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과 노인 지원 늘리고 도민 보건복지 증진에 최선”

경기도의회 보건복지공보위원회 송순택 위원장(민안양6)은 지난 5대 도의원 시절 의정활동을 하다 쓰러진 뒤로 거동이 불편하다며 장애인이 돼 보니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절실하게 느끼게 됐다고 보건복지위를 선택한 이유를 밝혔다. 이어 송 위원장은 장애인과 노인복지에 중점을 두면서 도민의 보건복지 서비스 증진에 힘쓰며 이를 위해 외부와의 다양한 통로로 도민의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무한돌봄 등 좀 더 내실있게 지원취약계층 일자리출산장려 확대-위원장으로 선출된 소감은.경기도의 보건복지 분야는 도 전체예산의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1천200만 도민의 복지와 건강을 책임지는 중요한 분야다. 그리고 공보분야는 경기도의 대외 홍보 창구이자 얼굴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올바르게 견제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우리 위원회의 역할이라고 본다. 위원장으로서 깊은 책임감을 느끼며 적극적이고 발전적인 위원회 활동을 통해 도민 삶의 질이 더욱 향상되도록 혼신의 노력을 다해 나갈 것이다.-위원회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사안은.최근의 경기회복 분위기와는 달리 소득 양극화는 갈수록 벌어지고 서민 삶의 질은 악화되고 있다. 아울러 저출산과 노령화 현상은 또 다른 사회문제 및 복지제도의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위원회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야 할 문제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저소득층과 노인, 장애인 등에 대한 경기도의 지원대책을 살펴보고 부족하거나 개선할 부분에 대해서는 체계적, 장단기적 지원대책을 강구토록 집행부를 유도해야 한다고 본다.-무한돌봄을 비롯한 경기도의 보건복지 정책에 대한 견해는.경기도의 무한돌봄 사업은 복지사각 지대에 있는 저소득층을 지원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좀더 내실있는 지원방안이 되도록 점검하고 대안을 제시해 나가고자 한다. 아울러 저소득 취약계층이나 노인, 장애인 등이 항구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기반을 조성하는 한편 그분들의 일자리 창출에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따른 출산장려 및 노인의 생활 지원에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 그리고 공공보건 및 취약계층에 대한 의료서비스 확충, 안전한 먹을거리 관리 강화 등을 통해 도민의 보건과 건강을 위한 서비스가 증진되도록 하는 한편, 경기도의 대외 홍보가 더욱 투명하게 되도록 하겠다.-각오 및 도민에게 하고 싶은 말씀은.도민들의 복지증진을 위해 우선 각급 사회복지시설 및 단체, 연구기관 등과의 간담회, 복지시설 현장방문 및 취약계층과의 대화 등을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그분들이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복지정책과 방안이 도정에 반영되도록 노력해 나가겠다. 이러한 일을 효과적으로 해 나감에 있어서는 도민 여러분의 의견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도민 여러분께서 생각하시는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도의회 보건복지공보위를 찾아 주시기 바라며 끊임없는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김규태구예리기자 yell@ekgib.com

무상급식 등 교육현안 추진 ‘적신호’

경기도의회 민주당과 교육의원간 교육위원회 정상화를 위한 협상이 상호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무상급식 추경 예산 편성과 경기도교육청 조직개편안 등 각종 교육현안 사업 추진에 적신호가 예상된다.민주당 고영인 대표의원과 이재삼 교육의원은 10일 도의회 교육위원회 사무실에서 만나 교육위원장 선출을 놓고 빚어진 교육위원회 정상화를 위한 협상을 벌였다.이 자리에서 이재삼 의원은 교육의원의 특수성을 감안, 준교섭단체의 성격을 갖는 협의체 구성과 교육의원의 예결특위 위원장 및 무상급식혁신학교특위 위원장 선임 등을 요구했다.이에 대해 고영인 대표의원은 협의체 구성에는 찬성하지만 예결특위 위원장과 무상급식혁신학교특위 위원장은 민주당 차원의 내정이 끝난 상태여서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대신 공교육 정상화 특위 또는 교육개혁 특위 등 교육의 전문성을 강조하는 특위를 구성할 경우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대표의원과 7명의 교육위원들은 11일 오후 2시30분 만나 최종 의견조율을 할 예정이다.하지만 예결특위 위원장과 무상급식혁신학교 특위 위원장 선임을 주장하는 교육의원과 불가 입장을 밝힌 민주당의 입장차가 커 의견조율 실패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특히 양측의 협상이 장기화될 경우 오는 16일 처리 예정인 도교육청 조직개편안과 다음달 1일부터 열리는 도의회 정례회에 제출될 도교육청의 도시지역 5~6학년 무상급식 예산 195억원에 대한 추경 편성에도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이재삼 교육의원은 오늘 협의한 내용을 놓고 내일 오후 최종 협상을 벌일 예정이라고 말했다.이에 대해 고영인 대표의원은 경기교육의 발전을 위해 상호 협력하는 선에서 마무리해 하루빨리 교육위가 정상화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규태구예리기자 kkt@ekgib.com

‘생활 정책’으로 주민 복지 증진

인천시 서구청장으로 첫발을 내디딘 지 벌써 1개월이 지났다. 지방자치단체장 직선제가 지난 1995년 재출범해 이제 16년째 접어들었다. 지방자치의 근간은 풀뿌리 민주주의 구현에 있고,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간은 주민들의 복리 증진에 있는 만큼, 지방자치는 정치가 아닌 생활이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지방자치의 궁극적인 목적은 주민 복지 증진이라고 믿는다.선진 지방자치를 정착시키기 위해선 제도 개선 및 생활 어젠다를 설정해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모아야 할 때다. 서구 주민들은 40만명이다. 그러나 구의 가용 재원이 150억원에 그쳐 주민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생활 어젠다 설정과 집행에 한계가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주체적으로 지방교부세 상향 조정과 지방소비세 신설 등 지방 분권을 추진해 지방자치단체를 업그레이드시켜야 한다. 또한 스스로 재원을 아껴 쓰고, 줄일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서구만 하더라도 현재 각종 국시책 사업들이 진행 중에 있다. 한마디로중앙정부나 상급 지방자치단체의 협조 없이는 사업의 진행 및 주민 복지는 요원하다. 중앙과 상급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조관계를 구축하고, 생활 정책의 질을 높이는 다양한 주민 참여 방안도 마련돼야 할 것이다.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