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3대 방안’ 제시

이재율 경기도 행정1부지사 임금격차↓ ‘보조금 지원 협조’ 관련사업 국비 포괄지원 요청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만 해결해도 도내 실업자 수가 1/5가량 주는 것으로 나타난(본보 6월12일자 1면) 가운데 새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중앙ㆍ지방 정책협의회에서 경기도가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방안을 적극 건의했다.

 

행정자치부와 고용노동부, 일자리위원회는 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국제회의실에서 김부겸 행자부 장관 주재로 ‘제24회 중앙·지방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에서 참석한 이재율 도 행정1부지사는 경기도 청년일자리 정책을 설명하고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 해소를 위한 3가지 방안을 정부에 제안했다.

 

먼저 도는 청년들의 중소기업 기피현상을 줄이기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격차를 줄일 수 있는 ‘보조금 지원 협조’를 요청했다. 두번째로는 ‘일자리사업 국비 포괄지원’이 건의됐다. 

국비 포괄지원이란 사업마다 개별적으로 국비를 지원하는 방식이 아니라 ‘일자리’와 관련된 예산을 통합 지원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도는 지방소비세율을 5%p(현행 11%) 인상해 일자리 사업재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미스매치는 중소기업의 실정을 현장에 보고 느끼는 지방자치단체가 중앙정부보다 더 잘할 수 있기 때문에 재정 지원, 권한 이양 등을 중심으로 건의했다”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