방안이다. 한편 오미크론 계열 변이인 BN.1의 검출률은 지난달 둘째주 4.9%에서 이번달 첫째주 17.4%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은진기자

목요일 13주만에 최다…재유행 속 저조한 추가접종률

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목요일 기준 13주 만에 최다치를 기록한 가운데 동절기 백신 접종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15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7만154명으로, 전날(8만4천571명)보다 1만4천417명 줄어들었다. 하지만 이날 신규 확진은 일주일 전인 지난 8일(6만5천245명)보다는 4천909명 늘었으며, 2주일 전인 지난 1일(5만7천63명)보다는 1만3천91명 늘며 증가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또 목요일(발표일) 기준으로 지난 9월15일(7만1천443명) 이후 13주 만에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위중증 환자는 465명이며 사망자는 58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9천29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동절기 백신 접종을 연일 강조하고 있지만 접종률은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에 따르면 동절기 누적 접종률은 60세 이상이 26.2%이며 감염취약시설 종사자는 42.3%다. 정부가 연말까지 목표한 접종률인 50%의 절반 수준이며 18세 이상 접종률도 10.3%에 그치는 등 저조하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개량백신 접종 효과성과 안전성이 국내외 연구에서 확인되고 있다”며 “재감염과 중증화 예방이 반드시 필요한 고위험군은 반드시 접종에 동참해달라”고 강조했다. 김은진기자

다시 거세지는 겨울 유행…BN.1 변이 확산속도 관건

코로나19 겨울철 재유행이 이어지는 가운데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BN.1 검출률이 상승세를 보이며 향후 유행세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4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8만4천571명으로 집계됐다. 겨울철 재유행 이후 가장 많은 일일 확진자 수를 기록했던 전날(8만6천852명)보다는 2천281명 적다. 하지만 일주일 전인 지난 7일(7만4천697명)보다 9천874명 늘었으며, 2주 전인 지난달 30일(6만7천393명)과 비교하면 1만7천178명이 증가했다. 위중증 환자는 463명이며 사망자는 46명으로 집계됐다. 경기지역에선 2만3천193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재감염 사례와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BN.1 검출률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BN.1 변이는 지난 9월22일 국내에서 처음 검출된 이후 최근 4주간 검출률이 7.6%→7.7%→13.2%→17.4%로 급증하고 있다. 중대본 관계자는 “BN.1의 점유율 증가가 겨울철 코로나19 유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면밀하게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감염재생산지수는 1.04로 8주 연속 1 이상을 유지했다. 감염재생산지수는 환자 1명이 주변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수치화한 지표로, 1 이상이면 ‘유행 확산’을 뜻한다. 한수진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