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진단-경기도 일자리 정책]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땐… 도내 5만여명 고용 창출

청년 실업자 11만3천명… 실업률 치솟아도 中企는 인력난
中企 인식변화·정책 지원 강화 등 근로환경 제고 나서야

제목 없음-6 사본.jpg
지난해 기준 경기도 실업자가 총 26만여 명에 달하는 가운데 도내 기업의 미충원 인원 역시 5만1천 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은 일할 사람을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구직자는 일할 기업을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미스매치’만 해소되도 실업자를 1/5가량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미스매치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의 실업자는 101만2천 명에 달한다. 이는 2015년보다 3만6천 명이 늘어난 수치다.

 

경기도내 실업자는 전국 실업자의 1/4 수준인 약 26만7천명으로 이 중 청년(만15~29세) 실업자는 11만3천 명이다. 도내 실업자 절반이 청년실업자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말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에 따르면 도내 약 3천40개 사업체의 ‘미충원 인원’이 5만1천656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충원인원’이란 사업체에서 적극적인 구인에도 불구하고 인력을 충원하지 못한 인원을 뜻한다.

 

5만1천656명 중 97%(5만267명)가 중소기업이 필요로하는 인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종별로 보면 중소기업 ‘생산단순직’의 미충원인원이 6천955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기계조립 등의 중소기업 ‘기계관련직’이 6천946명, 중소기업 ‘운전및운송관련직’이 5천12명으로 집계됐다.

 

이렇듯 중소기업에서 미충원 인원이 발생하는 이유로는 ‘임금수준 등 근로조건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기 때문(23.8%)’이 가장 많이 꼽혔으며 ‘구직자가 기피하는 직종이기 때문(19.8%)’이 그 뒤를 이었다.

 

결국 도내 실업자가 26만7천 명인 데 반해 구직자를 찾지 못하는 기업의 일자리 수도 5만1천여개 달하고 있어 기업의 미충원 인원만 해결해도 실업자를 20%가량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경기도는 이러한 ‘미스매치’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사업으로 ‘청년구직지원금’, ‘일하는 청년통장’ 등을 꼽고 있지만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도입된 ‘일하는 청년통장’은 저소득 근로 청년이 매달 10만 원씩 저축하면 경기도와 민간이 매칭해 예산을 적립, 3년 후 약 1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제도다. 올해 총 9천 명의 청년을 지원할 계획이지만 소득에 대한 기준만 있을 뿐 직종에 대한 구분은 없어 이 제도가 청년들을 중소기업으로 유도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저소득가정 청년 5천 명을 대상으로 올해 처음 실시되는 ‘청년구직지원금’ 사업은 청년들이 구직활동에 필요한 서적 구매, 학원 등록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매월 50만 원가량을 6개월간 카드 형태로 지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사업 역시 청년들을 중소기업으로 유도할 수 있는 요인은 없어 사실상 미스매치 해소 사업으로 볼 수조차 없다.

 

이에 전문가들은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효과가 제한적인 고용촉진장려금 지급보다 중소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 정책이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을식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미스매치의 가장 큰 원인은 중소기업의 근로환경과 중소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라며 “정부와 지자체는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위해 기업 홍보 활동,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하고 중소기업이 근로환경을 제고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허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